• 제목/요약/키워드: Propensity Score Matching Difference-in-differenc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Long-Term Nutritional Outcomes of Near-Total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Treatment: a Comparison with Total Gastrectom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 Seo, Ho Seok;Jung, Yoon Ju;Kim, Ji Hyun;Park, Cho Hyun;Kim, In Ho;Lee, Han Ho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2호
    • /
    • pp.189-19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whether near total gastrectomy (nTG) confers a longterm nutritional benefit when compared with total gastrectomy (TG)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nTG or TG for gastric cancer were included (n=570). Using the 1:2 matched propensity score, 25 patients from the nTG group and 50 patients from the TG group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for oncologic outcomes, including long-term survival and nutritional status. Results: The length of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tumor nodes, metastasis stage, short-term postoperative outcomes, and long-term surviva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body mass index values, and serum total protein and hemoglobin levels of the patients decreased significantly until postoperative 6 months, and then recovered slightly over time (P<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s between the groups. The prognostic nutritional index values and serum albumin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until postoperative 6 months and then recovered (P<0.05); the levels decreased more in the nTG group than in the TG group (P<0.05). The mean corpuscular volumes and serum transferrin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until postoperative 1 year and then recovered slightly over time (P<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rum vitamin $B_{12}$, iron, and ferritin levels of the patien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over time, and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A small remnant stomach after nTG conferred no significant nutritional benefits over TG.

데이터 매칭을 이용한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분석 (Wage Differential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 김선애;김진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4권2호
    • /
    • pp.53-77
    • /
    • 2011
  • 최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고용형태 차이에 관한 연구, 특히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추정하기 위해 선형회귀 방법 등을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데이터 매칭(matching)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정규직 근로자와 동일한 특성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정규직 근로자를 매치하여 양자의 임금격차를 분석한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

스타트업 대상 정부 R&D 지원금의 벤처 투자 유도 효과 (The Signaling Effect of Government R&D Subsidies on Inducing Venture Capital Funding)

  • 홍슬기;배성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39-5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시그널링 이론을 기반으로 스타트업이 정부 R&D 지원금을 받았을 때 벤처 투자를 유치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벤처캐피털 투자자들의 투자 의사결정 과정과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이해하였다. 정부 지원금의 시그널 효과와 정부 R&D 지원금의 민간자금 투자 유도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부 R&D 지원이 스타트업의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 그리고 정부 R&D 지원이 실제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2021년 벤처기업으로 인증받은 업력 7년 이하의 스타트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부 R&D 지원과 벤처투자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고 정부 R&D 지원이 벤처투자 유도에 미치는 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과 이중차분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 후 정부 R&D 지원금을 많이 받은 기업일수록 벤처 투자를 유치할 확률이 높아지며, 최초 정부 R&D 과제를 수행한 뒤 2년이 지난 시점부터 정부 R&D 지원의 벤처투자 유도 효과가 발생해 최초 과제수행 후 3년이 지난 시점까지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정부 R&D 사업이 벤처투자 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하는 정부 R&D 사업 기획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규 자금 조달이 필요한 스타트업에도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당뇨병 유병자와 비유병자의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증상과 대처방안 인지도 비교: 성향점수매칭 분석 (Awareness of Early Symptoms and Emergency Responses to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Compared to Non-diabetic Population in the Community: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

  • 김미나;이영훈;김남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6-398
    • /
    • 2020
  • Background: We determine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abetes mellitus in the community. Methods: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identified 20,812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aged 40-79 years. Using 1:1 matching by propensity score, 20,812 people without diabetes mellitus but with simila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a comparison. Outcome variables were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nd awareness of coping strategies in case of occurrenc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diabetic and diabetic people in terms of recognizing all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nondiabetic, 42.7%; diabetic, 43.0%; p=0.43) and stroke (nondiabetic, 49.4%; diabetic, 49.4%; p=0.91).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ndiabetic and diabetic people in the proportion of knowing correct emergency response to myocardial infarction (nondiabetic, 84.6%; diabetic, 84.4%; p=0.56) and stroke (nondiabetic, 81.3%; diabetic, 81.4%; p=0.77). Conclusion: Since people with diabetes are at greate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an the general public, it is important to lower the risk of disability and death by improving their awareness of early symptoms and correct emergency response to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Safety of middle meningeal artery embolization for treatment of subdural hematoma: A nationwide propensity score matched analysis

  • Carson P. McCann;Michael G. Brandel;Arvin R. Wali;Jeffrey A. Steinberg;J. Scott Pannell;David R. Santiago-Dieppa;Alexander A. Khalessi
    •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 /
    • 제25권4호
    • /
    • pp.380-389
    • /
    • 2023
  • Objective: Middle meningeal artery embolization (MMAe) has burgeoned as a treatment for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This study evaluates the safety and short-term outcomes of MMAe patients relative to traditional treatment approaches.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large database study, adult patients in the National Inpatient Sample from 2012-2019 with a diagnosis of cSDH were identified. Cost of admission, length of stay (LOS), discharge disposition,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utilized. Results: A total of 123,350 patients with cSDH were identified: 63,450 without intervention, 59,435 surgery only, 295 MMAe only, and 170 surgery plus MMAe. On PSM analysis, MMAe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inpatient complications or prolong the length of stay compared to conservative management (p>0.05); MMAe had higher cost ($31,170 vs. $10,768, p<0.001) than conservative management, and a lower rate of nonroutine discharge (53.8% vs. 64.3%, p=0.024). Compared to surgery, MMAe had shorter LOS (5 vs. 7 days, p<0.001), and lower rates of neurological complications (2.7% vs. 7.1%, p=0.029) and nonroutine discharge (53.8% vs. 71.7%,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st (p>0.05). Conclusions: MMAe had similar LOS and decreased odds of adverse discharge with a modest cost increase compared to conservative manage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patient complications. Compared to surgery, MMAe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LOS and rates of neurological complications and nonroutine discharge. This nationwide analysis supports the safety of MMAe to treat cSDH.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에서 스타틴과 병용하는 항혈소판제 종류에 따른 임상결과 (Clinical Outcomes of Antiplatelets Combined with Statins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 김청수;이지민;박래웅;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4-266
    • /
    • 2019
  • Background: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risks are recommended to use statins and antiplatelet agents to prevent major cerebro-cardiovascular events (MACCE). Antiplatelet agents also posses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addition to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platelets. The differences in clinical outcomes in ischemic heart disease (IHD) based on the type of antiplatelet therapy combined with statin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IHD patient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at Ajou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on combination therapy of antiplatelet drugs and statins were grouped based on antiplatelet drug types: clopidogrel, cilostazol, or sarpogrelat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applied to balance the baseline of the groups of clopidogrel vs. cilostazol and the groups of clopidogrel vs. sarpogrelate. The incidence and risk of MACCE as primary outcomes were assessed between the groups of antiplatelet drugs. Results: Among the approximately 128,500 patients with IHD, 1,049 patients had taken a combination therapy of statin and antiplatelet agents. The cohorts of patients administered clopidogrel, cilostazol, or sarpogrelate were 906, 79, and 64,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MAC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ohorts (p=0.58),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lopidogrel vs. cilostazol (p=0.72) or clopidogrel vs. sarpogrelate (p=1.00)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MACCE based on the type of antiplatelet drug (clopidogrel, cilostazol, or sarpogrelate) in combination with a statin in patients with IHD.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정주공간 유형별 주관적 삶의 질 수준 비교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Settlement Typ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 권인혜;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21-41
    • /
    • 2022
  • 이 연구는 도시-농촌, 수도권-비수도권 등 서로 다른 정주공간 속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전국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균형발전을 위한 삶의 질 만족도 설문조사' 원자료를 이용하고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도입하여 정주공간 유형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생활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든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고, 행복도의 경우 농촌 주민이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 거주 주민에 비해 더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영역별 삶의 질을 살펴보면, 기초생활환경, 의료,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대체로 가장 높은 반면, 일자리·소득, 환경, 공동체, 복지 영역에서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 주민보다 높다. 흥미롭게도 비수도권 도시가 강점을 보이는 영역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 결과는 점점 더 고도화되는 도시화 경향 속에서도 농촌이 갖는 가치를 보여주며, 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만의 가치를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농촌의 환경·경관 가치를 훼손하는 난개발 문제에 대응하고 농촌 정주환경을 조화롭게 정비·개발해가기 위해 공간계획에 기반한 농촌재생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Oncologic Outcomes after Laparoscopic and Open Distal Gastrectom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 Kim, Sang Hyun;Chung, Yoona;Kim, Yong Ho;Choi, Sung Il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1호
    • /
    • pp.83-9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oncologic and short-term outcomes of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LDG) and open distal gastrectomy (ODG)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GC).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6 to November 2016, 384 patients underwent distal gastrectomy for AGC. Data on short- and long-term outcome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and reviewed.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applied at a ratio of 1:1 to compare the LDG and ODG groups. Results: The operative times were longer for the LDG group than for the ODG group. However, the time to resumption of diet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ere shorter in the LDG group than in the ODG group (4.7 vs. 5.6 days, P=0.049 and 9.6 vs. 11.5 days, P=0.035, respectively). The extent of lymph node dissection in the LDG group was more limited than in the ODG group (P=0.002),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between the 2 groups. The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98% and 86.9% (P=0.018), and the 3-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86.3% and 75.3% (P=0.259), respectively, in the LDG and ODG groups. Conclusions: LDG is safe and feasible for AGC, with earlier recovery after surgery and longterm oncologic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of ODG.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대상노인 및 부양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PSM)과 이중차이(DD) 결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s - The DD Method Combine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

  • 권현정;조용운;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301-326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제도성과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확한 제도성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준실험적 방법인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결합모형을 이용해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사회적 성과변수인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3-4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성향점수추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매칭한 후,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성과의 차이를 추정하기 위해 패널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관계 만족도는 제도시행 이전에 비해 제도시행 이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실시되고 제도가 충분히 성숙된 시점에 이루어진 평가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가지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최종 목표인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의 목표실현과 향후 제도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 PDF

가구부문 미시자료를 활용한 에너지바우처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ergy Voucher Effects Using Micro-household Data)

  • 이은솔;박광수;이윤;윤태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8권4호
    • /
    • pp.527-556
    • /
    • 2019
  • 에너지바우처사업은 약 60만 가구를 대상으로 연간 천억 원 가까이가 투입되는 에너지 복지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사업으로,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사례이다. 본 연구는 에너지바우처 지급에 따른 가구의 에너지소비 확대 효과를 실증한다. 「한국복지패널」 저소득가구를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비수혜가구를 추출하며, 단순 이분차분과 함께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였다. 바우처를 수혜한 가구에서 월평균 4,371~4,870원을 에너지소비에 추가로 지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원액 대비 51.9~57.7%에 상당하는 비율로, 식품권의 23~56%와 비교할 때에도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바우처 지급이라는 에너지복지분야에서의 새로운 시도는 충분히 성공적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비수혜가구로부터 확인되는 사각지대의 문제나 에너지소비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차등 지원 등은 향후 해소해나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