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Feasibility of Linear-Shaped Gastroduodenostomy during the Performance of Totally Robotic Distal Gastrectomy

  • Wang, Bo;Son, Sang-Yong;Shin, Hojung;Roh, Chul Kyu;Hur, Hoon;Han, Sang-U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4호
    • /
    • pp.438-450
    • /
    • 2019
  • Purpose: Although linear-shaped gastroduodenostomy (LSGD) was reported to be a feasible and reliable method of Billroth I anastomosis in patients undergoing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TLDG), the feasibility of LSGD for patients undergoing totally robotic distal gastrectomy (TRDG) has not been determined. This study compared the feasibility of LSGD in patients undergoing TRDG and TLDG. Materials and Methods: All c: 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LSGD after dis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7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was performed to reduce the selection bias between TRDG and TLDG. Short-term outcomes, functional outcomes, learning curve, and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is analysis included 414 patients, of whom 275 underwent laparoscopy and 139 underwent robotic surgery. PSM analysis showed that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163.5 vs. 132.1 minutes, P<0.001)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significantly shorter (6.2 vs. 7.5 days, P<0.003) in patients who underwent TRDG than in patients who underwent TLDG. Operation time was the independent risk factor for LSGD after intracorporeal gastroduodenostomy. Cumulative sum analysis showed no definitive turning point in the TRDG learning curve. Long-term endoscopic findings revealed similar results in the two groups, but bile reflux at 5 year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in the TLDG group than in the TRDG group (P=0.016). Conclusions: LSGD is feasible in TRDG, with short-term and long-term outcomes comparable to that in TLDG. LSGD may be a good option for intracorporeal Billroth I anastomosis in patients undergoing TRDG.

고혈압 환자에서 한방의료기관 이용과 심혈관 위험 요소와의 관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DB (Association between Korean Medicine Hospital Utilization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National Korean Cohort Study)

  • 조현주;정혜진;임사비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0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Hospital Utilization (KMHU) on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 myocardial infarction (MI), stroke, and death in hypertensive patients taking antihypertensives. Method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database, this study identified and diagnosed 68,457 hypertensive patients taking antihypertensives between 2003 and 2006. They were divided into KMHU and non-KMHU groups. The follow-up period ended with the diagnosis of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or death.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re were 18,242 patients each in the non-KMHU and KMHU groups. We calculated the incidence rate, hazard ratio (H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MACE,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death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using a stratifie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n addition, secondary outcome analyses for strok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were performed. Results: After PSM, the HRs for MACE (HR: 0.84, 95% CI: 0.81-0.87), all-cause mortality (HR: 0.75, 95% CI: 0.72-0.79), and myocardial infarction (HR: 0.90, 95% CI: 0.83-0.97)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KMHU group than in the non-KMHU group. Moreover, the HRs for stroke-related mortality, haemorrhage and ischaemic stroke-related mortality, and ischaemic heart disease-related and circulatory system disease-related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KMHU group than in the non-KMHU group. Conclusions: On long-term follow-up observation, this study supported the effect of KMHU for managing hypertension and reducing the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s.

국내 만성질환 노인환자의 한의과 진료서비스 이용과 사망률 및 파킨슨병 발생률의 관계연구 (The Relation of Korean Medicine Services Use on the All-cause Mortality and Incidence of Parkinson's disease an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n Korea)

  • 우연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37
    • /
    • 2021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services use on the all-cause mortality and incidence of Parkinson's disease(PD)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orhort Database (elderly), called as the NHIS-senior. Methods :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ohort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NHIS-seni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over 65 years old who were not diagnosed PD during 2007-2009 were identified. The case group was defined as patients who used both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service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ho used Western Medicine service only. The all-cause mortality and incidence of PD was analyz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fter a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ith a 1:1 ratio. Results : After PSM, the cohort included 47,546 subjects (23,773 in the case group, 23,773 in the control group). Sex, age, comorbidity, severity of disability, and neurology medical service utilization were adjusted in both groups. The mortality was 0.668 times (95% C.I.: 0.646-0.690) lower in the cas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incidence of PD was 1.051 times (95% C.I.: 0.962-1.148) higher in the cas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272). Conclusion : It was not obvious that the use of both Korean Medicine service and Western Medicine services for prevention of PD is benefitial than using only Western Medicine. But it would be possible that using both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services decreases the mortality than using Western Medicine alone.

Effects of Inhalation versus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on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 Lee, Soojin;Cho, Jeong Su;Kim, Eunsoo;Kim, Yeongdae;Lee, Jongge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30-36
    • /
    • 2022
  • Background: No consensus exists regarding whether volatile anesthetics are superior to intravenous anesthetics for reducing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PPCs) in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for surgery. Studies of this issue focused on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are lacking.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versus volatile anesthesia on PPCs after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underwent lung resection at our center between January 2018 and October 2020. The primary outcome was the incidence of PPCs, which included prolonged air leak, pneumonia,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empyema, atelectasis requiring bronchofiberscopy (BFS), acute lung injury (ALI), bronchopleural fistula (BPF), pulmonary embolism, and pulmonary edem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used to balance the 2 groups. In total, 579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ca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olatile anesthesia and TIVA groups in terms of PPCs, except for prolonged air leak. Neither of the groups showed atelectasis requiring BFS, ALI, BPF, pulmonary embolism, or pulmonary edema after PSM. However,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duration of chest tube indwelling were shorter in the TIVA group. Conclusion: Volatile anesthetics showed no superiority compared to TIVA in terms of PPCs after anatomical pulmonary resection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Considering the advantages of each anesthetic modality, appropriate anesthetic modalities should be used in patients with different risk factors and situations.

Is It Safe to Preserve Left Atrial Appendage During Maze Procedure?

  • Kyungsub Song;Woo Sung Jang;Namhee Park;Yun Seok Kim;Jae Bum Kim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8호
    • /
    • pp.566-577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left atrial appendage (LAA)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LA mechanical contraction. Nevertheless, the preventive effect of LAA occlusion during the maze procedure against cerebral infarction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urgical, cardiac hemodynamic, and neurologic outcomes between LAA preservation and occlusion performed during the maze procedure. Methods: Between January 2015 and August 2021, 252 patients underwent the maze procedure using cryoablation at our medical center. After excluding patients according to our exclusion criteria (i.e., mechanical prosthesis implantation, preexisting LAA thrombus), LAA was preserved in 113 patients (non-occlusion group) and occluded in 75 patients (occlusion group). Outcomes were compar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Results: PSM did not reveal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on-occlusion (n=53) and occlusion (n=53) group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44 months, 2 patients in the non-occlusion group (3.8%) experienced ischemic strok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freedom from stroke (p=0.19)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p=0.43) between the 2 groups. Through echocardiography at 1-year follow-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A mechanical contrac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on-occlusion group and occlusion group (24 of 33 [72.7%] vs. 18 of 37 [48.6%], respectively; p=0.04). Conclusions: In this study, preservation of the LAA during the maze procedure resulted in better LA function than LAA occlusion, with similar rates of stroke.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의 정신건강: 트라우마 사건유형에 따른 비교 분석 (Sexual Trauma Survivors and Their Mental Health: Assessing Based on Types of the Traumatic Event)

  • 최소영;김혜윤;채수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9-140
    • /
    • 2024
  • 연구배경: 트라우마가 초래한 정신건강 문제는 사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성적 외상사건 경험자는 다른 유형의 외상사건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정신건강 결과가 부정적이라고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성범죄 등 성적 사건에 노출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협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성적 트라우마 사건을 중심으로 트라우마 사건의 유형이 정신건강의 차이를 유발하는지 확인하고, 자살생각과 잠재적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위험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20대부터 50대까지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토대로, 경험한 트라우마 사건의 유형에 따라 분석대상자를 구분하였다(성적 트라우마 경험자, 비성적 트라우마 경험자). 성적 트라우마 사건 경험 여부를 제외하고 정신건강(자살생각, 잠재적 PTSD 위험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성, 연령, 주관적 경제수준, 결혼상태)과 회복 보호요인(사회적 지지, 회복 가능성 인지, 아동기 보호경험)을 공변량으로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실시하였다. 이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PSM 후에도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는 비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보다 자살생각과 잠재적 PTSD 위험수준이 부정적이었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는 비성적 트라우마 경험자보다 자살생각이 1.9배(odds ratio [OR], 1.911), 잠재적 PTSD 위험수준은 2.5배(OR, 2.472) 높았다. 또한 트라우마 회복 인식, 사회적 지지, 아동기 보호 경험과 같은 회복 보호요인이 부정적일수록 자살생각과 잠재적 PTSD 위험수준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결론: 이 연구는 성적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성적 트라우마 경험자의 자살생각과 잠재적 PTSD 위험을 완화하고 회복을 돕기 위해 회복 보호요인을 촉진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D subsidies on private R&D expenditure)

  • 김호;김병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49-674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위하여 정부보조금을 지급하는 R&D 정책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직접보조금을 수혜하는 기업들의 특성과 보조금의 정책적인 효과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보조금을 지원하는 단계와 정부보조금을 지원 받은 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를 결정하는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에 이용된 기초자료는 2008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제조업, KIS2008) 자료이며 Nice 신용평가정보 KIS Value의 재무자료 및 연구개발활동조사의 연구개발투자비를 통합하여 구성한 자료이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보조금을 지원받은 기업의 주요 특성은 기업의 혁신역량, 재무적 특성, 기업이 속한 산업분야에 따라 정부보조금 수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평균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보완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의 투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가 산업별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정부보조금에 대한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 PDF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Labor Supply)

  • 권현정;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79-2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의 노동공급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식적 돌봄 서비스가 부양가구원들의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한다면, 이는 부양가구원들의 시간제약을 변화시켜 노동공급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동공급효과는 각국의 공적 돌봄 서비스의 제도적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서구국가들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실증분석들은 혼재된 결과를 보인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무엇보다 방법론상 내생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사실험설계인 PSM(Propensity Score Matching)과 DD(Double Difference) 결합모형을 활용하여 선택편의를 최소화하였다. 한국복지패널 3차, 9차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결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이중차이분석에서는 노동시간과 근로소득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더 엄격하다고 볼 수 있는 이중차이 고정효과모형분석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서구의 경험적 연구결과에 비춰보면, 한국의 공적 돌봄서비스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하지 못하고 일부만을 보완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그동안 제기되어온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급여불충분성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제도적 배열이 대상자 및 부양가족의 욕구에 맞도록 선택되어져야 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PDF

기술혁신의 원천에 따른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Does the Inward Technology Drive Job Growth?: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Sources on the Employment of Firms in Korea)

  • 서일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67-787
    • /
    • 2018
  • 본 연구는 기술혁신의 일자리 창출효과에 관해 산업조직론적인 관점에서 내/외부 기술소스가 고용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간 과학기술 사업화정책은 공공부문이 생산한 기술을 기업이 흡습하여 기술력이 향상되면 부가가치가 창출되어 결과적으로 고용으로 이어진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나, 실증적인 검증과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이에,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들의 재무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공기술의 이전여부에 따라 기업의 고용지표를 비교하고 인과관계에 관해 분석한다. 성향점수기법을 활용하여 외부기술을 도입한 그룹과 자체 연구개발을 추진한 기업을 비교한 결과, 연구개발 전담인력과 기업 전체 고용인원 면에서 외부기술 도입그룹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분석파트에서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해 연구개발 투자가 고용효과로 전환되는 인과적 영향을 파악한 결과, 외부기술 도입그룹의 전환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외부로부터 기술을 도입한 기업들은 기술을 내재화하는 과정, 후속개발 등에 추가적인 자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용효과 측면에서 볼 때, 이 결과는 기업이 외부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면 자체적인 투입요인(연구인력, 총 고용)을 줄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달리, 분석대상 기업들은 둘 사이의 관계를 보완적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가구부문 미시자료를 활용한 에너지바우처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ergy Voucher Effects Using Micro-household Data)

  • 이은솔;박광수;이윤;윤태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8권4호
    • /
    • pp.527-556
    • /
    • 2019
  • 에너지바우처사업은 약 60만 가구를 대상으로 연간 천억 원 가까이가 투입되는 에너지 복지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사업으로,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사례이다. 본 연구는 에너지바우처 지급에 따른 가구의 에너지소비 확대 효과를 실증한다. 「한국복지패널」 저소득가구를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비수혜가구를 추출하며, 단순 이분차분과 함께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였다. 바우처를 수혜한 가구에서 월평균 4,371~4,870원을 에너지소비에 추가로 지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원액 대비 51.9~57.7%에 상당하는 비율로, 식품권의 23~56%와 비교할 때에도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바우처 지급이라는 에너지복지분야에서의 새로운 시도는 충분히 성공적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비수혜가구로부터 확인되는 사각지대의 문제나 에너지소비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차등 지원 등은 향후 해소해나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