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log 언어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Expert System for the Fault Diagnosis in a Power System (전력계통의 고장진단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박영문;이흥재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
    • v.39 no.10
    • /
    • pp.1021-1028
    • /
    • 1990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n expert system for the fault diagnosis in a power system. The expert system is designed to estimate the fault sections with explanation about the propagation of the fault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false operation of protective devices. The identification of black-out area is also considered to assist the restoration process. As for the inference scheme, backward chaining method is adopted and the search space is reduced for the better performance. The expert system was developed using PROLOG language. Its application to a sample power system showed satisfactory result.

Design of Questionnaire Logic in Active Documents (능동문서 기반의 설문지 로직 설계)

  • Jang, Seon-Ah;Yang, Jae-Gun;Bae, Jae-Hak J.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45-946
    • /
    • 2009
  • 현재의 컴퓨터 설문 시스템은 설문의 규칙이나 처리절차들을 하드코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설문이 변경되면 처리엔진을 수정해야 한다. 이것은 설문 처리엔진이 설문에 종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약점을 해결하고자 능동문서 모델을 이용하여 설문으로부터 처리엔진을 독립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능동문서 기반의 설문지는 컨텐츠, 로직, 지식베이스(사용자 응답), 질의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로직은 다양한 질문유형에 대한 처리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서 어떤 설문 설계자도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로직은 직관적으로 서술할 수 있고 실행가능 하도록 XML 형식의 규칙 마크업 언어인 ERML로 표현하였다. ERML로 작성된 로직은 Prolog로 변환된 후 추론기에 등록되며, 사용자 응답에 따라 설문을 제어하고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질문유형을 ERML로 구현하고 설문 시스템(WINAD: The Web Interview System with Active Documents)에 적용한 실험 결과 설문으로부터 처리엔진을 독립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A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Rule-Based Reverse-Engineering Tool (규칙기반 역공학 도구의 구현 및 평가)

  • Bae Jin 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3
    • /
    • pp.135-141
    • /
    • 2004
  • With the diversified and enlarged softwares, the issue of software maintenance became more complex and difficult and consequently, the cost of software maintenance took up the highest portion in the software life cycle. We design Reverse Engineering Tool for software restructuring environment to object-oriented system. We design Rule - Based Reverse - Engineering using Class Information. We allow the maintainer to use interactive query by using Prolog language. We use similarity formula, which is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functions, in class extraction and restructuring method in order to extract most appropriate class. The visibility of the extracted class can be identified automatically. Also, we allow the maintainer to use query by using logical language. So We can help the practical mainten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reverse engineering tool and evaluation reverse engineering tool.

  • PDF

데이타 코드 생성 지원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 박대하;정인기;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04a
    • /
    • pp.265-274
    • /
    • 1993
  • 정보화 사회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데이타 코드들은 일관된 설계 원칙없이 필요할 때마다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정보의 중복 저장 및 정보교환에 있어서의 변환 작업등으로 인한 경비의 소요가 상당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코드 설계자가 일관성있게 데이타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타 코드 생성 지원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불완전 영역 설계를 위한 지식 획득과 표현에 적합한 전문가 시스템 쉘인 GUESS(Guideline Underlying Expert system Shell)를 설계하였다. GUESS는 전문가 시스템을 설계 지원 도구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기존에 작성된 적절한 설계 용례를 선택의 기준으로 제공하며, 유연성 있는 작업 지침들을 규칙으로 포함하고 있다. GUESS는 Prolog언어를 기반으로 한 추론기관과 설계지침을 포함하는 정적지식, 외부 데이타베이스를 연결한 동적 정보, 설계 세부방법을 담고 있는 부가도구들로 구성된다. GUESS/DCG는 데이타 코드 생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데이타 코드의 유형과 선택기준 및 설계원리를 정적지식으로 가지며, 이를 경험적으로 탐색하는 추론 기관 및 사용자인 데이타 코드 설계자와 적절한 대화식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설명부분과 대화 인터페이스를 GUESS를 바탕으로 구현한 것이다. 특히 동적 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데이타 코드의 통합된 저장, 일관성 있는 운영을 보장하기 위하여 개발중인 데이타 코드 관리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추가하여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데이타 코드의 참고와 호환성, 확장성을 유지하였다. 이 시스템은 데이타 코드 관리시스템에 일관된 생성 수단을 제공하는것 외에도, 각 기관에서 대량으로 작성되는 데이타 코드를 유지, 보수하는 작업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지의 선택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작업장의 휴리스틱에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 PDF

Noncondensable gas's influence in waster vapor absorption accompanying interfacial disturbance into aqueous solution of LiBr

  • Dong-Ho RIE;Keun-Oh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7 no.2
    • /
    • pp.63-70
    • /
    • 199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obtain a basic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a noncondensable gas on the absorption of water vapor by a $H_2O$ / LiBr combination with n-octanol as the surfactant. Nonflowing aqueous solutions of LiBr (40,45,50 mass%) were exposed to saturated water vapor following the addition of an n-octanol sufactant (0.01 and 0.6 mass%). A small amount of a noncondensable gas (air) was allowed into the absorber (0.03 volume%) and its effect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vapor absorbed. This study will ai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heat pump and safety operating condition when the noncondensable gas is not allowed in the absorber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presence of small amounts of a noncondensable gas, vapor absorption enhancement ratios are less than half o( those obtained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when a noncondensable gas is not present (1). The presence of a noncondensable gas causes the partial vapor pressure of air to increase at the vapor / liquid interface, which results in an instability of vapor absorption rate nd. hence, in an inhibition of interfacial disturb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