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PM역량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ltant's Competencies on Consulting Performance of Business Consulting: Moderating Effect of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 이병진;장성호;이종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255-266
    • /
    • 2011
  • 본 연구는 기업의 컨설팅 성과에 있어서 컨설턴트의 역량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얼마나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을 중요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소기업의 프로젝트의 규모적인 한계로 인해 관리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성공적인 IT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PM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M Competencies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IT Project)

  • 김동욱;이원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5-96
    • /
    • 2017
  • The revised "Software Industry Promotion Law" has been effective from 2013. This law is to be basis of the domestic public information sector and increases the opportunit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participating the public IT projects. The shortcomings of this law may be the increase of the risk and the decrease of quality of projects. These suggest that the competencies of project manager (PM) s are critical. Also, in general, an SI (System Integration) project is a one that provides a customer with a customer-tailored system for system integration. Particularly, in an SI project involved in a public institution or a large corporation, the ripple effect of success or failure of a project is becoming greater as the system requires higher cost and more time due to high complexity and large scale. One of the solutions to address these problems is to investigate the competencies of a PM. Thus, in this paper, we derived the major competencies using the RGT (Repertory Grid Technique) and categorized the resultant constructs using the content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mpetencies by applying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conclusion was that Problem-solving Skill and Leadership wer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of a project manager.

SI 프로젝트에 있어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정보화 역량과 관리 역량이 프로젝트 성공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프로젝트 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Project Managers' IT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 on the Success of SI Projec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ject Size)

  • 이중정;박주연;최정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4호
    • /
    • pp.31-54
    • /
    • 2012
  • Information Systems have played a strategic role in achieving business goal and become an essential tool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Thus, the number of developing SI project has increased and it becomes complex and sophisticated. It is known that project manager's leadership could lead the project success. In this study,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information competency(information-oriented min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information development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project management, human relationship, project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 on the SI project success an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project size.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project management competency and human relationship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both customers and suppliers side of projet succes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competencies and project success is shown to be different by project s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each managers' competencies ha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according to project's complexity and size.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A사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on the Performance of NPD Project in Project Matrix Organization: Focused on the Institute of Technology of Company A)

  • 윤인환;김주현;이희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295-303
    • /
    • 2015
  • 본 연구는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해당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을 지적, 관리, 감성 역량으로 분류한 후, 각 역량이 사전/사후 측면에서 기획 성과와 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 내 프로젝트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역량과 성과 간의 관계를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프로젝트 관리자의 지적 역량은 기획 성과와 완료 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관리 역량과 감성 역량은 두 성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노력은 프로젝트 관리의 역량과 성과에 관한 연구에서 매트릭스 조직을 대상으로 구체화된 역량과 성과를 분석한 차별화된 시도이며, 본 연구결과는 최근 재조명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 내 신제품개발 프로젝트 관리자의 선발과 교육 시 프로젝트 성과에 중요한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I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과 프로젝트 참여자 개인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I Project Manager's Leadership Competencies and Project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ies on Project Performance)

  • 이중우;이철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61
    • /
    • 2022
  • In order to improve project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roject manager's leadership competency and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the project participants on the project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individual competency, and project performance, and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i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the project manager and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the project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the project leadership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letion performance, and the project participant individual compet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mpletion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ject manager's core competency on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mount or period of the project type, which is the moderating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e success of the SI project, it is most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oject characteristics well and select a P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for nurturing excellent project managers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ject manager leadership competency and participant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based on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 for more competent PM selection.

중소기업을 위한 프로젝트 수행역량 평가모델 (A Project Competency Assessment Model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임형정;백동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44
    • /
    • 2012
  • The competitiveness of modern organizations highly depends upon organizational competencies rather than individual competencies.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on project success focused on individual competencies, such as project manager's competency and leadership. Even though there are some assessment models for the organizational project competencies, they are limited in specific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m to domestic companies, especially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ecause some assessment items are inappropriate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rganizational project competency assessment model that is suitable for evaluat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rst, the assessment areas and items for each area are determined through extensive investigation of previous models including OPM3, CMMI, and PMBOK. Next, the weights of assessment areas and items are decided by AHP analysis of experts response in the field of the project management. Finally, a project competency assessment model with assessment sheets is proposed.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might support manager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find pros and cons of project competencies and to establish improvement plans.

건설사업관리자 역량 모형 개발 및 역량 요구 분석: D사(社)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ing Competency Model and Analyzing Competency Needs for Construction Manager in D Co., Ltd.)

  • 김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37-5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의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역량 개발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사(社)의 우수 건설사업관리자 2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역량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 역량 모형은 3개 역량군, 11개 역량, 60개 행동 지표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수 집단과 평균 집단의 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하는 동시적 구성 타당화를 통해 역량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각 역량의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역량 개발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관리, 목표 의식, 고객 지향, 프로젝트 관리 역량에 대한 개발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자의 역량 기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건설사업관리자의 품질관리 직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Job Competency of Quality Management for a Construction Manager)

  • 정서영;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65-73
    • /
    • 2017
  • 오늘 날, 미국과 유럽의 선진 조직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인사관리의 기초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최근에들어 인사관리에 직무역량의 개념이 도입되어, 많은 조직에서는 이에 따라 인력을 관리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도입되어 있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인적자원관리 방식은 경력, 학위, 자격증 등의 요건을 충족하면 능력있는 기술자로 평가받는 연공서열주의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다. 이는 해당 업무에 대한 실질적인 전문성 및 직무역량에 대한 평가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는 사업진행 단계 및 관리업무의 종류에 따라 그 전문성 및 역량이 세분화되어 있으나, 현재의 경력관리 방식으로는 이러한 세분화된 역량의 확인이 어렵다. 그러므로 발주자의 요구 및 프로젝트 특성에 적합한 건설사업관리자를 선택하고, 건설사업관리자가 자신의 직무역량을 실질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업무별로 세분화된 역량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별로 세분화된 역량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행 건설사업관리자의 능력평가 방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한 후, 건설사업관리 직무 역량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창업지원단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Enabling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In The Center of Manager's Self-Efficacy)

  • 강혜정;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28
    • /
    • 2022
  • 2011년 이후,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며 이를 전담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규모 또한 증가하며 이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창업지원 매니저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나 창업지원 매니저의 요구역량과 보유역량 간의 간극이 커지며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고 이것이 창업지원단의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정의와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돕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따라 매니저가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정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는 것에 초점 두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자기효능감을 배가하여 창업지원단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시사점 도출과 이를 통해 향후 창업지원 매니저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각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련 법률적 근거를 가지고 창업지원 매니저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업지원 사업 운영에 있어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 매니저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셋째, 창업지원 매니저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인들을 나열하고, 창업보육 매니저들과의 비교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 지원사업의 현실에 따른 창업지원 매니저의 고용 형태, 근무 환경 및 상황 등 창업지원단 조직몰입도와 업무성과 등을 자기효능감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보여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차별적 필요역량은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은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과 업무성과, 창업지원단 몰입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기초적인 업무 지식부터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한 단계적, 맞춤식, 집중 교육 훈련, 창업자들의 빠른 성장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역량 강화 교육 등 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 강화 교육 훈련이 이뤄진다면 창업지원 매니저들의 자기효능감은 높아질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커질수록 창업지원 매니저는 본인의 역량을 크게 펼칠 수 있고, 이는 조직의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론적 기여로는 기존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과는 달리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 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이라는 새로운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을 도출하였다.

시스템엔지니어링에 기반한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 (An Effective Project risk Management Based on Systems Engineering)

  • 강탑;김성철;오정택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7권1호
    • /
    • pp.43-51
    • /
    • 2011
  • SE generally defines approaching ways of conducting identification, verification and integration of an optimized product and process solution to meet customer's needs by leverag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in engineering and management. To successfully develop a new product under mass production contract, it is important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program by ensuring that three major competencies are secured; core technology, system integration, and program managemen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asks in the three areas, systematic execution is called for, which requires identifying risk factors in advance. In particular, comprehensive risk management role and responsibility is required for program management. Success of a development program is determined by complex elements of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culture, and overall competency of an organization in technology and program management, including capability of the program manager. In this paper, a risk management solution is suggested to lead a program to success with a more efficient way through actual risk management by the concept of SE around the above thre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