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s for adults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34초

공공도서관 청소년프로그램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Young Adults' Programs Analysis & Revitalization in Public Library)

  • 이경란;한복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5-130
    • /
    • 200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와 도서관 이용실태, 청소년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공공도서관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청소년 프로그램의 내용과 청소년 도서관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 청소년 전용자료실 설치,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웹 사이트 구축, 전문인력 확충 등을 제시하였다.

Issues and Directions i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 Kim, Kyung-Won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71-84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and examines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based on literature reviews. Finally, strategies of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Korea are examined.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examined by surveying 90 senior centers, and 46 public health centers providing nutrition services. Most senior centers(96%) provided health education programs, however, nutrition was only a part of health programs. Among the 41 public health centers which responded to the survey, 73.1%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The frequently covered topics were prevention & management of hypertension/stroke, diabetes, nutritional management during later adulthood, and osteoporosis. Common barri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elderly education were;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older adults, reliance on lectures, difficulty in following-up. To develop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four stages consisting of needs assessmen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and evaluation should be carefully done. Needs assessment might be done using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ssessment.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 behavior of older adults can be systematically examined using a theoretical approach such as the PRECEDE-PROCEED framework. Qualitative method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lso provide insight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needs of older adults. In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physical and pshych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should be considered. Literature regarding elderly education suggest that active participation or participatory learning is also effective for older adults. Educational materials are develop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KISS and pre-tested. Program evaluation has been rarely done in practice, although it provides valuable feedback to the program. Strategie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for Korean elderly include; performing needs assessment, developing a standard program by topics in a logical and systematic way, developing programs for subgroups of elderly, applying diverse education methods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elderly, evaluating programs using simple tools, and delivering a nutrition program as a par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inally,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s strongly recommended to ensure better nutrition education and services to the elderly.

  • PDF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 김은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관 여가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경험에 대한 질적내용분석 (A Content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isure Programs among Older Adults)

  • 노인숙;조선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isure programs among older 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face-to-face interviews with nine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community leisure programs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Seven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1) A deep regret not learned, 2) unboring life, 3) living together, 4) having a happy life, 5) gaining recognition from family members, 6) cherishing their own lives, and 7) living for others.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understand meaning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isure programs before planning community senior programs.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community leisure programs for older adults' health promotion in community health centers.

서울시 자치구 대표도서관 성인대상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to Activate Programs for Adults in Representative Libraries in the Seoul District)

  • 신선주;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7-185
    • /
    • 2016
  • 도서관은 자료의 제공, 수집, 정리, 보존이라는 전통적인 역할 뿐 아니라 사회적 변화의 흐름과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역할을 확장시키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 대표도서관들의 최근 5년간 성인대상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성인대상 프로그램 담당자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과 이용자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성인대상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선방안으로 지역 내 타 기관과의 프로그램 차별화, 새로운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대한 운영역량교육 강화, 개별 도서관들의 차별화된 프로그램 정책, 이용자 요구사항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분석,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확대와 다양한 운영방식의 변화 등이 있다.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Young Adults'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한윤옥;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54
    • /
    • 2008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과제와 운영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대상의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42곳으로부터 응답한 설문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의 지향과 청소년 독서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s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nd Its Solutions for Development)

  • 김종성;엄미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9-56
    • /
    • 2010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탐색하였다. 1개 특별시와 6개 광역시의 공공도서관 중 2009년 8월 31부터 9월 4일까지 청소년 프로그램이 실시된 86개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프로그램을 참여형, 체험형, 강좌형, 콘테스트형, 기관협력형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제반 환경적 문제를 점검하고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환경 NGO의 사회 환경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의 동기에 관한 이론 고찰 (Review on Motive Type Theory Adults' Participation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by Environmental NGO)

  • 고운미;이택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2호
    • /
    • pp.14-22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 to determine the motive type of adult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b)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ir motive from the activities, and c) to provide strategies implications to satisfy their motive. For the purpose, literatures related to adults' participation motive type are reviewed. Based on the theoretical find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offered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1) Environmental NGOs should offer motive-friendly programs which may help the adults participate in the NG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ctivities. 2) Environmental NGOs should provide diverse 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 participation and to formulate eligible management system for the activities. 3) To satisfy the motive of particip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and conducted through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motive type of the particip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dults, and so on.

  • PDF

공공도서관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Older Adults' Digital Literacy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nd Improvement Plans)

  • 김수완;이성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9-7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노인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노인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전국 157개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둘째 국외 공공도서관의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였고, 셋째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담당 사서 9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운영요소와 내용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진료소 중심 치매 쉼터 프로그램 사례 (A Case Report on the Shelter for Dementia Programs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 손정실;김은미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6-11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helter for dementia programs based on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in rural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ase report provided by a primary healthcare post in Jeonnam, Korea, in 2023. A singl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ree months, and 10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shelter for dementia programs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entering the shelter for dementia program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n the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p=.005). Conclusion: The shelter for dementia programs based on primary health care post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impairments of rural older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