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ity measurement mode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2초

일정기간동안 누적된 어업피해의 사후적 피해율 추정모형에 관한 연구 : 정착성 어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l of Measuring Expost Cummulative Fisheries Damages : Focused on the Sedentary Fisheries)

  • 강용주;김기수;유명숙
    • 수산경영론집
    • /
    • 제32권2호
    • /
    • pp.23-50
    • /
    • 2001
  • The study tries to suggest one kind of method for measuring expost commutative fisheries damages caused by a large scale coastal reclamation. The situation of fisheries damages which the paper is considering is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cases:the latter is a priori investigation but the former is a posteriori one. Therefore we need a different approach for exact measurement of such kind of fisheries damages. The key contribution of the paper is to try to estimate a decreasing production function using the results of present investigation and several statistical data about our coastal fisheries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Using the function, the paper tries to derive the expected catch amount and damage amount.

  • PDF

Efficiency Measurement of Major Container Terminals in Asia

  • Ryoo, Dong-Keun;Yu, Song-Jin;Sharma, M.J.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67-275
    • /
    • 2006
  • Due to the growth of container traffic and port competition, ports have increasingly been under pressure to improve their efficiency in port operation and port management for competitive 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echnical efficiency among major container terminals in China, Korea and Singapore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is paper analyses the returns-to-scale using the output orientation of VRS and CRS model. The benefits of this study examining the relative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s will enable container terminal operating companies or port policy makers in those countries to identify current slacks and to set up a proper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 to improve their productivity.

역공학에서 웨이브렛 변황을 이용한 점 데이터의 선택과 할당 (Selection and Allocation of Point Data with Wavelet Transform in Reverse Engineering)

  • 고태조;김희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9호
    • /
    • pp.158-165
    • /
    • 2000
  • Reverse engineering is reproducing products by directly extracting geometric information from physical objects such as clay model wooden mock-up etc. The fundamental work in the reverse engineering is to acquire the geometric data for modeling the objects. This research proposes a novel method for data acquisition aiming at unmanned fast and precise measurement. This is come true by the sensor fusion with CCD camera using structured light beam and touch trigger sensor. The vision system provides global information of the objects data. In this case the number of data and position allocation for touch sensor is critical in terms of the productivity since the number of vision data is very huge. So we applied wavelet transform to reduce the number of data and to allocate the position of the touch probe. The simulated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is method is good enough for data reduction.

  • PDF

철도인프라 BIM 성과관리를 위한 업무 및 성과기록 표준 템플릿 개발 (Development of Business and Performance Record Standard Template for Rail Infrastructure BIM Performance Management)

  • 신민호;김환용;최영우;한상천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0-59
    • /
    • 2020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actively promoted the introduction of BIM at the national level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private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BIM has also increased. However, despite the large amount of references and informatio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quantitative ways to accurately measure the performance of BIM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erformance measurement cases using ROI, investment effect analysis, and queue model analysis using domestic and overseas BIM guideline research and to present standard templates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BIM performance records according to domestic conditions based on this. Performance measurement trends and cas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BIM were analyzed, and nine quantification elements were derived from this, and based on this, a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collection template at the BIM life cycle stage was prepared. Detailed items and contents were prepared for the nine quantification elements, and the final template consisted of a total of 43 questions, divided into the entire stage (15), the beginning (8), the middle (8), and the latter (12) areas. It is expected that by using the standard template of railway BIM performance record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BIM design stage will be diagnosed and the deficiencies will be supplemented, which will be the basic data for measuring actual quantitative performance in all life cycle performance of future BIM projects.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위탁급식전문업체의 산업체 급식소 효율성 평가 (Efficiency Analysis of Contract-managed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최규완;박영민;신서영;곽동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8-188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a new efficiency measurement indicator is necessary for evaluating management efficiency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contract-managed foodservice companies, to distinguish efficient food service providers and inefficient ones by measuring comparative efficiency among food service operations, and to provide guidance for effective management through showing benchmarking targets for improving inefficient food service provid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93 B&I foodservice Operations of a domestic contract food service compan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CR model in DEA model. A software, 'Frontier analyst', was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comparison of efficiency evaluation classified by providers with use of DEA, it was possible to identify efficient food providers and inefficient providers, and subsequently provide benchmarking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the inefficient groups. I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DEA efficiency evaluation by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food service provid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fficiency outcomes in terms of contract type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business condition.

A REPRESENTATIVITY TEST OF THE SURFACE SOLAR INSOLATION THROUGH SATELLITE OBSERVATION

  • Yeom, Jong-Min;Park, Youn-Young;Kim, Young-Seup;Han, Kyung-S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55-659
    • /
    • 2006
  • Surface Solar Insolation is important for vegetation productivity, hydrology, crop growth, etc. In this study, Surface Solar Insolation is estimated using Multi-functional Transport Satellite (MTSAT-1R) in clear and cloudy conditions. For the Cloudy sky cases, the surface solar insolation is estim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loud transmittance and multiple scattering between cloud and surface. This model integrated Kawamura's model and SMAC code computes surface solar insolation with a 5km ${\times}$ 5km spatial resolution in hourly basis. The daily value is derived from the available hourly Surface Solar Insolation, independently for every pixel. To validation, this study uses ground truth data recorded from the pyranometer install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gency (KMA). The validation of estimated value is performed through a match-up with ground truth. Various match-up with ground truth. Various match-up window sizes are tested with 3${\times}$3, 5${\times}$5, 7${\times}$7, 9${\times}$9, 10${\times}$10, 11${\times}$11, 13${\times}$13 pixels to define the spatial representativity of pyranometer measurement, and to consider drifting clouds from adjacent pixels across the ground station during the averaging interval of 1 hour are taken into account.

  • PDF

연속적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대학정보화의 도입효과 분석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Continuous Simulation Model)

  • 박영홍;김경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0-17
    • /
    • 2000
  • 오늘날의 대학사회는 정보통신분야의 비약적인 기술혁신으로 큰 변혁을 맞이하고 있다. 첨단의 정보통신시설과 국제적 감각을 갖춘 대학만이 총 공급이 총 수요를 초과하게 되는 미래의 대학 현실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경쟁 대학을 능가하는 생산성제고가 대학 최고의 경영목표가 되고 있다. 세계화, 국제화, 정보화 추세 속에서 사회의 학문적 욕구는 점점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면서 맞춤 교육과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적욕구의 충족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생존을 위한 전략으로 정보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면서 최상의 교육을 통해 다양한 사회의 지적 욕구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속적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대학이 정보화를 추진하기 전, 그 효과를 사전에 측정. 평가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도입수준, 규모 및 내용 등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대학이 교육 및 행정의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이에 수반되는 비용과 이로 인한 효과를 업무의 효율성 증가 및 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분석하여 최적의 대학정보화의 도입수준을 결정하고 정보화에 대한 투자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척도를 제공하게 된다.

  • PDF

건설 생산의 Life Cycle을 고려한 효율성 측정방안 (An Approach on Life Cycle Based Efficiency Measur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 정순오;윤수원;진상윤;김예상;박지훈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8-611
    • /
    • 2004
  • 건설 프로세스에서 효율성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의 생산성 향상 방안들은 1인당 매출과 같이 단순히 결과 위주의 지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함으로써 많은 변화 요인을 가지고 있는 건설 산업을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다수의 참여자에 의해 여러 단계로 진행되는 건설 프로젝트의 Life cycle 상에서 각 공종별 생산성 측정 및 관리, 그리고 생산성 저하의 원인을 도출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과 위주의 성과측정 방법인 생산성 개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젝트의 Life cycle의 각 단계별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는 건설 효율성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초고층 빌딩의 커튼월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제안한 모델을 적용하져다.

  • PDF

외식산업의 서비스품질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패스트푸드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Model for Evaluating Service Quality on Food Service Industry - Focused on Fastfood Sector -)

  • 최용정;정상윤;권인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12
  • 서비스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국내 GDP비중과 고용비중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2006년 12월에 정부가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이와 같이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주제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서비스품질 평가는 서비스산업의 생존과 수익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서비스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환경에서 주관성을 고려하여 서비스품질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퍼지이론과 AHP모형을 이용한 통합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는 서비스산업 경쟁력 제고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의사결정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혁신성장 측정에 관한 연구: 성장회계모형 vs 슘페테리안 기술변화 모형 (A New way of the Measuring of Innovative Growth: Growth Accounting Model vs Schumpeterian Technological Change Model)

  • 권명중;조상혁;윤미경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1호
    • /
    • pp.105-148
    • /
    • 2023
  • 본 논문은 Schumpeter의 기술변화 3단계 개념에 기초해서 기술진보가 실질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서 2003-2018년 기간 동안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 정도를 총요소 생산성 성장률(성장회계방법), R&D투자 기여율,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로 각각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회계의 총요소생산성 성장률과 슘페테리안 혁신 성장률에 의한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에 대한 측정에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다. 둘째, 생산성장률이 감소추세에 있으면 증가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해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 차이가 커지고, 반대로 증가추세에 있으면 감소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에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의 차이가 작아진다. 셋째, 혁신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기회, 즉, 어느 한 분야의 연구개발과 그 인접분야까지의 연구개발 유인이 혁신성장에 미치는 기여도는 3.3%에 불과하다. 이 결과가 기존의 기술진보의 성장기여에 대한 인식과 다른 이유는 기술진보라는 동일한 용어를 측정하면서 서로 다른 실체를 측정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거시적 경제효율성, R&D투자는 신기술공급의 효과성,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은 기술진보의 경제적 영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① 기술공급일변도의 정책에서 기술공급과 신기술수요지원의 융합정책으로 전환, ② 임무지향형 R&D 정책과 국가 R&D와 민간 R&D가 연계되는 R&D 정책, ③ 신지식체화 정도를 반영한 자본재의 재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