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Family Architectur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제품가족의 기능적 구조 모델링 (Functional Architecture Modeling of the Product Family)

  • 김태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56-262
    • /
    • 2007
  • In mass customization, the focus is variety and customization through flexibility and quick responsiveness. Mass customizers seek to provide personalized, custom-designed products at low prices to give customers exactly what they want and to provide sufficient variety in products and services. The idea of the product family is the most adequate approach to realize mass customization. An understanding of customer needs using functional decomposition becomes necessary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family. This paper focuses on functional architecture modeling based on customer need regarding sub-functions for the product family. A quantitative functional model captures product functionality and customer need. Based on customer need ratings and sub-function, a product-function matrix was created. Additionally, a product-product matrix was generated to provide a similarity index among product families. A case study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al architecture modeling was performed on the single use cameras.

저전력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ADD 기반의 아키텍처 설계 기법 (A Technique of ADD-based Architecture Design for Low Power Embedded Software)

  • 이재욱;홍장의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95-204
    • /
    • 2013
  • The embedded software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s of various versions that provides similar service based on product family. For increase usefulness of product family, software must has well-structured and reusable properties. Software architecture is important to improve adaptability in model-based development of embedded software mounted onto product famil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echnique of ADD(Attribute-Driven Design)-based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for low power software development. This technique provides a chance to consider the power consumption issue in design phase of software, and makes possible to develop low power embedded software.

소프트웨어 제품계열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 (A Study on Software Product-Line Architecture Design Process)

  • 오영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7-59
    • /
    • 2005
  • S/W product line is a S/W product or a set of S/W system, which has common functions. We can develop a specific S/W product, which satisfiesrequirements of a particular market segment and a mission in a specific domain by reusing the core asset such as the developed S/W architecture through the S/W product line. S/W development methodology based on the S/W product line can develop a S/W more easily and fast by reusing the developed S/W core asset. An advanced country of S/W technology selects S/W product line as a core field of S/W production technology, and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In case of USA, CMU/SEI (Carnegie Mellon University /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developed product-line framework 4.0 together with the industry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urope i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roduct line technology through ITEA(IT for European Advancement) program. In this paper, we aim to construct reference architecture of S/W product line for production of the S/W product line.

대량주문제품의 고객에 의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by Customers for Mass Customization Products)

  • 서광규;김형준;장형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7-59
    • /
    • 2000
  • Producing what customers need with near mass production efficiency, or mass customization, has been a major trend in industry. Effective definition of customer requirements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mass customization. The new method, called "Design by Customers",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an approach for companies to communicate to customers about what the company can offer, to find out customer needs, to assist customers in making choices and to negotiate for agreements.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in making company are represented in a Product Family Architecture. Adaptive Conjoint Analysis is then applied help customers assert their needs, defined variations from base product, visualize their options and assess alternatives. A power supplier of a electronic appliance is shown as an example to demonstrated the suggested method.ed method.

  • PDF

Analytic Network Process에 기초한 제품가족 디자인 (Product Family Design based on Analytic Network Process)

  • 김태운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7
    • /
    • 2011
  • 오늘날 글로벌한 경쟁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유지하고 생산성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대량맞춤(mass customization)이 많은 선도기업에서 채택되고 있다. 대량맞춤은 제품가족과 제품 플랫폼에 근거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새로운 제품을 유연하고 효율적이며 고객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제품 플랫폼에 기반한 제품가족 전략이 대량맞춤을 실현화하는데 적절한 방법이다. 제품가족이란 다양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공통의 특성, 구성부품, 서브 시스템을 공유하는 일련의 유사한 제품군으로 정의된다. 이 연구의 목표는 제품가족 설계 전략을 이용하여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의 구성부품간의 우선순위를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다. 신 제품 개발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은 피드백을 가지는 다 변량 의사결정 모형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분석적 네트워크 과정(analytic network process) 방법을 이용하여 의사결정 모델과 절차를 수립하였다. 구현을 위해서 제품가족 모델에 적합한 소형 PC인 넷북 제품을 선정하고, 각 제품가족에 대한 구성부품에 대하여 제안된 방법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구현결과를 QFD 모델을 이용하여 고객요구사항과 구성부품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소프트웨어 제품 군을 개발하기 위한 점진적 방법 (Incremental Method for Developing Software Product Family)

  • 주복규;김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4호
    • /
    • pp.697-708
    • /
    • 2003
  • 소프트웨어 제품 군 개발 방법은 모든 멤버 시스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분석하여 표준 소프트웨어 구조와 컴포넌트들을 개발하여 생산라인을 갖추고, 제품 개발 조직에서 여러 버전을 병행하여 생산하고 관리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제품 군 방법은 성공하였을 경우에 경제적 이익은 크나, 초기 투자비가 매우 크다는 것과 첫 제품이 늦게 나온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초기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 궁극적으로 제품군 개발 방법을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점진적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초기 버전을 개발할 때부터 변화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여 차기 버전의 개발에 활용한다. 이 변화 분석의 결과는 본격 제품 군 개발로의 전환을 쉽게 해 준다. 변화 가능성을 기록하는 변경 사양서의 생성과 개선 기법을 중심으로 우리의 방법을 설명하고, YBS 시스템 개발을 예로 그 적용을 보인다.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초기에 많은 투자를 할 수 없거나 초기버전을 빨리 시장에 내 놓아야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저 위험 제품 군 개발 방법이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모델을 위한 가변성 분석 방법 (Variability Analysis Approach for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s)

  • 문미경;염근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5호
    • /
    • pp.621-628
    • /
    • 2008
  •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들은 외부상황에 신속하게 비즈니스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온디맨드 비즈니스 (On-demand business)를 구현하기 위해 IT 시스템의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는 온디맨드 운영환경에서의 비즈니스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를 제공한다. 오늘날의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SOA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맞게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재사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방법의 가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family)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을 분석하고 이를 명시적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모델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 방법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BPFM을 모델링하고 BPFM으로부터 가변성 결정과 가지치기 과정을 거쳐 자동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Business Process Model: BPM)을 생성하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의 가변성 분석을 통하여 비즈니스와 이를 지원하는 IT 시스템은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특성 구성과 GenVoca 아키텍처에 기반한 컴포넌트 재구성 자동화 도구 (Automatic Component Reconfiguration Tool Based on the Feature Configuration and GenVoca Architecture)

  • 최승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25-134
    • /
    • 2004
  • 최근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러덕트 라인에 대한 연구와 소프트웨어 프러덕트 라인에 자동 생성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러덕트 라인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 재구성 자동화 도구를 제안한다. 본 도구는 도메인 공학의 주요 산물인 특성 모델로부터 재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받아들여 특성 구성(feature configuration)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컴포넌트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컨포넌트 패밀리는 자동 생성 프로그래밍의 한 기법인 GenVoco의 아키텍처를 가지며 XSLT 스크립트가 컴포넌트론 구성하는 구현 부품의 코드 템플릿을 제공한다. ‘은행 계좌’ 컴포넌트 패밀리를 사례 연구로 하여 본 논문의 컴포넌트 재구성 자동화 도구가 재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생성함을 보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소프트웨어 프러덕트라인 개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응용될 수 있다.

  • PDF

CompGenX: GenVoca와 XML 기반의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스템 (CompGenX: Component Code Generation System based on GenVoca and XML)

  • 최승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57-67
    • /
    • 2003
  • 소프트웨어 생산 라인은. 소프트웨어 자산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컴포넌트를 구체화하고 미리 정의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조립함으로써, 고품질의 응용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생산 라인 구축을 지원하기 위하여 GenVoco 아키텍처와 XML/XSLT 기술을 이용한 컴포넌트 코드 자동 생성 기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스템인 CompGenX(Component Generator using XML)를 제안한다. CompGenX은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에 컴포넌트의 재구성성을 지원함으로써 재사용자가 컴포넌트 재사용 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컴포넌트의 소스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를 위한 컴포넌트 개발 과정은 크게 컴포넌트 패밀리 구축 과정과 컴포넌트 재사용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CompGenX는 컴포넌트 패밀리 구축 과정을 위하여, 도메인 분석을 위한 특성 모델 작성 도구, 도메인 설계를 위한 도메인 아키텍처 정의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코드 자동 생성에 필요한 구성 지식 명세서와 코드 템플릿 작성 도구를 제공한다. 컴포넌트 재사용 과정을 위해서 CompGenX는, 컴포넌트 패밀리 검색 도구, 컴포넌트 커스터마이징 도구 및 컴포넌트 코드 생성기 등을 제공한다. 본 논문의 컴포넌트 코드 자동 생성 기법과 생성 시스템은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생산 라인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다.

  • PDF

국내 중.소규모 병원을 노인 요양시설로의 리모델링시 요구되는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ance for Remodeling Small and Medium Hospitals into Nursing Homes in Korea)

  • 박현준;최상헌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7-28
    • /
    • 2010
  • The considerable increa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expected annually and when we think about the family members' and the patients' suffering, it could be painful. Above all things, it imposes heavy economic burdens on the family members that have patients who suffer from diseases of age like dementia or paralysis that caring them at home and also, it is not desirable for those old people in point of physical or environmental circumstances for medical care. Thus, it is needed urgently that the expansion of specified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services for these old people. Under this present condition, it is the special feature that the subject of research is people/facilities that offer services, not the elderly with dementia-the main user of those facilities. This proposal aims to make a study of expansion and improvement the old people's welfare facilities by using remodeled closed Small and Midium Hospitals which are the bad effect of economic growth. Also, it can save money with re-using abolished buildings which is property of the nation and protect environment too.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old people's welfare institution, and research a factor of remodeling for welfare facilities. Then we will verify remodeling-possibility which is concrete and working by using the product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