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Assessment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4초

암모니아 입하 및 저장시설에서의 위험도 관리 (Risk Management for Ammonia Unloading and Storage Tank Facility)

  • 정윤서;우인성;임종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5-103
    • /
    • 2017
  • 제조산업 현장에서는 수많은 유해위험물질이 사용, 처리 및 생산되고 있으며,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시설에서 많은 누출, 화재 폭발사고가 보고되고 있다. 유해위험시설에서의 위험관리 및 사고예방을 위하여 공정안전관리(PSM), 가스안전관리(SMS), 장외영향평가(ORA) 제도 등 다양한 안전환경관리 프로그램이 국내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고 학계에서도 위험성평가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입하 및 저장 시설을 대상으로 정량적 위험성평가가 수행되었는데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피해영향범위 산정에는 장외영향평가용 KORA 프로그램, 사고 빈도 분석에는 LOPA PFD 활용 방식을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 추정된 위험도를 완화하고 지속적인 위험을 관리하는 방안으로 누출 감지 및 비상 차단, 물 분무 및 증기 희석 설비, 방류벽 및 트렌치, 누출 비산 방호 등 공정 안전설계 하드웨어 개선부분과 위험관리기준 효과적 적용, LOPA 보완적용, 보조 피해영향범위 산정 프로그램 활용, 위험도기반 공정안전관리제도 적용, 공정위험성 재평가 및 이행성 관리 등 프로그램 및 제도 운용 측면에서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동작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및 피드백 제품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Sensing and Feedback Product Design for Movement Monitoring)

  • 조현승;양진희;이강휘;이정환;박서연;최형익;전학수;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65-176
    • /
    • 2018
  • 본 연구는 시 청각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의류형 웨어러블 동작 센싱 및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 센서 제조 및 이를 적용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직물기반 동작 센싱 모듈 설계, 아동의 운동 흥미 유발을 위한 시 청각 피드백 시스템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SWCNT 기반의 동작 센싱용 신축성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이를 의복의 사지 관절 부위에 부착한 스포츠웨어를 디자인하였으며, 센싱 모듈을 설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관절 동작 실험을 통해 센싱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악세서리 형태로 개발된 피드백 제품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웨어를 착용한 아동의 동작에 따라 빛과 소리로 반응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아동의 운동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아동용 스포츠웨어 및 악세서리 제품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실내 주행 및 승강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고령 여성의 사용성 연구 (Usability Study of the Elderly Women Using Indoor Driving and Elevating Electric Wheelchairs)

  • 김영필;홍재수;함헌주;홍성희;고석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19-42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설계된 시작품을 보완하여 1차적으로 완성된 시제품에 대하여 고령 여성들이 직접 사용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불편한 사항이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점을 찾아보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사용성 평가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동작 및 신체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여성 10명을 피실험자로 선정하였다. 고령 여성이 이승과 주행의 일생상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이승, 승강, 주행, 도착으로 사용성 평가항목들을 정의하고, 사용성 평가 실험환경을 구축하였다. 실험방법은 대상 제품을 사용하는 일상생활 시나리오에서 고령 여성과 기기 간의 주요 사용 접점 분석을 통해 주관적 만족도 설문평가, 동영상 촬영 자료를 활용한 관찰평가 등으로 수행하였으며, 프로토콜은 5단계로 나눠 진행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그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사용성 평가결과, 승강부문의 개선사항으로는 승강 제어 패널과 주행 제어 패널을 분리해야 하며, 토글 등의 아래/위 방향으로 움직이는 버튼을 통해 직관성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행부문에서는 앞바퀴 메커니즘 또는 주행 제어 알고리즘 개선과 UI 개선, 급정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승부문에서는 시트 좌면부의 크기 향상을 통해 안전성 확보와 힘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 추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성 평가에서 나타난 불편사항과 개선사항을 토대로 한층 더 보완된 연구개발 제품이 출시된다면 거동이 불편한 고령 여성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실내에서 간단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삶의 질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Dietary source of vitamin $B_{12}$ intake and vitamin $B_{12}$ statu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lder living in rural area

  • Kwak, Chung-Shil;Lee, Mee-Sook;Lee, Hae-Jeung;Whang, Jin-Yong;Park, Sang-Ch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229-234
    • /
    • 2010
  • Recently, we found and analyzed vitamin $B_{12}$ in some Korean traditional plant foods which had not reported, ye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tamin $B_{12}$ intake and its dietary sources and the vitamin $B_{12}$ status in the very old elderly Koreans. We measured serum vitamin $B_{12}$ level and estimated the amounts of vitamin $B_{12}$ intake from different dietary source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ver who had consumed a relatively low animal traditional diet for the whole lif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n = 127) was 98.0 years (85-108 years). The assessment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volved a one-day 24-hour recall, and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Overall diet patter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85-99 yr-old group and centenarians, except centenarians were taking more dairy product. The average ratio of plant food to animal food consumption was 87.5:12.5 in weight. The average vitamin $B_{12}$ intake of our subjects was 3.2 ${\mu}g$, and 52.7% of subjects consumed unde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2.0 ${\mu}g$/day. On dietary source, 67.3% of dietary vitamin $B_{12}$ was from meat, eggs and fishes and 30.6% was from plant foods, such as soybean-fermented foods, seaweeds, and kimchi. The average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as 450.5 pg/mL, and low serum vitamin $B_{12}$ (< 200 pg/mL) was found in 9.6% of subjects. Dietary vitamin $B_{12}$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ubjects with low serum vitamin $B_{12}$ (0.79 ${\mu}g$/day) than those with normal serum vitamin $B_{12}$ (3.47 ${\mu}g$/d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min $B_{12}$ intake and its dietary sources and serum vitamin $B_{12}$ level between the 85-99 yr- old group and centenarians. In conclusion, several plant-origin foods including seaweed, soybean-fermented foods, and kimchi,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good vitamin $B_{12}$ status in very old elderly Koreans.

농촌개발사업에서 차별화가 갖는 의미와 주민평가에 주는 함의 (The Meaning of Differenti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Its Implications on Resident Assessment)

  • 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79-90
    • /
    • 2015
  • In empirical studies on rural development projects, differentiation tends to be considered a strategy aimed at increasing the number of visitors.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e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discussion about project goals and evaluation of project results are often focused on the aspect of rural tourism. Thus, subjective benefits of such projects for residents are omitted.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differen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and explores the validity of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residents' subjective score as evaluation indicators for a project. To achieve such an objective, this study us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3 people in 38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in areas of Eup and Myeo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fferentiation is viewed as a by-product of positive improvement from a rural developmen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The effects of rural development are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socioeconomic effects and living environmental effects. Landscape improvement is included in the dimension of living environmental effect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is included in the dimension of socioeconomic effects. As such, they are confirmed to b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For exampl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is confirmed to be a valid indicator of project success, in which two-dimensional characters are reflecte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evaluated by residents is a result of the workings of the above two factors. Unlike in previous studies,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s is confirmed in the evaluation of results. When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is interpreted as the direct result of a project, the number of visitors has an impact on socioeconomic effects, and the project content of landscape improvement has an impact on living environmental effects. The goal of policy and residents is the same in terms of the effort residents may make in maximizing results of a project by themselves; thus, the government's goal is achieved even when a project is carried out under the autonomy of residents. Ultimately,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providing conditions in which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can not only occur but help to establish a policy direction, which subsequently strengthens the substantial rights of residents.

GRACE 관측 TWSA와 TWSC를 활용한 Noah 지면모형기반 토양수분 평가 (Assessment of Noah land surface model-based soil moisture using GRACE-observed TWSA and TWSC)

  • 전종안;김선태;이우섭;김대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4호
    • /
    • pp.285-29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Noah 3.3 지면모형을 이용하여 표층과 근역층(root-zone)의 토양함수비를 추정하고, 이를 위성기반 및 재분석 토양수분자료와 비교·검증하였다. 먼저, Noah 3.3 지면모형으로부터 추정한 4개 토양층 중 지면에 가까운 3개층(즉, 표층으로부터 1 m 깊이까지) 토양함수비를 이용하여 3개층의 깊이 가중평균값을 근역층 토양 함수비로 정의하였다. 이렇게 Noah 3.3 지면모형으로 추정한 토양함수비를 위성기반 표층 토양 함수비(European Space Agency Climate Change Initiatives Soil Moisture Product v04.4, ESA CCI SM v04.4)와 ERA-interim 재분석 표층 및 근역층 토양함수비와 비교·검증하였다. 또한, 전지구의 주요 5개 유역(Yangtze, Mekong, Mississippi, Murray-Darling, Amazon)에 대해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관측 Total Water Storage Anomaly (TWSA) 와 TWS Change (TWSC)를 이용하여 비교·검증하였다. Noah 3.3 지면모형으로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는 동아시아 지역과 남아시아 지역, 호주, 북미와 남미 등 대부분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높은 아노말리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5개 유역에서 호주의 머레이-달링(Murray-Darling)유역에서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4개 유역에서는 대체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Noah 3.3 지면모형은 준실시간 토양수분 모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가뭄감시가 가능하며, 선제적 가뭄 대응 대책 마련에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Pale ale류에 속하는 맥주 신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Pale Ale Beer)

  • 김기화;박수지;김지은;동혜민;박인선;이재환;현소양;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2-147
    • /
    • 2013
  • Pale ale류에 속하는 수입산 시판 맥주 3종과 신제품 맥주를 대상으로 일반적 품질특성과 향기패턴 및 맛의 성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은 4.35%의 알콜 함량을 나타냈으며 B.U.는 3.5, 색도는 34.43(EBC), sweetness는 $2.28^{\circ}P$, pH는 3.96, 총산은 5.21, 폴리페놀은 181.22 mg/L의 함량을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의 경우 시판 맥주와는 구분되어 다른 향기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C를 이용한 총 14종의 휘발성분 중 ethyl acetate, isobutanol, isoamyl acetate, isoamyl alcohol, ethyl hexanoate 함량의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물질들은 시판 맥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 분석에서는 시판 맥주에 비하여 NB의 신맛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맥주의 주요한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 중 하나인 quinine을 정량 한 결과 시판 맥주에서의 농도는 1.5-1.8 mg/L 사이로 나타났다.

쿡췰(Cook/Chill)시스템을 이용한 고등어조림의 HACCP 레시피 개발 및 생산과정의 품질평가 (The Development of HACCP-Based Standardized Recipe and the Quality Assessment of Cook/Chilled Soy Sauce Glazed Mackerel)

  • 곽동경;이경은;박혜원;류경;홍완수;최은정;장혜자;김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92-601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based standardized recipe applicable to cook/chilled soy sauceglazed mackerel and to evaluate the qualities related to the product flow of this item. After conducting experimental cooking, preliminary test, and analysis of recipes, critical control points were identified, control methods were determined, and HACCP-based recipe was standardized. At each critical control point, time-temperature profile was recorded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total aerobic plate counts, psychrotrophic plate count, coliform, and fecal coliform count), chemical analysis (pH, acid value and volatile based nitrogen (VBN))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item were done. Time-temperature data showed that the time the menu item had passed through temperature danger zone (5∼60$^{\circ}C$) during all phases was 60 min. At rapid cooling, but afte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is menu item did not drop below the ambient temperature.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test were negative throughout all phases following cooking and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erms of storage periods except for VBN which increased on 7th day significantly(p<0.05). After steam/convection oven reheating and microwave oven reheating, the sensory score of the only appearance decrease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orage time of overall quality profile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detected according to two reheating methods. In conclusion, this HACCP-based recipe wa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ool for assuring microbial as well as sensory quality of this cook/chilled item.

  • PDF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20년의 평가 (An Evaluation of Korea's 20-Year ODA)

  • 이계우;박지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9권2호
    • /
    • pp.41-74
    • /
    • 2007
  • 본 논문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의 효과를 원조기관 설립법의 목적달성 여부에 기반을 두고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의 기준은 설립법의 목적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수원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과 공여국인 한국의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FDI) 증진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수원국을 지역, 소득수준 및 경제적 자유도별로 구분하여 원조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양자 간 무상원조(bilateral grants)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양자 간 유상원조를 1990~2003년 사이의 163개 수혜국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공적개발원조는 수원국의 1인당 GDP 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해외직접투자에 있어서는 공적개발원조가 전 기간에 걸쳐서 수원국에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를 증진시켰다. 수출에 있어서는 2000~03년 기간을 제외하고 공적개발원조가 수원국에서 한국의 수출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정책 수립에 참고가 될 권고를 하였다. 먼저, 수원국의 수를 집중과 선택의 원칙에 따라서 줄이고, 공적원조의 규모를 확대하고, 다른 원조공여국 및 국제개발원조기구와의 공동협력원조를 증진하여야 한다. 둘째, 원조의 목적과 원조자원의 배분기준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집행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원조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각 수원국별로 유 무상 원조를 아우르는 하나의 조화된 중기원조사업계획을 수립하여 집행한다. 끝으로, 원조기관은 개별적인 원조사업에 대한 사전 사후 평가기준과 사업집행의 점검 감독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여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 PDF

Post HCV Infection Due to MX Gene Stimulation Produced Post Treatment with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Egyptian Biosimilar IFN

  • Mohamed, Shereen H;Mahmoud, Nora F;Mohamed, Aly F;Kotb, Nahla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635-5641
    • /
    • 2015
  • Background: Cirrhosis is regarded as a possible end stage of many liver diseases, including viral infection. It occurs when healthy liver tissue becomes damaged and is replaced by scar tissue and finally may lead to hepatocellular carcinoma. Interferons (IFNs)are two general categories, type I and II. Type I includes one beta interferon and over 20 different alpha interferons. Alpha interferons are very similar in how they work, interacting with other proteins on cells like receptor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x gene productivity post different cell line treatment with impor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as well as the efficacy of those tested IFNs. Also, an assessment was made of sensitivity of different cell lines as alternatives to that recommended for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Different cell lines (Vero, MDBK and Wish) were employed to evaluate cytotoxicity using the MTT assay. Antiviral activity was evaluated compared with standard IFN against VSV, Indiana strain -156, on tested rh-IFNs (imported; innova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in the pre-treated cell lines previously mentioned. The virus was propagated in the Wish cell line as recommended. Finally we estimated up-regulation of the Mx gene as a biomarker. Results: Data recorded revealed that test IFNs were safe in test cell lines. Viability was around 100%. Locally tested interferon did not realize the international potency limits, while the imported one was accepted compared with the standard IFN. These results were the same either using infectivity titer reduction assay or crystal violet staining of residual non- infected cells. Mx protein production was cell type related and confirmed by the detected Mx gene expressed in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IFN pre-treated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Vero> wish > MDBK for the imported IFN, while for the Egyptian biosimillar locally produced one it was MDBK> Vero> wish. With regard to the antivir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orted IFN potency compared with the locally produced IFN (P<0.05), the IFN potential (antiviral activity) was not cell line related and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separate product. Conclusions: Vero cell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cell line for evaluation of IFN potency in case of unavailable USP recommended cell lines. Alternative potency evaluation assay could be used and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FN potency in case of local and imported agents.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could be used in parallel to viral infectivity reduction assay for better accuracy. Mx gene can be used as a marker for IFN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