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ollage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9초

Age-related Reference Intervals for Total Collagen-I-N-terminal Propeptide in Healthy Korean Population

  • Yoo, Jun-Il;Park, Ae-Ja;Lim, Yong Kwan;Kweon, Oh Joo;Choi, Jee-Hye;Do, Jae Hyuk;Kim, Sunjoo;Kim, Youngri;Ha, Yong-Chan
    • 대한골대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5-241
    • /
    • 2018
  • Background: Procollagen type I N-terminal propeptide (PINP) is one of the most clinically useful bone formation biomark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ependent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utomated total PINP assay and established age- and gender- specific reference intervals for PINP in healthy Korean population. Methods: The imprecision, linearity, and detection capability of Elecsys total PINP assay was determined and reference interval was established using 599 serums from Korean population with normal bone mineral densities based on bone densitometry. Age groups were divided into 20s, 30s, 40s, 50s, 60s and over. Results: Elecsys total PINP had excellent performance in imprecision, linearity, and detection capability. When partitioning age groups in Korean male and female populat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INP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n male populations, PINP level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n it remained steady after middle-age. In female populations,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similar to that in the male population with a sharp increase in the 50 to 59 age group. Conclusions: Elecsys total PINP assay showed precise and reliable performance in our study. We established age-related PINP reference intervals for Korean male and female population with normal bone mineral densities.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제1형 프로콜라겐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noderma lucidum Solid-state Fermented Salix gracilistyla Extract on Type I Procollagen Biosynthesis in HDFn Cells)

  • 정용운;박영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3-163
    • /
    • 2019
  • 본 연구는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의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기존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 균사배양 방법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약용버섯인 불로초(Ganoderma lucidum) 균사의 배양을 통하여 그 효능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소거능 분석결과에서는, 갯버들 추출물(SGE)이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GLSGE) 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나,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평가에서는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GLSGE)이 갯버들 추출물(SGE)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GLSGE)은 갯버들 추출물(SGE)을 처리한 경우보다, HDFn 세포의 생존율을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켰으며, HDFn 세포의 제1형 프로콜라겐의 생합성 또한 매우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앞선 실험을 통해,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이 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되며, 기능성 소재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불로초 균사의 배양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Effects of Polygoni Multiflori Radix on the Elastase, and Collagenase Activities and the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 Kim, Myung-Gyou;Leem, Kang-Hyun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2
    • /
    • 2014
  • Objectives : Polygoni Multiflori Radix (PMR), the root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is used to nourish the blood and yin and used for preventing premature greying of the hair. There are some articles on its preventing effects on the melanogenesis. However, there is no report about its effects on the collagen and elasti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collagen metabolism and elastase activity. Methods : The effects of PMR o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in human normal fibroblasts Hs68 after UVB (312 nm) irradiation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Cells were pretreated with the PMR for 24 hours prior to UVB irradiation. After UVB irradiation, cells were retreated with the sample and incubated for additional 24 hours. The amount of collagen type I was measured with a procollagen type I C-peptide assay kit. The activity of collagenase was measured with a MMP-1 human biotrak ELISA system. The elastase activities after treatment of PMR were measured as well. Results : In the present study, the collagen production was not increased. However, the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after UVB damag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to $50.2{\pm}14.5%$, $8.2{\pm}3.1%$, and $10.0{\pm}3.3%$ (10, 30, and $100{\mu}g/ml$). The elastase activities (10, 100, and $1000{\mu}g/ml$) significantly reduced to $75.2{\pm}5.2%$, $40.3{\pm}1.2%$, and $27.0{\pm}1.9%$, respectively. Conclusion : PMR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on collagenase and elast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R may have potential as an anti-aging ingredient in cosmetic herbal treatment.

Effects of Bletillae Rhizoma on the Elastase, Collagenase, and Tyrosinase Activities and the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 Lee, Jung-Hun;Kim, Myung-Gyou;Lee, Sena;Leem, Kang-Hyun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4
    • /
    • 2013
  • Objectives: Bletillae Rhizoma, the roots of Bletilla striata, is used to restrain the leakage of blood and stop bleeding. It can cure the sores, ulcers, and chapped sk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llagen metabolism, elastase and tyrosinase activity of Bletillae Rhizoma extract (BR). Methods : The effects of BR o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in human normal fibroblasts Hs68 after UVB (312 nm) irradiation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The elastase activity, tyrosinase activity, and L-DOPA oxidation after treatment of BR were measured as well. Results : In the present study, the collagen production (type I procollag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15.7{\pm}1.8$ ng/ml at a concentration of BR 100 ${\mu}g/ml$ in UVB damaged Hs68 cells. The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after UVB damag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to $42.7{\pm}0.7%$, $54.5{\pm}3.5%$, and $38.4{\pm}0.9%$ by BR 10, 30, and 100 ${\mu}g/ml$. The activities of BR 10 mg/ml on tyrosi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45.1{\pm}8.4%$ as wel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the L-DOPA oxidation. Conclusion : BR showed the promoting effects of collagen synthesis and inhibitory effects of collagenase activity in Hs68, human normal fibroblast cells. And these could be thought to have the anti-wrinkle effects and whitening effects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 may have potential as an anti-aging ingredient in cosmetic treatment.

치주인대 세포의 교원질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 (EFFECTS OF SUBSTANCE P ON COLLAGEN PRODUCTION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전준영;최제용;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94
    • /
    • 1996
  • Substance P는 교정력이 가해진 치아의 치주인대 중 인장력을 받는 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neuropeptide중의 하나이며, 또한 여러 조직에서 neurogenic inflammation을 야기하는 neuropeptide중의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요한 세포외 단백기질인 교원질의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배양치주인대 세포에서 교원질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ollagenase-digestion method로 교원질 생성을 평가하였고 mRNA 수준에서 작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교원질 생성에 대한 prostaglandin과 gelatinase 생성도 포함하였으며 변성된 교원질의 분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zymography를 이용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 교원성 단백질, 상대교원질에 대한 dose-dependent effect를 보면 Substance P는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켰으나 교원성 단백질 합성은 감소시킨다. 그리하여 총 단백합성에 대한 상대적인 교원질 생성을 나타내는 상대교원질은 $7\%$에서 $3.6\%$로 감소시켰다. 세포를 indomethacin과 동시에 처리할 때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가 prostaglandin의 생성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가 procollagen mRNA의 정상(steady-state)수준에 부합하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시행한 결과 Substance P는 ${\alpha}1(1)$ procollagen mRNA의 양적 변동을 일으키지 않았다. Substance P의 교원질 생성 억제효과는 전사이후의 어떤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임을 나타낸다. 치주인대세포에서 gelatinase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zymography를 이용하였다. zymogram 을 보면 Substance P는 치주인대세포에서 gelatinase 생성에는 아무 효과도 나타내지 않음들 알 수 있다. Substance P의 교원질 생성 억제효과가 치주인대세포에 대해 선택적인가 아닌가를알아보기 위하여 MC3T3-E1세포를 이용하였는데 Substance P는 MC3T3-E1세포의 교원질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에서 S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 PDF

제주 구멍갈파래 가수분해물에 의한 노화된 섬유아세포 증식 및 콜라겐 합성증진 효과 (The Effect of Hydrolyzed Jeju Ulva pertusa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Collagen Synthesis in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s)

  • 고현주;김경범;이동환;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7-186
    • /
    • 2013
  • 피부 섬유아세포는 인간 피부의 주요 콜라겐 생산 세포이다. 노화가 진행되면,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생산이 감소되고,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에 의해 시작되는 콜라겐 조각화가 증가된다. 즉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항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해 피부 collagenous, 세포외기질(ECM)의 구조와 기능이 변형되어, 피부노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Cysteine rich protein 61 (CCN1)는 CCN family의 일부이며, 인간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노화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CCN1 과 발현은 실질적으로 유형 I procollagen 생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MMP-1의 발현을 증가시켜 섬유의 콜라겐 저하를 일으킨다. 그리고 노화된 섬유아세포는 노화 전 섬유아세포에 비해 증식률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 만들어 사용한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는 유형 I procollagen의 생성량이 감소하였고, MMP-1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CCN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고, 증식률이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노화 전 섬유아세포에서 새로운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MP-1의 발현을 감소시켜 광노화를 개선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성을 나타내는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사용하여,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에 의한 CN1 단백질의 발현 억제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배양된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유형 I procollagen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MM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CN1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노화세포의 증식률을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복제 노화 섬유아세포가 in vitro 자연 노화모델로 화장품 원료 활성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광노화 뿐 아니라 자연노화를 개선하는 피부미용제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가능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슬리추출물의 피부 노화 방지와 자극 완화에 대한 효과 (Effects of Parsley Extract on Skin Anti-aging and Anti-irritation)

  • 김수남;이소희;최규호;장이섭;이병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3
    • /
    • 2004
  • 파슬리추출물이 피부에 미치는 개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total Collagen, type I procollagen을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prostaglandin E$_2$(PGE$_2$), interleukin l$\alpha$ (IL-l$\alpha$)와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를 무모생쥐(Female albino hairless mice, Skh:hr-1)에서는 진피의 두께와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mu\textrm{g}$/mL 농도의 파슬리 추출물은 total collagen은 23%, type I procollagen은 18% 증가시켰고, 자외선 B에 의한 PGE$_2$의 생합성은 약 60% 정도 감소시켰다. 10uM RA, 100 $\mu\textrm{g}$/mL SLS와 자외선 B 30 mJ/$\textrm{cm}^2$로 조사했을 때, IL-1$\alpha$ 및 TNF $\alpha$의 생합성 역시 1 $\mu\textrm{g}$/mL 파슬리추출물 처리 시 감소되었다. 4일 동안 1% 파슬리추출물로 폐쇄첩포한 무모생쥐의 진피 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약 1.5배 정도 두꺼워지고, 밀도도 훨씬 촘촘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파슬리추출물이 피부에서 노화방지 효과 및 자극완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활성능과 주름저해 효능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y and Wrinkl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장영아;염보슬;김세기;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92-1199
    • /
    • 2019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의 마디부분을 70%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효능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세포(B16F10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주름활성억제 평가를 위해 collagen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또한 UVB로 유도된 섬유아세포(CCD-986sk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matrix metalloprotease (MMP-1) inhibition 및 procollagen synthesis를 평가하였다. 미백활성 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western bolt 결과,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두 단백질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inhibiion 실험의 결과, $5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EGCG와 효능이 비슷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Procollagen synthesis 결과 UVB 자극군에 의해 콜라겐 합성은 68.8%로 감소되었으며 시료의 $25{\mu}g/ml$의 농도에서 80.2%의 콜라겐 합성에 회복능을 보였다. MMP-1 inhibition 실험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20.2%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는 NRN의 미백 및 주름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Antioxidant and Skin Anti-Aging Effects of Marigold Methanol Extract

  • Kang, Chul Ho;Rhie, Sung Ja;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31-3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marigold methanol extract (MGM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MGME were 74.8 mg TAE (tannic acid equivalent)/g and 85.6 mg RE (rutin equivalent)/g, respectively. MGME ($500{\mu}g/mL$) increased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and 2,2'-azino-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ntioxidant activities by 36.5, 54.7, and 14.8%,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1,000{\mu}g/mL$, these activities increased by 63.7, 70.6, and 20.6%, respectively. MGME ($10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ynthesis of type 1 procollagen by 83.7%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I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ctivity and MMP-1 mRNA expression by 36.5% and 69.5%, respectively;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laminin-5 mRNA expression by 181.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GME could protect human skin against photo-aging by attenuating oxidative damage, suppressing MMP expression and/or activity as well as by stimulating collagen synthesis.

Development of Vaccinium uliginosum L. extracts for whitening & anti-wrinkle functional food

  • Choung Se-Yo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148
    • /
    • 2005
  • This study i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Vaccinium uliginosum L., on melanin production in B 16 melanoma cells, procollagen produc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inhibition in human fibroblast cells. One hundred grams of the Vaccinium uliginosum L. was extracted with 2000 mL of water($90^{\circ}C$, 16h, 2times). The water extracts were lyophilized and stored at $4^{\circ}C$ until used. Dry weight yields of extracts of Vaccinium uliginosum L. were $3\%$(w/w).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showed scavenger activities on DPPH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and singlet oxygen radical. And these substances inhibited release of cyiokines from human keratinocyte after UV B exposure. Therefore we confirmed that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had antioxidative effect. These substances inhibited purifi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B 16 melanoma cells treated/untreated IL-$1{\alpha}$. Moreover this extract stimulated procollagen production and inhibited MMP-1 production in human fibroblast cells treated/untreated IL-$1{\beta}$. Therefore we confirmed that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had whitening effect. And these substances decreased degree of wrinkle in hairless mouse skin that induced by UV B irradiation. Therefore we confirmed that extracts from Vaccinium uliginosum L. had anti-wrinkle effect.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possible that Vaccinium uliginosum L. may be developed to be an anti-melanogenesis agent and anti-wrinkle ag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