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 Skills

검색결과 1,311건 처리시간 0.029초

탐구적 일반화학실험 수행 평가 준거 개발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Scoring Rubrics for the Inquiry-Based General Chemistry Experiments)

  • 강순희;김양현;박종윤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7-51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학생들의 일반화학실험 수행평가를 위한 분석적인 채점 준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채점준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실험을 수행하면서 나타나는 탐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보고서를 평가하는 분석적 채점 준거이다. 이 분석적 채점 준거는 일곱 가지 탐구 기능 요소로 나누어져 있으며, 한 학기용 실험 주제 9개에 대해서 모두 개발하였다. 두 번째는 학생들이 실험하는 동안에 교수와 조교가 직접적인 관찰에 의해 점검하는 형태로 평가하는 수공적 기능 채점 준거와 실험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적 채점 준거이다. 또한 학생들의 탐구 능력을 평가하는 실험 보고서에 대한 분석적 채점 준거의 기초가 되는 일곱가지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일반적 채점 준거도 개발하였다. 모든 채점 준거에 대한 타당도는 과학교육 전문가 6인에 의하여 검증 받았으며, 채점 준거로 실험 보고서를 평가한 결과로부터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얻어진 학생들의 일반화학실험 수업 성취도와 일반화학 이론 수업 성취도는 상관이 있는 것(r=.663.p<.01)으로 나타났으며. 44%($r^2$=.440)의 공통 분산 영역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 평가 도구는 이론 수업 평가 도구에서 측정하지 못하는 다른 영역(56%)도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간접적으로나마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 평가 도구가 전통적인 지식 이해만이 아닌, 실험을 수행하면서 나타난 탐구 기능, 수공적 기능, 실험 태도를 평가하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 PDF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 탐색 (Exploring the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 김민주;임채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9
    • /
    • 2022
  • 본 연구는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정량적 자료와 정성적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105명의 학생이 창의 과정과 산물을 나타내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에 응답한 내용과 그중 과학 창의성이 가장 높았던 4명을 대상으로 주로 어떤 과정으로 창의 산물을 냈는지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해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고 면담 자료와 함께 유형화의 참고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절대적합지수와 증분적합지수 측면에서 적합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지식, 탐구기능 중 관찰, 창의적 사고기능의 창의 과정 중 창의적 사고기능만이 창의 산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의적 사고기능 중 과학 창의성 산물과의 연관성은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연관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은 산물에 따라 창의형, 유용형, 독창형, 비창의형으로 유형이 나뉜다. 그중 비창의형은 세부적으로 진부형, 반복형, 미응답형, 비타당형, 추상형으로 나뉜다. 다섯째, 초등학생은 창의 과정에서 지식 혹은 관찰 중 하나를 주로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에 따라 지식 지향형, 관찰 지향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사고기능을 얼마나 다양하게 사용했는지에 따라 DT형, DT-CT형, DT-CT-AT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과학 창의성 교육에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과학적 탐구 능력 성취의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Achieve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 우종옥;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7-32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achieve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The study compared two data sets collected in May 1992 and April 1993 using the TSIS(Test of Science Inquiry Skills). TSIS consists of 36items which measure 12 science process skills. TSIS's reliability(K-R 20) is O. 86 and test-retest reliability is O.7822.

  • PDF

Effects of Occupational-based intervention on Chopsticks Skill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Ahn, Si-N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80-86
    • /
    • 2018
  • The interven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limited research focus on the effect of occupational-based intervention.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effect of occupational-based intervention of chopstick skills for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3 children with ASD.Using single-subject study design, a changing criterion design and ABC design were implemented. The participants' behavior was observed and recorded throughout each session.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graphs. The amount of food that was moved using the chopsticks was gradually increased. The results show that all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ir ability to use chopsticks in each intervention session. In additio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improved the generalization. According to the AMPS, both the overall motor and process skills increased from baseline an average of 0.7 log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occupational-based intervention on chopsticks skill to be effective in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chopstick skill in children with ASD.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 DST Project to Develop English Skills

  • Moon, D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00-206
    • /
    • 2020
  • Digital storytelling, a 21st century educational tool that combines digital media with storytelling, is considered as a powerful tool to learn foreign languages in an authentic and meaningful way. This study explored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a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implemented to enhance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The results of 9 week-long research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udents' attitudes were positive: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ir English skill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Mos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process writing approach and videotaping tasks provided them with good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lthough many students had difficulties selecting a topic and writing a script in the initial stage, they could handle with these challenges with the help of professors' feedback and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projects. After completing the project, most students expressed a strong sense of accomplish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effectively met cybe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needs and facilitate their English learning.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Information Environment

  • Dmitrenko, Natalia;Voloshyna, Oksana;Boiko, Anna;Hudym, Iryna;Zelinskyi, Vital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396-402
    • /
    • 2022
  • The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information environment. The role of reflection as a mechanism of formation of a modern teacher's self-consciousness was cleared up. The technology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as characterized and tested. The main stages of the technology were: a motivational and cognitive stage, a problematic and practical stage, and a reflective and operational stage. The substantiated pedagogical conditions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ere adhered. The criterial and evalu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were worked out: components (reflection of personal conformity, reflection of th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barriers, reflection of professional growth); criteria (criterion of consistency, criterion of difficulty, criterion of potential); indicators (cognitive-evaluative, value-motivational, activity-creative). The levels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sufficient level, acceptable level, and optimum level) were determined. The analysis of students' surveys showed the effectiveness and expediency of using the technology of forma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skill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training.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5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 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 PDF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ing Methods in the 6th and the 7th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a)

  • 최선영;강호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06-716
    • /
    • 2002
  •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 탐구 기능과 교수 학습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탐구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초탐구 기능은 증가하였으나 통합탐구 기능이 감소하였다. 둘째, 제6차에서는 조사 학년 모두에서 기초탐구 기능보다 통합탐구 기능의 비율이 높았고, 제7차에서는 저학년에서는 기초탐구 기능이, 고학년에서는 통합탐구 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탐구 기능을 기초탐구 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기초탐구 영역에서는 관찰기능이 각각 63.8%, 54.4%, 통합탐구 영역에서는 문제인식에 관한 탐구 활동이 각각 75.3%, 82.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탐구 기능 전체를 비교해 볼 때 제7차 교육과정에서 관찰(24.8%), 분류(5.4%), 측정(5.6%), 추리(6.0%), 자료해석(4.4%) 기능이 증가하였고, 예상(3.8%), 가설 설정(0.5%), 변인통제(1.8%), 자료변환(1.2%), 결론도출(0.8%), 일반화(0.9%) 기능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관찰학습이 감소한 반면에, 실험학습, 토론학습, 조사 및 과제학습과 창의학습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는 제6차에 비해 기초탐구학습과 통합탐구기능이 학년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구성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추론능력과 과학 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1)}$ (The Analysis of Learner탐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Reason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 김영신;정완호;이진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To study this purpose, through the procedure study, the learner's variable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variable, ego variable, and affective variable, then the questionaire surve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standardization instrument was made over 120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tudent in Seoul, Anyang, and Pajo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thinking were cognitive variable and for female students, also affect affective variable. The subordinated catagorie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explanation were achievement motivation, cognitive level, and cognitive style and an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meta-cognition, self regulated learning, self efficacy, and muliple intelligence. 2) The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were cognitive variable and affective variable. And the subordinated catagorie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explanation wer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gnitive level. And an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meta-cognition, self regulated loaming, self efficacy, multiple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 PDF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China and Korea

  • Kim, Seju;Liu, Ensha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67-1377
    • /
    • 2012
  • Inquiry activity is a major source of student investigation which both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trongly emphasize for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quiry activities incorporated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China and Korea. The inquiry activitie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inquiry level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ll's and a modification of Padilla's framework were used in these analyses.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textbooks were more exclusively occupied by simple inquiry activities - None of them provided activity more complex than level 2 inquiry. In addition, the Korean textbooks had uniformly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whereas their Chinese counterparts gave students some challenges for higher level process skills. Therefore, it cannot be guaranteed that the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are helpful in guiding students toward a gradual progression to high-level inquiry. Implications for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