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52초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를 이용한 Grid Computing 연구 (A Study of Grid Computing Based on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 최현석;이재인;김지호;박세현;송오영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356-35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Grid Computing은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컴퓨팅 파워의 분산 관리하고 네트?의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Agent 간 통신 및 Agent와 Server 간 통신에서 Soap Protocol과 SSL Protocol을 접목하여 보안 RPC통신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은 Agent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Grid Computing의 성능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신뢰도가 낮은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트리 구조 기반의 권한 관리 기법 (Privilege Management Technique for Unreliable Network Environments based on Tree Structure)

  • 양수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3-91
    • /
    • 2008
  • ISO/IEC 9594-8은 공개키 인증서 프레임워크와 속성 인증서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있다. 속성 인증서 프레임워크에서 권한 관리 기반 구조(PMI)를 다루고 있다. 권한 관리 기반 구조에서는 권한 관리를 위하여 속성 인증서를 사용함에 있어서 권한의 할당 및 명세를 독립적으로 하기 위하여 역할 할당 인증서와 역할 명세 인증서를 사용한다. 역할 명세 인증서는 권한의 명세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환경의 권한 관리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뢰도가 낮은 네트워크 환경의 권한 관리는 잠재적으로 장애가능성이 있는 노드와 에지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권한 정보 전송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얻고자하는 것이다. 각 노드는 수집된 역할 명세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계층적으로 연결된 역할 명세의 권한 구조 트리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할 명세 인증서의 트리 구조화를 통한 권한 관리 비용을 계산하고 권한의 생산 및 갱신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한다. 규모 확장성을 위해 멀티캐스팅 패킷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통신의 패킷 손실률과 네트워크에 참가 및 이탈을 반복하는 컴퓨팅 노드의 신뢰도를 감안하여 관련 성능을 분석하여, 제안된 구조의 권한 관리 기법이 보다 나은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속성인증기술과 PMI

  • 진승헌;최대선;조영섭;윤이중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40
    • /
    • 2000
  • 공개키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는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위한 정보보호 기반구조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개키 인증서는 사용자의 신원확인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원확인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필요한 일반 응용 환경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의 권한, 지위, 임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공개키 인증서의 제한적인 기능을 확장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인증서 구조에 사용자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제공하여 권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속성 인증서 기술과 속성 인증서를 발급, 저장 유통을 제어하는 기반구조인 권한관리기반구조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PMI)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EAM시스템 보안을 위한 XACML과 PMI 상호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teroperability of XACML and PMI to enhance the security on EAM system)

  • 박제원;정성우;이남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400-402
    • /
    • 2004
  • EAM(Enterprise Access Management)은 SSO(Single Sign On)와 사용자 역할기반의 세분화된 접근관리를 제공하는 적극적 시스템 인증, 제어관리 솔루션으로 EAM 도입을 위해서는 중요한 자원들의 안전한 보관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각 기업이나 그룹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한 여러 보안기술을 도입하고 있지만 현재 XML 정보 보안 기술을 중심으로 한 EAM시스템의 구현은 그 기반이 미미한 실정이며 표준에 따른 시스템의 고려도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XML 정보보호기술과 기존 보안기술인 공개키 기반구조(Public Hey infrastructure, PKI), 권한관리구조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등과 같은 인증기술과의 상호연동기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은 표준 XML 정보 보호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인 XACML(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과 PMI를 연동한 안전한 EAM 통합 접근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친 연구하였다.

  • PDF

E-PMI의 설계 (Design of ETRI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 김희선;조상래;조영섭;진승헌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95-297
    • /
    • 2002
  • 응용 서비스 측면에서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신원확인 뿐만 아니라 이러한 그들이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응용에 따라서는 신원 확인보다도 권한 확인을 더 중요하게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의도에서 권한 인가와 권한 정보의 관리는 매우 중요한 보안 서비스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권한관리 메카니즘의 하나로서 제시된 권한관리기반구조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한 E-PMI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E-PMI에 대해서는 구조 및 시나리오, 시스템 특징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PMI 인증서 등에 대한 적합성 평가 (Interoperability Compliance Test for PMI)

  • 이승훈;정구완;송주용;송주석;박정환;이재일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6
    • /
    • 2002
  • 권한 관리 기반 구조(PMI: 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란 공개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와 연동되어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신원정보와 권한 또는 속성 정보를 연결하여 자원에 대한 접근 관리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 보호 인프라이다. 이러한 권한 관리 기반 구조에서 사용되는 인증서를 속성 인증서(Attribute Certificate) 또는 PMI 인증서라고 부른다. 속성 인증서가 기반 구조 내에서 통용되어 사용되기 위해서는 표준화 기관에서 정의한 표준 규격을 따라야 하며 유효성을 해치지 않는 올바른 값들로 인증서 내용이 채워져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특정 단체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사용되는 속성 인증서 등이 기반 구조내의 개체들 간에 서고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적합성 평가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속성 인증서 및 인증서 요청 메시지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고 평가 시 요구되는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을 정의한다.

  • PDF

PMI 기반의 메시지 중계시스템에 관한 설계 (Design of Messaging Hub based on PMI)

  • 채송화;이상하;김동규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75-378
    • /
    • 2001
  •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메시지중계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시지중계시스템 자체에는 정보보호서비스가 적용된 예가 많지 않으며 일부 적용된 경우에도 접근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기반의 메시지중계시스템은 기존의 구축되어 있는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이용하여 정보보호서비스의 인증, 무결성, 기밀성, 부인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PMI을 적용하여 접근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PMI의 속성인증서를 사용하여 실시간적으로 변하는 접근제어 정보의 변화를 수용하며 SOA(Sorce of Authority)를 통해 중앙에서 접근제어정보를 관리한다. 교환되는 데이터는 S/MIME을 기본으로 하여 국제표준을 따르며 S/MIME의 보안 레이블을 이용 데이터의 변경없이 접근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PMI 를 이용한 확장 권한위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Delegation using PMI)

  • 이덕규;이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947-950
    • /
    • 2002
  • 인터넷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초기에 제공되던 정보제공의 방법으로는 사용자 신원에 대한 인증으로는 부족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PKI(Public-Key Infrastructure)에서 인증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제공하는 보안방법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시스템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각 사용자의 권한이나 임무 등의 사용자 속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 기존에 사용된 PKI의 확장 영역을 이용하지 않고, 새롭게 사용자 속성을 위한 인증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을 PMI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를 이용한 효율적이고 검증 가능한 권한위임 프로토콜에 대하여 제안한다.

  • PDF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PMI기반의 XML 접근제어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MI-based XML Access Control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the Public Organization)

  • 조창희;이남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3-186
    • /
    • 2006
  • The local public organizations, to secure the Confidentiality, Integrity, Authentication and Non-Repudiation of cyber administrative environment is giving it a try to consolidate the official documents among them by standardizing all the documents into XML formats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PKI(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The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the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used by the GPKI, however, provides only the simple User Authentication and thus it results in the difficulty in managing the position, task, role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required under the applied task environment of public organizations. It also has a limitation of not supporting the detailed access control with respect to the XML-based public documents.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ecurity problems of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system used by the public organizations and has drawn the means of troubleshoo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scenario and most importantly it suggests the access control model applied with PMI and SAML and XACML to solve the located problem.

공공기관을 위한 XML기반의 접근제어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XML-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the public organization)

  • 정성우;박제원;강철오;원종진;이남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29-1232
    • /
    • 2005
  • 국내 공공기관에서는 사이버 행정환경의 기밀성, 무결성, 신원확인, 부인방지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GPKI: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의 구축과 함께 모든 문서를 XML형태로 표준화하여 공공기관간의 문서를 통합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행정전자서명인증체계에서 사용하는 공개키기반(PKI)을 연동한 인증체계는 단순한 사용자 인증만을 제공하여, 공공기관의 응용업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용자의 직위, 직무, 역할정보 등의 관리가 어려우며 XML형태의 공공문서에 대한 상세한 접근제어를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인증 및 접근제어 시스템의 가상시나리오를 통하여 보안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한 후에 이를 근거로 공공기관의 보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기술인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와 XACML(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을 연동한 접근제어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