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index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8초

통계적 고찰과 수목분포에 따른 열량분석을 통한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 through statistic examination and calorie analysi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 김광일;김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7-32
    • /
    • 2000
  • 산림에 대한 화재 위험성 평가는 산불의 예방, 진화 및 관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단일 화재로서는 축내 최대 규모인 1997년 4월에 발생한 강원도 고성산불과 2000년 4월에 발생한 강원도 영동지방 산불은 이러한 화재위험성 평가의 필요성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의 사용하고 있는 위험도의 표현은 기상인자에 의해 연료가 화재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을 나타낸 것으로 습도측정봉 무게 환산식을 통해 산불 발생 위험지수 산정하여 산불경보시스템을 사용하며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지역별 종합적인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는 주요 인자들의 위험성을 측정하고 통계적 고찰을 통한 위험성 평가를 표현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통계적 고찰을 통해 발생 빈도와 피해의 심각성을 분석하여 위험성을 평가하였고 수목의 열량적 가치를 시차주사열량계 실험을 통해 분석하여 수목분포도에 따를 열적 상대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 PDF

대전광역시 산줄기 단절지점 평가 및 복원방안 (The Assessment and Restoration Plan for Fragmented Points of Mountain Range in Daejeon)

  • 조현주;이은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22-631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주요 산줄기 분포 현황 및 단절지점을 파악하고, 평가를 통해 우선복원지점을 선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신상경표에 의한 산줄기 분포현황을 파악한 결과, 대전광역시는 3개의 지맥과 이들 지맥에서 뻗어 나온 10개의 세맥이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주요 산줄기와 도로망을 중첩하여 산줄기 단절지점을 파악한 결과 총 31개의 단절지점 중 12개의 복원가능지점이 선정되었다. 평가지표 및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산줄기 우선복원지점을 평가한 결과, I등급은 4개, II등급은 5개, III등급은 3개 지점이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각 등급별 차별화된 복원방안을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객관적인 평가모형 개발 및 구체적인 지점별 복원방안에 대한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 통합.배제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Social Inclusion.Exclusion Indicators - Focused o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Dwellers -)

  • 김미희;이민아;노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95-104
    • /
    • 2008
  •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dicators for understanding social inclusion exclusion of the dweller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 and to present a important base about priority order of national housing policy for social inclus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newal techniques.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of the social inclusion exclusion indicators mentioned in the literature. The indicators of EU (2001, 2006), KIHASA (2005), and Jehoel-Gijsbers & Brooman (2007), which were applied in many studies about social inclusion, or included various items about dwellers' subjective attitudes, were selected to construct the framework for the study. On the basis of 3 kinds of indicators at the above, the dimensions of social inclusion exclusion were categorized as material deprivation and access to social rights in an economicstructural exclusion view,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cultural normative accommodations in a socio-cultural exclusion view. And then, the domains of social inclusion exclusion were decided as follows: income, employment, education service, housing, health, family networks and social networks. The detail contents of indicators were adopted from the prior studies as many as possible, and the dwellers' subjective attitudes and housing domains were intensified with reference to UN housing rights and the study of "residents' satisfaction of housing facilities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The developed indicators were modified through the advisory committee that consist of the specialists from the various fields of studies. The final indicators that were overlapped or not able to be measured were eliminated, and added, in a housing domain, the standards of convenient facilities, the management condition, safety, location, crime and etc. in the apartment complex, which were required to complement in the advisory committee.

다매체 노출을 고려한 Perchloroethylene의 인체위해성평가연구 (Human Risk Assessment of Perchloroethylene Considering Multi-media Exposure)

  • 서정관;김탁수;조아름;김필제;최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97-406
    • /
    • 2014
  • Objectives: Perchloroethylene (PCE) is a volatile chemical widely used as a solvent in the dry-cleaning and textile processing industries. It was evaluated as Group 2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by the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of the United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in 2012. In order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establishing risk management measures for chemicals on the national priority substances list, aggregate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PCE, included in the top-10 substances. Methods: We conducted the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of PCE exposure (e.g., exposure scenario, detection levels, and exposure factors, etc.) and assessed its multi-media (e.g., outdoor air, indoor air, and ground water) exposure risk with a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approach. Results: In human risk assessment (HRA), the level of human exposure was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 The exposure level through inhalation at home was the highest among the exposure routes. Outdoor air or uptake of drinking water represented less than 1% of total contributions to PCE exposur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risk was negligible since the Hazard Index (HI) induced by HRA was below one among all age groups, with a maximum HI value of 0.17 when reasonable maximum exposure was applied.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despite low exposure risk, further studies are needed considering main sources, including occupational exposure.

Fuzzy-AHP에 기반을 둔 벤처기업의 기술력 평가 모델 (Fuzzy-AHP-Based Technology Evaluation Model for venture firms)

  • 전향순;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63-371
    • /
    • 2016
  •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기술력 평가는 급변하는 기업환경, 평가시 사용하는 언어의 모호성과 애매성, 평가지표의 부정확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벤처기업의 대표적인 정성적 평가요인인 흡수역량 및 기술적 기업가정신을 대상으로 다기준 의사결정법인 Fuzzy-AHP를 적용하여 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 및 동적역량을 산출하는 ACTEM(Absorption Capacity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Monitor) 모델을 제안하였다. 평가척도가 되는 요인에 대한 가중치 산출은 퍼지이론을 도입하여 인지적 판단의 애매성을 보완하고, 기존의 기술력 평가 측정에 관한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흡수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 및 동적역량에 대한 평가 기준들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적인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ACTEM 모델을 기존의 AHP 평가방법과 비교한 결과, 흡수역량에서는 '지식획득', 기술적 기업가 정신에서는 '제품화 능력'이 가장 높게 나오는 등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도시유역의 건천화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계획: 2. 적용 (Sustainable Water Resources Planning to Prevent Streamflow Depletion in an Urban Watershed: 2. Application)

  • 이길성;정은성;신문주;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947-960
    • /
    • 2006
  •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건천화 방지를 위한 유역통합관리 절차를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적용한 결과이다. 특히 대상 유역에 대한 물순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자료 및 취득방법을 제시하였고, 중유역별 상태파악 및 대안 선택에 PSR 모형을 사용하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이 반영하였으며, 지수산정 방식은 다단계 다기준 의사결정알고리즘 중 하나인 복합계획법을 사용하는 등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에 대해 구체적인 건천화 방지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SWAT모형을 이용하여 각각에 대해 물순환 개선 효과분석을 수행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안의 평가지수를 산정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nd Improvements of Urban Public Space)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21-8029
    • /
    • 2015
  •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비료/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선별 후 전문가그룹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과정의 적합성과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부적합 여부를 논의하고, 합의된 항목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 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종합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사용성,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사용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청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공간의 디자인가이드 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스마트시티 IoT 품질 지표 개발 및 우선순위 도출 (Development of Smart City IoT Data Quality Indicators and Prioritization Focusing on Structured Sensing Data)

  • 양현모;한규보;이정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1-178
    • /
    • 2021
  • '빅데이터'는 '21세기 원유'로 비유될 만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서 생성 및 수집되는 IoT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품질이 공공서비스의 품질과 연관되므로 품질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ISO/IEC 기관 및 국내/외 여러 기관을 통해 제시된 데이터 품질 지표는 '사용자' 중심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급자 중심의 지표와 그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공급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IoT 데이터 품질 평가지표 3개의 카테고리와 13개의 지표를 도출한 후 AHP 분석을 통하여 지표 카테고리와 데이터 품질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각 지표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취합하여 전달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개인 혹은 기업에게 데이터가 지녀야 하는 기본적인 요건을 제시함으로써 센서 데이터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지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수행하여 품질관리 업무 효율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정보이해력 수준과 사회경제적 특성 및 건강행태와의 관계 (A Survey on the Level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Literacy in Korean People)

  • 김준호;박종연;강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6-159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Korean health literacy level and to analyse its gap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Based on this, policy implications were reviewed to improve the understandability on health information and to reduce the gap among socioeconomic groups. Methods: HLS-EU-Q47, a tool developed by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Project, was used to conduct a face-to-face interview survey on the health literacy for the samples from general population. Results: The public general health literacy (HL) index was 34.5 out of 50. HL is consisted of three sub-dimensions: healthcare (HC-HL), disease prevention (DP-HL), and health promotion (HP-HL). And a HL analysis found scores of 34.7 points for HC-HL, 35.4 points for DP-HL, and 33.3 points for HP-HL. The level of all HL was different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research activities on health-related literacy need to be conducted, and monitoring system on the HL level needs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a program to improve HL levels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basis for a more sustainable healthcare system as an agenda with national health policy priority.

폐수의 무단 방류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배치 우선지역 결정: 자기조직화지도 인공신경망의 적용 (Real-time monitoring sensor displacement for illicit discharge of wastewater: identification of hotspot using the self-organizing maps (SOMs))

  • 남성남;이성훈;김정률;이재현;오재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1-158
    • /
    • 2019
  •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hotspot for displacement of the on-line water quality sensors, in order to detect illicit discharge of untreated wastewater. A total of twenty-six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measured in sewer networks of the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Daejeon city as a test-bed site of this study. For the water qualities measured on a daily basis by 2-hour interval, the self-organizing maps(SOMs), on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s(ANNs), were applied to classify the catchments to the clusters in accordance with patterns of water qualities discharged, and to determine the hotspot for priority sensor allocation in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atchm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in terms of extent of water qualities, in which the grouping were validated by the Euclidean distance and Davies-Bouldin index. Of the on-line sensors, total organic carbon(TOC) sensor, selected to be suitable for organic pollutants monitoring, would be effective to be allocated in D and a part of E catchments. Pb sensor, of heavy metals, would be suitable to be displaced in A and a part of B catc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