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molar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9초

하악(下顎) 제1유구치(第一乳臼齒) 조기상실(早期喪失)이 하악(下顎) 제1소구치(第一小臼齒) 맹출(萌出)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N THE ERUPTION OF MANDIBULAR 1st PREMOLARS AFTER PREMATURE LOSS OF MANDIBULAR 1st DECIDUOUS MOLARS)

  • 차봉익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101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 lesion and the premature loss of mandibular 1st deciduous molar have on the eruption of its successor, and the author devided 580 cases of orthopantomograms from age 3 to 9 years old children into 3 groups: Control Group: both side normal Study I Group: one normal and the other lesion. Study II Group: one normal and the other premature loss before 8 years old. and observed the amount of differences and the relative position in eruption between study-tooth successor and normal-tooth success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ifferences in eruption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1st primary molars of Study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2. The successors of lesioned-teeth showed more accelerated eruption than the antimeres in 40.9% and more delayed, in 22.7%. 3. The successors of premature lost-teeth showed more accelerated eruption than the antimeres in 61.7% and more delayed, in 4.3%.

  • PDF

화학제재를 이용한 우식상아질 제거효과 및 레진과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CHEMO-MECHANICAL CARIES REMOVAL SYSTEM ON THE REMOVAL OF CARIOUS DENTIN AND RESIN ADHESION TO DENTIN)

  • 강덕일;박인천;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1-592
    • /
    • 2003
  • 본연구는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상아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상아질표면의 변화와 산부식양상, 혼성층의 양상, 그리고 이들이 상아질에 대한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92개의 유구치와 92개의 영구 구치를 준비하여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키고 인공우식을 유발시켰다. 이중 32개의 유구치와 32개의 영구구치는 $Carisolv^{TM}$과 bur로 삭제후 상아질표면을 SEM관찰하였으며 나머지 치아에서는 레진-상아질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두가지 접착시스템(Single bond system, self-etching bonding system)과 한 종류의 레진(Z250, 3M)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risolv^{TM}$의 우식치질 제거효과는 영구치보다 유치에서 더 우수하였으며, bur로 제거한 경우보다 더 거친 상아질 표면이 관찰되었다. 2. 산부식처리한 경우 유치와 영구치 모두 우식제거방법과 관계없이 도말층이 제거된 양상을 보였다. 3. Single bond system을 이용한 경우 두터운 $2-4{\mu}m$의 혼성층과 $10-15{\mu}m$의 adhesive layer가 관찰된 반면, self-etching bonding system에서는 비교적 얇은($1-2{\mu}m$) 혼성층만이 형성되었다. 4. 전단결합강도는 유치와 영구치 모두 우식제거방법에 관계없이 Single bonding agent를 적용한 경우에 self-etching bonding agent를 적용한 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5. $Carisolv^{TM}$와 self-etching bonding agent 처리군에서 bur와 self-etching system 처리군보다 다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 PDF

회전식 nickel-titanium file을 이용한 유치의 근관치료 (ROOT CANAL TREATMENT ON PRIMARY TEETH USING NICKEL-TITANIUM NOTARY FILES)

  • 서주희;이광희;김대업;양계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0-625
    • /
    • 2001
  • 유치의 근관치료에서 치수절제술은 실활된 유치를 치열궁내에 유지하기 위해 치관과 근관부분의 괴사된 치수조직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술식은 감염된 치수의 세균을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양하고 불규칙한 유치 근관의 형태가 주된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더욱이 비협조적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오랜 시간동안 정교한 시술을 하기가 곤란하다. 최근 들어 근관치료시에 회전식 기구를 이용하여 근관형성을 하는 장비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저속전기 모터에 회전식 NiTi file을 이용한 술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회전식 NiTi file과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유구치의 근관치료를 시도하였다. 치수강을 개방하고 치관부 치수를 제거한 후 잠정적 작업장을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NiTi file을 선택하여 잠정적 작업장까지 crown-down방법으로 점차적으로 형성하였다. 수용 file로 근단부 도달 및 성형을 하고 전체적인 마무리를 하여 Vitapex로 충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ssessment of Wear Resistance in Tooth-Colored Materials for Primary Molar Crown Restoration in Pediatric Dentistry

  • Hyun Seok Kang;Yooseok Shin;Chung-Min Kang;Je Seon Song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2-31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wear resistance of tooth-colored materials used in crown restoration for primary molars with a chewing simulator. In this study, four groups-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were included. They consisted of three-dimensional (3D) printed resin crowns (NextDent and Graphy), milled nano-hybrid ceramic crowns (MAZIC Duro), and prefabricated zirconia crowns (NuSmile). Twelve mandibular second molar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each group. In the wear experiment, 6.0 × 105 cycles were conducted with a force of 50 N, and a 6 mm-diameter steatite ball was used as an antagonist. The amount of wear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can files before and after the chewing simulation using 3D metrology software, and the worn cross-section was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resin and ceramic groups did not exhibi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compared to other crown groups, the zirconia crown group demonstrated notably reduced levels of wear (p < 0.05). In SEM images, layers and cracks were observed in the 3D-printed resin crown groups, which differed from those in the other groups.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이소 맹출의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CORRECTION OF ECTOPIC ERUPTION WITH BILATERAL ANCHORAGE : REPORT OF CASES)

  • 안성인;선예경;심연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46-452
    • /
    • 1999
  • 제 1 대구치의 이소 맹출이란 제 1 대구치가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취해 제 2 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조기 흡수를 일으키는 경우를 뜻한다. 비가역적 이소 맹출의 경우 제 2 유구치의 조기상실은 공간 상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 제 2 소구치의 함몰, 총생과 대합치의 과맹출등을 야기시킨다. 치료의 주목적은 (1) 제 2 유구치의 조기 상실을 막아 공간 유지의 역할을 하게하고 (2) 상실된 치열장을 회복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돕는 것이다. 치료 방법은 제 1 대구치의 맹출 정도, 제 1 대구치의 위치 변화, 제 1 대구치가 걸려있는 제 2 유구치의 enamel ledge양, 제 2 유구치의 동요도, 동통이나 염증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편측성 장치는 결과적으로 공간 상실을 증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원의 보강을 위해 holding arch와 같은 양측성 고정원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본 증례 보고는 삼성 서울 병원을 내원한 환아중 제 1 대구치의 비가역적 이소 맹출로 제 2 유구치의 치근 흡수와 동요도 증가를 보이는 환아에서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맹출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치료 (TREATMENT OF MAXILLARY FIRST MOLARS WITH ERUPTION FAILURES)

  • 권순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1-287
    • /
    • 2009
  • 유치열이 혼합치열기를 거쳐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는 맹출장애가 흔히 관찰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맹출시기를 놓치게 되면 심미적 문제 인접치아의 전위 및 치근흡수, 부정교합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치아 중 제1대구치는 특히 교합 및 발육에 중요하게 관여하며 기능적, 형태적으로 건전한 교합의 발육 및 유지에 필수적인 치아이다. 그러므로 이들 이상증례를 조기에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응하는 것은 보다 적절한 교합관리에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는 크게 맹출지연, 매복, 일차정체 및 이차정체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매복의 원인 중 물리적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우선 이를 제거하고 치아발육 상태에 따라 제거 후 관찰, 외과적 노출 또는 교정적 견인 등으로 치료가능하며 이소맹출에 의 한 매복일 경우 brass wire, pendulum applinace, 제2유구치 발치후 공간 유지 및 공간확보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혼합치열기의 환아로서 맹출장애를 보이는 상악제1대구치의 진단 및 그에 따른 치료를 통해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저위교합된 상악 유구치에 의해 변위된 소구치 치배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FOR TOOTH GERM OF PREMOLAR DISPLACED BY INFRAOCCLUDED UPPER DECIDUOUS MOLAR)

  • 정정화;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0-396
    • /
    • 2012
  • 저위교합이란 치아가 출은 이후 유착 등의 원인으로 맹출이 정지되어 주위조직이 정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정상교합보다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저위교합을 방치하는 경우 이환치의 만기잔존과 대합치의 정출 및 인접치의 경사에 따른 공간상실, 교합압과 식편압입으로 인한 인접치의 치주 조직 파괴와 치아우식 감수성의 증가, 계승치의 맹출경로 변위 또는 매복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검진을 통한 진단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위교합을 보이는 유구치의 치료방법으로는 후속 영구치의 유무, 저위교합의 발생 시기 및 진단 시기, 저위교합의 정도 등에 따라서 주기적인 관찰, 보존적 접근 방법, 수복치료, 교정적 방법을 통한 공간확장술과 발치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제2유구치의 저위교합 및 제2소구치 치배의 변위를 보이는 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가철성 교정장치를 이용한 공간확장술 및 유구치의 발치를 시행함으로써 변위되었던 제2소구치 치배의 정상 맹출을 유도하였다.

Addition of 2 mg dexamethasone to improve the anesthetic efficacy of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administered fo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to patients with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in the mandibular molar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 Aggarwal, Vivek;Ahmad, Tanveer;Singla, Mamta;Gupta, Alpa;Saatchi, Masoud;Hasija, Mukesh;Meena, Babita;Kumar, Umesh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4호
    • /
    • pp.305-314
    • /
    • 2022
  • Introduction: This clinical trial aimed to evaluate the anesthetic effect of the addition of 2 mg (4 mg/ml) of dexamethasone to 2% lidocaine (plain or with 1:80,000 epinephrine). The solutions were injected for a primary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to provide mandibular anesthesia for the endodontic treatment of mandibular molars with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Methods: In a double-blinded setup, 124 patients randomly received either of the following injections: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or plain 2% lidoca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which were injected as a primary IANB. Ten minutes after injection, patients with profound lip numbness underwent electric and thermal pulp sensibility tests. Patients wh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ests were categorized as "failed" anesthesia and received supplemental anesthesia. The remaining patients underwent endodontic treatment using a rubber dam. Anesthetic success was defined as "no pain or faint/weak/mild pain" during endodontic access preparation and instrumentation (HP visual analog scale score < 55 mm). The effect of the anesthetic solutions on the maximum change in heart rate was also evaluated. The Pearson chi-square test at 5% and 1% significance was used to analyze anesthetic success rates. Results: The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and plain 2% lidocaine mixed with 2 mg dexamethasone groups had anesthetic success rates of 34%, 59%, and 29%,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dexamethasone resulted in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P < 0.001, 𝛘2 = 9.07, df = 2). Conclusions: The addition of dexamethasone to 2% lidocaine with epinephrine, administered as an IANB, can improve the anesthetic success rates during the endodontic management of symptomatic mandibular molars with irreversible pulpitis.

맹출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치료 : 증례 보고 (Management of Eruption Disturbance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 A Case Report)

  • 전현순;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4-320
    • /
    • 2013
  • 하악 제1대구치 맹출장애의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나며, 발생 원인과 발견 연령 등에 따라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primary retention), 이차적 만기잔존(secondary retention) 등으로 분류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술 후 교정적 견인술, 탈구를 동반한 교정적 견인술,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증례보고는 각각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진단된 5명의 환자들에서 다양한 치료방법을 이용하여 하악 제1대구치를 성공적으로 교합유도한 증례들을 보여준다. 맹출장애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는 치아의 평균적인 맹출시기에 임상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적절하게 진단내려질 수 있으며, 치아의 맹출 정도, 대합치와 인접치와의 관계, 환자의 연령, 협조도, 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되어야 한다.

제 2유구치 기성금관 수복에 따른 제 1대구치의 의원성 손상 (THE IATROGENIC DAMAGES OF THE FIRST MOLARS FOLLOWING THE STAINLESS STEEL CROWN RESTORATION THE SECOND PRIMARY MOLARS)

  • 배익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58
    • /
    • 2004
  • 소아치과 임상에서 기성금관 수복은 광범위한 우식병소를 가졌거나 치수치료를 받은 치아에 필수적인 술식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기성금관 장착을 위한 치아삭제 과정 중 인접 치면에 의원성 손상이 생길 경우 우식이환율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제 2유구치에 기성금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할 때 인접한 제 1대구치 근심면에 발생될 수 있는 의원성 손상은 치아 우식으로 진행될 잠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2유구치의 기성금관을 위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제 1대구치의 의원성 손상의 유형과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에 내원한 소아들을 대상으로 기성금관으로 수복한 제 2유구치의 원심면을 치간이개용 고무링으로 치간이개를 한 후 러버인상재로 인접면의 인상을 채득하고 주사 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하여 의원성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제 1대구치의 근심면이 인기된 시편을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약 66.7%에서 다양한 유형과 정도의 의원성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구치의 기성금관 장착을 위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는, 치간이개용 고무링이나 wedge를 이용한 치간이개, matrix band를 이용한 인접 치면의 보호, 인접면 삭제방법의 수정 등과 같은 의원성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술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