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cancer control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3초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p53의 과발현과 방사선치료결과 (P53 Overexpression and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in Head & Neck Cancers)

  • 김인아;최일봉;강기문;장지영;김경미;박경신;김영신;강창석;조승호;김형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1-8
    • /
    • 1999
  • 목적 : 실험적으로 p53 종양억제유전자는 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임상에서 p53의 변화와 방사선치료 후의 예후와의 상호관련성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두경부종양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p53의 변화가 방사선치료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두경부종양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치료전 종양조직의 paraffin section을 human p53단백질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 (D-07)로 면역조직화학염색하여 labeling Index (number of labelded nuclei/total number of counted nuclei x100)를 구하여, 임상결과와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67.2$\%$에서 p53의 기능이상을 시사하는 과발현 소견을 보였다. 원발병소에 따른 과발현 빈도는 oral cavity, larynx, hypopharynx, nasopharynx순으로 각각 100$\%$, 76$\%$, 67$\%$, 67$\%$, 38$\%$로 나타났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과발현 빈도를 보였다 (78.6$\%$, 30.8$\%$). 원발병소, 병기 및 Karnofsky peformance status가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율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으며, p53의 과발현여부는 치료반응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원발병소와 병기였고, p53의 과발현여부는 유의한 연관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p53의 과발현율은 원발병소, 병기 및 흡연여부와 유관하였으며, 과발현여부가 치료반응율 및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의 삶의 질 변화 (Quality of Life Changes in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 박테레지아;송혜향;서인옥;조영이;박명희;허정희;김은경;박순주;라정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1호
    • /
    • pp.18-27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시 삶의 질과 간호서비스를 받는 동안 삶의 질 변화와 호스피스 간호서비스가 말기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1999년 10월부터 2000년 3월 사이에 가톨릭 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가족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간호제공자에 의해 인지된 환자의 삶의 질 평점은 입원시, 입원 1, 2, 3, 4주에 각각 3.31, 3.68, 3.56, 3.73, 3.75로 입원 당시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 볼 때 "신체적 청결"(F=6.50, P=0.0001) "통증조절"(F=18.01., P=0.0001) "대변상태"(F=2.96, P=0.0237) "수면상태"(F=3.99, P=0.0048) "메스꺼움/구토"(F=4.50, P=0.0022) "의료진의 편안한 돌봄"(F=3.95, P=0.0051) "가족들의 돌봄"(F=2.76, P=0.0317) "불안감"(F=3.14, P=0.0177) "마음이 편안함"(F=3.63, P=0.0085) "인간적인 대우"(F=3.32, P=0.0136)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고 생각함"(F=2.54, P=0.0450)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환자 자신에 의해 인지된 삶의 질 평점은 입원 시와 입원 1주에 각각 3.63, 3.83으로 향상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볼 때 "통증조절" 항목만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3) 사망시점으로부터 삶의 질 평점은 사망 5주전, 4주전, 3주전, 2주전, 1주전에 각각 3.48, 3.51, 3.44, 3.46, 3.50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호스피스 서비스는 말기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호스피스 환자들을 지지해 줄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특히 간호의 영적 영역에 초점을 두어야 하겠다. 또한 말기 환자의 주관적인 삶의 질 측정을 위해 도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자를 확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Microsatellite 분석을 이용한 Microsatellite 불안정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Primary Small Cell Lung Cancers by Microsatellite Analysis)

  • 조은송;장준;박재민;신동환;김세훈;김영삼;장윤수;조철호;곽승민;이준구;정경영;김성규;이원영;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80-190
    • /
    • 2000
  • 연구배경: Microsatellite 돌연변이 유발유전자 표현형으로 나타나는 유전자 불안정화는 암 발생에 필요한 유전자 변이의 출현을 조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erlo 등은 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빈번한 microsatellite 불안정화가 관찰됨을 보고하였으나 최근 Kim 등의 또 다른 보고에서는 검사를 시행한 loci중 오직 1%에서만 microsatellite instability가 관찰되어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종양 발생에 관여하는 원인을 찾는 노력의 일환으로 유전자 불안정화가 원발성 소세포폐암의 발생과 진행에 어떠한 병인적 중요성을 갖는지 확인하고, 외국의 결과와 비교하여 우리나라 환자들에서 유전적 변이의 차이점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microsatellite 불안정화가 빈번히 관찰된다면 이를 우리나라 소세포폐암 환자들의 분자생물학적 조기 진단 및 환자의 예후 판정에도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원발성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15 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암조직과 이에 대응하는 정상 조직의 파라핀 포매 블록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였으며, 염색체 1p, 2p, 3p, 5q, 6p, 6q, 9p, 9q, 13q, 17p에 위치한 총 40개의 microsatellite markers를 이용하여 microsatellite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 15예중에서 LOH가 1개라도 관찰된 경우는 13예(86.7%) 이었다. 2) LOH가 관찰된 13예중 3예에서는 염색체 9p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결손이 관찰되었다. 3) LOH는 염색체 2p에서 72.7%, 염색체 3p 40%, 염색체 5q 50%, 염색체 9p 46.7%, 염색체 13q 69.2%, 그리고 염색체 17p에서 66.7% 가 관찰되었다(Table 1). 4) 대상 환자 15예중에서 shifted bands가 1개라도 관찰된 경우는 9예(60%)이었다. 5) Shifted bands, 즉 microsatellite 불안정화를 보이는 9예중 altered loci는 2.5~52.5%( 평균 $9.4\pm16.19$)에서 관찰되었다(Table 2). 6) 검사한 총 600개 loci 중에서 shifted bands가 있는 경우는 34 loci로 5.7% 이었다(Table 2). 7) Shifted bands를 보이는 9예에서 LOH는 0~83.3% 까지 관찰되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35주이었다. Shifted bands를 보이지 않는 6예에서 LOH는 0~83.3%까지 관찰되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73주이었다(Table 1). 그러나 양군간의 중앙생존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712). 결 론: 원발성 소세포폐암 일부에서 여러 종양억제유전자들의 불활성화뿐 아니라 microsatellite 불안정화도 암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microsatellite 불안정화와 소세포폐암의 임상적 예후와의 연관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여성건강 간호센터를 위한 모형개발 - 일개 통합시를 중심으로- (Model Development a Womens' Health Care Center in the Community)

  • 이은희;소애영;최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95-12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omens' health problems using Green & Kreuter's 1991 PRECEDE model and to develop a model for a womens' health care center located in the community.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Wonju City. 1. The results showed that 23% of the sample population felt there was a need for a womens' health care center. The mean number of health problems was 3.1. The prevalence rate, was 44.4%, and the rate for an artificial abortion, was 36.4%. Also 30.5% did not have a health examination in the past year. Women using the hospital for medical care accounted for 45% of the sample, while 40% used the drugstore. The average score on the HPLP was 2.41, and this was influenced by self-efficacy, family support, sexual role, and health locus of control. There are a few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ity provided by the Wonju Health Center and by community health nurse practitioners. 2. The nursing center, as defined in North America, is a nurse-anchored system of primary health care delivery or neighborhood health center. Centers offer various services ranging from primary care to the more traditional such as education, health promotion, wellness screening, and coordination of services by advanced practice nurses. For examples in Sweden MCH centers provide total services for childbearing women and their families, sexual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adolescents, and screening by midwives for cervical cancer. 3. The developed model combines purpose, target population, organization, and services, and is related to health resources. The purpose is primary health care and promotion of the quality of life. The target population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premarriaged age group, the childbearing/child rearing age group, and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and focuses on self-help. The organization of the center includes an advisory committee to plan and evaluate, and a health services team that will be multidisciplinary to provide health care, counseling education, and research. The model development suggested that a variety of women's health care centers are needed to insure adequate management of women's health. Follow-up research using PROCEED is needed to analyze health outcomes. Also a health nursing specialist system is requir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 PDF

유방암 환자에 대한 심리교육 집단개입의 효과 (A Pychoeducational Group Intervention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rcinoma)

  • 황숙연;이인수;박병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93-118
    • /
    • 2002
  •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은 여성암 중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에서 유방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서구에서 주로 실시되어 왔던 심리교육 집단개입이 우리나라에서도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를 증진시킴으로써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합의를 논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방암 수술을 받은 지 1년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들 중 유방암 병기가 3기 B이상이거나 70세 이상의 환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지리적으로 참석이 불가능한 환자 등을 제외한 80명의 환자 중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환자 70명을 실험집단, 대기자 통제집단 및 대기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는 각각 24명이었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환자 수는 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13명이었다. 이들에 대해 매 주 특정주제를 중심으로 8주간의 구주화된 집단개입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은 교육과 심리적 지지를 결합한 심리교육적 전략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대처에 대해 Beck Depression Inventory와 Ways of Coping Checklist-Revised(WCCL-R)를 실시하여 집단개입 전과 8주 후에 각각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 개입 이후 BDI상에 나타난 우울에 대해서는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p<.05). 대처에 대해서는 총점에서나 하위척도 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집단의 크기, 프로그램의 내용, 수술 후 경가 시기 등이 논의되었다.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도 단기 심리교육 집단개입이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 PDF

Role of Tobacco Warning Labels in Informing Smokers about Risks of Smoking among Bus Drivers in Mangalore, India

  • Mallikarjun, Sajjanshetty;Rao, Ashwini;Rajesh, Gururaghavendran;Shenoy, Ramya;Mithun, Pai B.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265-8270
    • /
    • 2014
  • Background: Smoking tobacco is considered as a leading cause of preventable death, mostly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India. One of the primary goals of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is to educate smokers about the risks associated with tobacco consumption. Tobacco warning labels (TWLs) on cigarette packag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statutory means to communicate health risks of smoking to smokers, with the hope that once educated, they will be more likely to quit the habit.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WLs in communicating health risks of tobacco usage among 263 adult smokers working as bus drivers in Karnataka State Road Transport Corporation (KSRTC), Mangalore, India. Information was collected on demographic details, exposure and response to health warnings on tobacco products, intention to quit and nicotine dependency. Results: The majority (79.5%) of the respondents revealed negative intentions towards quitting smoking. Nearly half of the participants had a 'low' nicotine dependency (47.5%) and 98.1% of the respondents had often noticed warning labels on tobacco packages. These health warnings made 71.5% of the respondents think about quitting smoking. Respondents who noticed advertisement or pictures about dangers of smoking had better knowledge, with respect to lung cancer and impotence as a consequence of tobacco. A higher exposure to warning labe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nicotine dependency levels of smokers among the present study population.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respondents who noticed advertisement or pictures about the dangers of smoking thought about the risks of smoking and were more inclined to think about quitting smoking. As exposure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knowledge and response of participants was also observed. Conclusions: Exposure to tobacco warning labels helps to educate smokers about health risks of tobacco smoking. It may be possible to promote oral health among bus drivers by developing strategies to educate them about these risk factors.

성문상부암종에서 성문상 후두부분절제술과 경부청소술의 치료성적 (Treatment Outcome of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for Supraglottic Carcinoma)

  • 태경;민현정;송미나;신광수;이승환;김경래;이형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0
    • /
    • 2007
  • Background and Objectives: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is oncologically sound surgical procedure for selected cases of laryngeal cancer which maintains physiologic speech and swallowing without permanent tracheosto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ncologic and functional results of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and neck dissection for supraglot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Between 1991-2005, Twenty-three supraglottic cancer patients, underwent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re were 5 patients with cT1, 14 with cT2, 4 with cT3 and 11 patients with cN0, 1 with cN1, 10 with cN2, 1 with cN3. All patients underwent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added to twenty patients. They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primary subsites, extended subsites, treatment result, survival rate,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 postoperative complication, time of decannulation and oral diet, and postoperative voice. Results:Among eleven patients with clinically negative node, six patients had pathologically positive nodes. So occult metastasis was 54.5%. Two patients recurred at cervical lymph node and one had distant metastasis to lung. Local and regional control were 100% and 91.3%. The overall 3-year and 5-year survival rate were 84%, 78%, respectively. Nineteen case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four were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s. Basaloid subtype was significantly affected to survival. Decannulation and oral feeding were possible in 100%. Conclusions: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is oncologically safe and functionally good procedure in supraglottic cancers. Elective neck dissection is beneficial in management of occult cervical metastasis.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The Result of Radiotherapy in Glottic Cancer)

  • 조문준;김일한;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85
  • 성문암은 술, 담배가 주 원인적 인자로 밝혀져 있다. 성문암은 쉰목소리 등으로 조기발견이 용이하며 대부분 분화도가 좋은 편평상피암이고 해부학적 위치상 조직생검 및 치료경과 관찰이 용이하며, 성운에는 임파절이 없으므로 전이가 적다. 국소 치료인 방사선치료와 수술이 치료의 주종을 이루며 방사선치료는 음성보전 측면에서 효과적이므로 초기병변에는 방사선치료를 진행된 병변의 경우 수술 혹은 수출 및 방사선 복합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저자들은 1979년 3월부터 1982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암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추적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치료 후 3년 무병 생존율이 $T_1N_0 :\;78\%T_1N_0;\;60\%T_3N_0:\;50\%$, 2 구제적 수술후 3년 무병생존율이 $T_1N_0 :\;89\%T_2N_0;\;80\%T_3N_0:\;50\%$ 3. 재발은 대개 3년 이내에 하였다.

  • PDF

비인강암의 치료 결과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Result of Nasopharyngeal Cancer)

  • 류삼열;김상보;김재철;우홍;박인규;박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77-182
    • /
    • 1990
  •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치료를 받은 비인강의 편평 상피 세포암과 림프 상피종 42예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치료를 거부한 1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7.8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에 적어도 70 Gy이상, 그리고 경부 임파절에 60 Gy이상 투여된 환자는 29명이었고, 이들은 모두 제 3 혹은 제 4 병기에 속하였다. 20예의 편평 상피 세포암의 국소 관해율은 $75\%였고, 림프 상피종 9예는 모두 완전 관해를 보였다. 원발병소와 임파절의 재발율은 $27.6\%였으며, 원격 전이가 치료 실패의 주종을 이루어서, 림프 상피종에서는 6예의 치료 실패 중 4예, 편평 상피 세포종에서는 10예 중 4예에서 나타났다. 3년 생존율은 편평 상피 세포종에서 $40.5\%였고, 림프 상피종에서는 $25.9\%였다. 이는 림프 상피종의 국소 관해율이 더 높았으나 원격전이가 더 빈번하고 비효율적인 화학요법의 결과라 생각된다. 경부 임파절의 위치와 생존율과의 상관 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상으로 미루어, 보조적 확학 요법이 생존에 큰 이득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더 신중하고 적극적 인 화학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irradiation of unresectable recurrent head and neck cancer: using Helical Tomotherapy as image-guid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 Jeong, Songmi;Yoo, Eun Jung;Kim, Ji Yoon;Han, Chi Wha;Kim, Ki Jun;Kay, Chul Se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206-215
    • /
    • 2013
  • Purpose: Re-irradiation (re-RT) is considered a treatment option for inoperable locoregionally recurrent head and neck cancer (HNC) after prior radiotherapy.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re-RT using Helical Tomotherapy as image-guid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 recurrent HNC.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recurrent HNC and received re-R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rimary endpoint was overall survival (OS) and secondary endpoints were locoregional control and toxicitie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of total 9 patients was 18.7 months (range, 4.1 to 76 months) and that of 3 alive patients was 49 months (range, 47 to 76 months). Median dose of first radiotherapy and re-RT was 64.8 and 47.5 $Gy_{10}$. Median cumulative dose of the two courses of radiotherapy was 116.3 $Gy_{10}$ (range, 91.8 to 128.9 $Gy_{10}$) while the median interval between the two courses of radiation was 25 months (range, 4 to 137 months). The response rate after re-RT of the evaluated 8 patients was 75% (complete response, 4; partial response, 2). Median locoregional relapse-free survival after re-RT was 11.9 months (range, 3.4 to 75.1 months) and 5 patients eventually presented with treatment failure (in-field failure, 2; in- and out-field failure, 2; out-field failure, 1). Median OS of the 8 patients was 20.3 months (range, 4.1 to 75.1 months). One- and two-year OS rates were 62.5% and 50%, respectively. Grade 3 leucopenia developed in one patient as acute toxicity, and grade 2 osteonecrosis and trismus as chronic toxicity in another patient. Conclusion: Re-RT using Helical Tomotherapy for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s with unresectable locoregionally recurrent HNC may be a feasible treatment option with long-term survival and acceptable toxi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