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ve dentistry

검색결과 869건 처리시간 0.027초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일부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을 대상으로-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 서의경;김순덕;이준영;임재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63-576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업무형태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업무 시 노출되는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 내 악습관이 측두하악장애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아 보건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으로부터 편의 추출된 45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3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 하악사용에 관한 구강 내 악습관,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문지의 양성응답 수의 빈도에 따라 무증상인 1단계에서 양성응답 수가 가장 많은 4단계 까지 총 4그룹으로 나누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에 따른 여러 요인들 간의 연관성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및 경향성 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은 75.4%였고,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주관적 증상으로는 관절잡음이 56.4%로 가장 주된 증상 중 하나였으나 남녀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두통이나 목의 통증이 36.5%이었고, 귀, 관자놀이, 볼 주위의 통증이 22.1%로 높았다.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 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증상이 없는 경우 여성에서 19.1%, 남성에서 36.6%로 여성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의 그룹보다 20 - 30대그룹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악 사용과 관련된 악습관 및 직무스트레스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악 사용과 관련된 습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개수도 많아졌고, 습관이 한 가지씩 늘어날수록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없는 1단계보다 3단계가 될 위험이 1.45배, 4단계가 될 위험이 1.57배 높아졌다.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하위단계에서 한 단계 높아지면 측두하악장애 1단계에서 4단계가 될 위험이 2.49배, 두 단계 높아지면 3.43배 높아졌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측두하악장애와 업무특성에 따른 연관성은 설명하지 못하였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개수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업무형태 보다는 심인적인 부분이 더 중요한 인자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측두하악장애 평가 시 신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행동적, 심리 사회적 문제로 예측인자를 폭넓게 인식함으로써 다각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발생된 경우 임상적 치료뿐 아니라 행동요법 및 심리 치료와 자가 관리 등이 함께 수반되어 기여요인 조절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Anthocyanin의 Delphinidin이 MDA-MB-231 유방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phinidin in Anthocyanin o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 장혜연;이송희;안인정;이해님;김혜리;박영석;박병권;김병수;김상기;조성대;남정석;최창순;정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1-2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에 포함된 anthocyanin 중 delphinidin이 인간 유래의 MDA-MB-231 유방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키고 apoptosis를 유발하는지 살펴보고 in vivo 실험에서도 항암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cell viability를 보기 위한 MTT assay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켰으며, apoptosis의 확인을 위한 DAPI stain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chromatin condensation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western blot에서 암 억제 유전자인 p53 단백질이 증가하였고, anti-apoptotic 분자인 Bcl-2 단백질과 p-$GSK3{\beta}$ 단백질은 감소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10 mg/kg delphinidin을 투여한 군에서 종양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TUNEL assay를 통해 apoptosis 세포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되어 종양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MDA-MB-231 유방암세포에서 delphinidin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apoptosis를 유발시키는 효과를 보이므로 암 예방제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 관심도 조사 (Parents' concern for child oral health)

  • 김경선;김선주;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5-4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est level of mothers in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hrough April 30, 2007, and SPSS WIN 11.5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answer she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group of mothers whose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ade up 55.7 percent of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5 and under. Among the mothers having three or more children, those mothers accounted for 59.1 percent.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of children was higher among the better-educated mothers. 2. Concerning dietary and oral guidance, the mot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better curbed their children's excessive sugar intake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y the number of child and academic credential, those who had two children(36.0%) taught the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requently(pE.01),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taught about it often(pE.05). The gap between the groups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3. As for experience of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the working mothers visited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than the stay-at-home mot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Regarding purpose of the visit, the largest group aimed to get treatment(64.6%), followed by having a dental checkup(14.6%) and receiving preventive treatment(13.5%). As to any inconveniences in using dental institution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were in the upper income bracket found it more inconvenient to do that because of a long distance or time constraint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4. In regard to concern for dental care, the mothers who were better educated(pE.001) and whose family income was 3 million won or more had their teeth scaled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1). The rate of the regular visitors of dental institutions stood at 32.7 percent of the junior-college graduates, 31.0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ing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10.1 percent of the high-school graduates(pE.01). And those who earned larger income paid a visit to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and on a regular basi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극복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Resilien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윤미숙;정효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84-392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극복력 수준을 살펴보고, 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6년 7월 11일부터 7월 29일까지 일부 지역 치위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 274부를 IBM SPSS Statistics ver. 21.0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위생과 학생이 경험한 생활스트레스는 5점 만점 중 평균이 2.35점으로 나타났으며, 8개의 생활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학업문제가 가장 높았고, 교수와의 관계, 장례문제, 가치관문제, 경제문제, 가족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의 극복력은 7점 만점 중 평균이 4.47점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유능성'이 4.57점으로 '자신의 삶의 수용' 4.25점보다 높았다. 치위생과 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F=24.13, p<0.001), 학교성적(F=8.77, p<0.001), 경제상태(F=12.89, p<0.001), 건강상태(F=15.34, p<0.001), 대인관계(F=19.72,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극복력은 종교(t=2.29, p<0.05), 전공만족도(F=14.69, p<0.001), 학교성적(F=11.41, p<0.001), 경제상태(F=5.05, p<0.01), 건강상태(F=3.67, p<0.05), 대인관계(F=7.5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의 극복력과 생활스트레스의 관계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p<0.05, p<0.001), 극복력이 높을수록 생활스트레스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고, 치위생과 학생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은 가치관문제, 가족관계, 장래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를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방적 차원의 극복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생활스트레스 요인과 수준에 대한 검사를 통해 각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과 지도가 요구된다.

Ethanol이 배양된 Mouse Myeloma Cell Line Sp2/0-Ag14로부터 분리한 형질막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on the Fluidity of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Cultured Mouse Myeloma Cell Line Sp2/0-Ag14)

  • 윤일;정인교;박영민;김진범;유성호;강정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9-156
    • /
    • 1993
  • Ethanol이 암세포 증식 속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검색의 일환으로 배양된 mouse myeloma cell line Sp2/0-Ag14로부터 분리한 형질막 (Sp2/0-PMV) 유동성에 미치는 ethanol의 영향을 형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ethanol은 Sp2/0-PMV 지질 이중층 측방확산운동의 범위와 속도를 증가시켰고 회전확산운동 범위도 증가시켰다. 특히 ethanol은 Sp2/0-PMV 지질이중층 중 내부단층 (inner monolayer)에 비하여 비교적 선택적으로 외부단층 (outer monolayer)의 회전확산운동 범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치위생과 학생의 자원봉사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voluntary satisfaction and voluntary activit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영남;이혜진;오한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21-631
    • /
    • 2013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원봉사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의 연관성을 찾아 내어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 및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치위생과 재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부터 12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1학년이 51.3%로 가장 많았고 과거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이 74.3%였으며 자원봉사 활동분야에서 장애인 분야가 31.7%로 가장 많았다.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는 '학점 취득 및 자원봉사활동실적을 쌓기 위해서' 가 56.2%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전공봉사활동에 대해서는 과거 봉사활동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고, 봉사활동 참여형태에서 동아리나 소모임이 가장 높았다. 전공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주변인의 지지가 높을수록, 업무의 인식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적절성이 높을수록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높았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들이 전공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자의 체계적인 교육 및 대학의 실정에 맞는 교과목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행되어 대학생들의 인식을 바꾸고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지식과 실천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visiting health care personnel)

  • 원재희;박일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459-2467
    • /
    • 2010
  • 본 논문은 공공의료보건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건강인력의 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성 제고의 목적에서 구강건강 지식 및 실천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지식은 치주질환 67%, 치아우식증 68%, 일반치과지식은 68.4%이상의 정답률을 보였다. 둘째, 구강건강실천은 예방목적의 치과방문에서 50%이상, 치료를 위해서 60.1%가 치과방문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석제거는 46.6%가 정기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과치료이용을 89.6%가 종합병원·치과(병)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질의 경우 3회 이상은 89.5%, 구강위생용품으로는 치실을 58%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칫솔질 방법으로 회전법을 시행하는 대상자는 46%로 조사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식은 연령(F=5.25, p<0.01), 보건의료직 경력(F=3.94, p<0.01)에 따라, 구강건강실천은 방문보건경력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F=3.20, p<0.05).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교육 및 직업관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Course Education and their Occupation)

  • 정재연;최정이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1-145
    • /
    • 2000
  •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Dental Hygiene students'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helping construct proper professionalism, survey on Dental Hygiene students' consciousness of attitude to and satisfaction of the course, career plan and occupation mind set was carried out. 530 three year students in 8 Dental Hygiene academi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questioned. The results of the survery are as follows:. 1. Dental Hygiene students' motives consisted primarily of employment and a desire for professionalism 25% of them entered the course after one failure i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17% had family members engaging in the dentistry field 84%, the largest portion, were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24% had some knowledge of Dental Hygiene, which they had acquired from seniors, friends, and teachers. 2. Patient care and treatment assistance related matters were not considered important in the course. The weak points of the course turned out to be education in computers and foreign languages, but the weakest was the ability of patient care during clinical training. 53% had experiences had thought of changing their major while in the course because it didn't match their aptitude and interest. 3. As for a career after graduation, 49% worried about it Most students wanted to work at a dental hospital or general hospital, The most favored duty was coordination or reception or oral disease preventive work. They wanted to work untill they had a stable living. 68% answered they would get a job at an oral clinic and 70% said they would continue studying for self-realization. 4. Satisfaction with the major was high in students whose aptitude and interest matched the course, who had background knowledge of the major, and who. didn't think of changing the major but would continue studying resulting in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01). As to satisfaction with the faculties,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se aptitude and interest matched the major and who didn't think about a career after graduation showing a slight difference(p<05, p<0l). As for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students whose aptitude and interest matched the major and who didn't consider changing the major answered positively showing a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1, p<.01). As to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 entered with aptitude and interest, who had preliminary knowledge, who didn't consider changing the major, and who didn't think about a career after graduation showing a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1, p<.05). 5. Occupation mind-set was positive for students who entered with interest and aptitude, who had preliminary knowledge, and who had not considered changing the major showing a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1).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faculty and clinical training was, the more positive the occupation mind-set was(p<.001).

  • PDF

Improved postoperative recovery profile in pediatric oral rehabilitation with low-dose dexmedetomidine as an opioid substitute for general anesthesia: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 Naveen, Naik B;Jaiswal, Manoj Kumar;Ganesh, Venkata;Singh, Ajay;Meena, Shyam Charan;Amburu, Vamsidhar;Soni, Shiv Lal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5호
    • /
    • pp.357-367
    • /
    • 2022
  • Background: Low-dose dexmedetomidine may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opioids for pediatric ambulatory procedures under general anesthesia (GA). However, the recovery profile remains unclear. Herein,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w-dose dexmedetomidine on the recovery profile of children. Methods: Seventy-two children undergoing ambulatory oral rehabilitation under GA were randomly and equally distributed into two groups (D and F). Group D received an infusion of dexmedetomidine 0.25 ㎍/kg for 4 min for induction, followed by maintenance of 0.4 ㎍/kg/h. Group F received an infusion of fentanyl 1 ㎍/kg over 4 min for induction, followed by maintenance at 1 ㎍/kg/h. The primary outcome was the extubation time. The secondary outcomes were awakening time, end-tidal sevoflurane (ET-Sevo) requirement, change in hemodynamic parameters, Richmond Agitation-Sedation Scale (RASS),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pain scale (CHEOPS) score, length of PACU stay, and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covery profile between the groups: the median time for extubation was 3.65 (3.44-6.2) vs. 6.25 (4.21-7) minutes in groups D vs. F (P=0.001), respectively, while the corresponding awakening times were 19 (18.75-21) and 22.5 (22-24) minutes, respectively (P < 0.001). The mean ET-Sevo was low in group D (1.1 vs. 1.2; P < 0.001).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low across all time points in group D, without resulting in bradycardia. The median RASS and CHEOPS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arterial pressur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or length of PACU stay. Conclusion: Low-dose dexmedetomidine was more effective than fentanyl as an opioid substitute at providing a better recovery profile in pediatric ambulatory oral rehabilitation under GA. Dexmedetomidine also significantly reduced sevoflurane consumption without causing adverse events or prolonging hospital stay.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의 변화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and Management Capability of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현자;송근배;이성국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95-303
    • /
    • 1999
  • 본 연구는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의 증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구시내 1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군 118명 교육을 받지 않는 비교육군 122명으로 나누어 4주 간격으로 4차례의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구강보건교육 전, 후에 설문지를 통하여 지식도가 측정되었고, 또한 동시에 구강위생관리능력(PHP)이 검사되었다. SAS를 이용한 자료 분석으로부터 변화차이는 t-test, paired t-test, chi-square test, ANCOVA에 의해 비교되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의 영향으로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 있어서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하여 구강보건 지식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잇솔질 시기, 잇솔질 방법, 치아우식증 원인, 치아손상시 조치, 혓솔질의 교육문항에서 교육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보건교육 과정에서 이 문항들은 반드시 교육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구강보건교육의 영향으로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 있어서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하여 구강보건 지식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잇솔질 시기, 잇솔질 방법, 치아우식증 원인, 치아손상시 조치, 혓솔질의 교육문항에서 교육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보건교육 과정에서 이 문항들은 반드시 교육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구강보건교육 후에 지식도가 증가되어 저학년과 고학년에 있어서 치면세균막지수, 치변세균막부착율은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하여 더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교육군의 구강위생관리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은 초등학교 학생에게 구강보건지식도를 증가시켜 구강위생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저학년 및 고학년 학생들에게 이해가 쉽고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자료가 개발되어 일선 초등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