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term birth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7초

Successfully treated infective endocarditi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 Jung, Sehwa;Jeong, Kyung Uk;Lee, Jang Hoon;Jung, Jo Won;Park, Moon S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2호
    • /
    • pp.96-99
    • /
    • 2016
  • Survival rates of preterm infants have improved in the past few decades, and central venous cathe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nsive medical treatment of these neonates. Unfortunately, these indwelling catheters increase the risk of intracardiac thrombosis, and they provide a nidus for microorganisms during the course of septicemia. Herein, we report a case of persistent bacteremia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n extremely low birth weight (ELBW) infant, along with vegetation observed on an echocardiogram, the findings which are compatible with a diagnosis of endocarditis. The endocarditis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ntibiotic therapy, and the patient recovered without major complications. We suggest a surveillance echocardiogram for ELBW infants within a few days of birth, with regular follow-up studies when clinical signs of sepsis are observed.

미숙아에서 경비지속기도양압과 가습고유량비강캐뉼라의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High Flow Nasal Cannula versus Nasal CPAP in Preterm Infants)

  • 윤성호;권영희;박현경;김창렬;설인준;이현주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93-300
    • /
    • 201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에서 HHFNC를 이용한 보조환기요법의 사용 빈도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서울 한양대학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주령 32주 미만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를 Era 1, 2009년 3월부터 2011년 3월까지를 Era 2으로 구분하여 두 기간 동안 HHFNC 사용 빈도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재태주령 25-30주 미만 환아들 중 출생 14일 이내 보조환기요법으로 NCPAP 또는 HHFNC를 적용 받았던 두 그룹의 임상경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Era 1과 비교해서 HHFNC의 사용은 10에서 55%으로 증가하였고, NCPAP의 사용은 40에서 5%으로 Era 2에서 감소하였다. 재삽관률과 BPD 그리고 산소나 인공환기기를 적용 받은 기간에서는 두 그룹에서 차이가 없었고, 기타 미숙아 합병증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완전 장관 수유까지 걸린 시간과 출생체중으로 회복되는데 걸린 시간이 HHFNC를 적용한 그룹에서 감소하였다. 고찰: HHFNC이 미숙아에서 잘 적용되었고, NCPAP과 비교하여 임상 경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완전 장관 수유까지 걸린 시간과 출생체중으로 회복되는데 걸린 시간을 줄였다. 향후 전향적인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HHFNC의 안정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의 2005-2009년도 영아사망률 중에서 출생체중, 임신나이 별 구분에 따른 신생아 사망률의 비율 관찰 (Analysis of Infant Mortality Rate in Korea Concerning According to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from 2005 to 2009)

  • 조미진;고진희;정성훈;최용성;한원호;장지영;배종우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82-188
    • /
    • 2011
  • 목적: 한국에서 최근 신생아사망률(NMR), 영아사망률(IMR)는 주산기, 신생아, 소아과 의료의 발전으로 현저한 개선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최근 5년간 IMR 중에서 NMR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아, NMR의 개선이 IMR의 감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 통계청의 출생 자료 및 신생아 및 영아에 관련된 통계와 보고서의 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2005-2009년 간 한국에서 영아사망 중에서 신생아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와 출생 시의 출생체중와 임신나이에 따른 분포별 사망이 영아사망에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2005-2009년 간 한국의 총 출생 수는 감소하였으나, 미숙아 수, 저체중출생아(LBWI) 수, 극수제체중출생아(VLBWI) 수는 증가하였다. 연도별 신생아 및 영아 사망 수, NMR, IMR는 감소하였다.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신생아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57.1%, 2009년 56.3%로 전체적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신생아사망 중에서는 후기 신생아사망 보다는 조기 신생아사망의 비율이 높았다. 연도별로 출생 시 정상체중아, LBWI, VLBWI, 미숙아 사망 수는 감소추세 이었다.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출생 시 정상체중아에서 사망과 출생 시 LBWI 사망의 비는 2005년 42.1:57.9, 2009년 44.2:55.8,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출생 시 만삭아에서 사망과 미숙아 사망의 비는 2005년 42.9:57.1, 2009년 44.6:55.4로 LBWI, 미숙아의 사망이 높았다. 5년간 평균 수치의 출생체중별, 임신나이별 신생아 사망 비율도 관찰하였다. 결론: 한국에서 저출산 시대에 총 출생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미숙아 LBWI의 빈도는 증가 추세이다. 한국에서 전반적인 연도별 전체 신생아 및 영아사망 수의 감소와 NMR, IMR의 개선과 IMR에서 NMR이 차지하는 비율의 감소 추세 등이 고무적이지만, 아직도 IMR에서 NMR의 비율은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한국에서 IMR의 보다 좋은 개선을 위하여 NMR의 지속적인 감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해서 미숙아 LBWI, 이중에서도 고위험 신생아인 VLBWI와 임신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의 예후를 더욱 향상해야 할 것이다. 본 자료를 향후 신생아 관리의 기초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calcitonin values in newborns with noninfectious conditions during the first week of life

  • Lee, Jueseong;Bang, Yong Hyeon;Lee, Eun Hee;Choi, Byung Min;Hong, Young So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호
    • /
    • pp.10-16
    • /
    • 2017
  • Purpose: Although procalcitonin (PCT) level is useful for the diagnosis of neonatal sepsis, PCT reliability is inconsistent because of the varied conditions encounter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CT levels and factors influencing increased PCT levelin newborns without bacterial infection during the first week of life. Methods: In newborns hospitalized between March 2013 and October 2015, PCT levels were measured on the first, third, and seventh days after birth. Newborns with proven bacterial (blood culture positive for bacteria) or suspicious infection (presence of C-reactive protein expression or leukocytosis/leukopenia) were excluded. Various neonatal condition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ncreased PCT level. Results: Among 292 newborns with a gestational age of $35.2{\pm}3.0$ weeks and a birth weight of $2,428{\pm}643g$, preterm newborns (n=212) had higher PCT levels than term newborns (n=80). Of the newborns, 7.9% had increased PCT level (23 of 292) on the firstday; 28.3% (81 of 286), on the third day; and 3.3% (7 of 121), on the seventh day after birth. The increased PCT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natal disuse of antibiotics (P=0.004) and surfactant administration (P<0.001) on the first day after birth, postnatal use of antibiotics (P=0.001) and ventilator application (P=0.001) on the third day after birth, and very low birth weight (P=0.042) on the seventh day after birth. Conclusion: In newborns without bacterial infection, increased PCT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gestational age and respiratory difficulty during the first week of life.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clinical applications.

Esophageal Bolus Transit in Newborn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Study

  • Cresi, Francesco;Liguori, Stefania Alfonsina;Maggiora, Elena;Locatelli, Emanuela;Indrio, Flavia;Bertino, Enrico;Coscia, Alessandr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4호
    • /
    • pp.238-245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olus transit during esophageal swallow (E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GER) ev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S and GER events in a population of term and preterm newborns with symptom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term and preterm newborns referred to combined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MII) and pH monitoring for GERD symptoms. Th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ES and GER events were assessed by two independent investigato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Fifty-four newborns (23 preterm)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Median bolus head advancing time corrected for esophageal length (BHATc) was shorter during mealtime than during the postprandial period (median, interquartile range): 0.20 (0.15-0.29) s/cm vs. 0.47 (0.39-0.64) s/cm, p<0.001. Median bolus presence time (BPT) was prolonged during mealtime: 4.71(3.49-6.27) s vs. 2.66 (1.82-3.73) s, p<0.001. Higher BHATc (p=0.03) and prolonged BPT (p<0.001) were observed in preterm newborns during the postprandial perio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HATc and bolus clearance time was also observed (${\rho}=0.33$, p=0.016). Conclusion: The analysis of ES and GER events at the same time by MII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opathology of GERD.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BHATc during the postprandial period could help clinicians identify newborns with prolonged esophageal clearance time due to impaired esophageal motility, which could allow for more accurate recommendations regarding further tests and treatment.

Longitudinal Study of Iron Concentration in Korean Preterm Human Milk

  • Lim, Gi-Na;Koo, Mi-Sung;Kim, Ellen Ai-Rhan;Min, Won-Ki;Yoon, Sung-Chul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04-110
    • /
    • 2011
  • 목적: 미숙아에게 필요한 영양성분을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모유 성분을 분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미숙아 모유의 장기적인 철분함량의 변화를 관찰하고 만삭아 모유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모유수유만 하는 미숙아에서 철분 보충의 필요성과 지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재태연령 34주 미만이거나 출생체중 1,800 g 미만의 미숙아를 출산한 산모 103명으로부터 생후 1, 2, 4, 6, 8, 12주의 모유를 수집하였고, 만삭아의 모유는 24명의 산모로부터 생후 1주째에 수집하여 철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생후 2주에서 8주 사이의 미숙아 모유내의 철분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36.3${\pm}$23.1~45.8${\pm}$26.0 $\mu$g/dL), 이는 생후 1주째의 미숙아모유 (23.1${\pm}$14.6 $\mu$g/dL)나 만삭아 모유(25.2${\pm}$7.55 $\mu$g/dL)의 철분함량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교정나이로 만삭이 된 미숙아의 모유(42.2${\pm}$19.4 $\mu$g/dL)는 만삭아의 모유보다 유의하게 높은 철분함량을 나타내었다. 결론: 미숙아 모유의 철분함량은 생후 3개월까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필요량보다 적어 모유수유만 할 경우 AAPCON(2004)에서 권유하는 대로 2 mg/kg/day의 철분을 보충하는 것이 좋겠다.

충남 아산시 저체중 출생아의 산전 환경 위험요인 (A Survey on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san-City)

  • 윤석준;안형식;하미나;고경심;전경자;이희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1호
    • /
    • pp.11-16
    • /
    • 2004
  • Objective :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duce basic data on the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t a community level. Methods : In 2000, we conducted the direct interview using questionnaire about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with low birth weight infant-delivered mothers and normal weight infant-delivered mothers in Asan-city,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The questionsgiven to the mothers included past pregnancy history, menstrual status, disease history before and during the pregnancy, family history,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exposure history. The responses of the twogroups were compared to calculate the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each group. Results : Mothers' smo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birth weight infants (adjusted odds ratio(AOR) 3.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5-8.56) and preterm baby (AOR 4.20; 95% CI, 1.21-14.61). Other environmental risk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moking of mothers can be a risk factor for the delivery of low birth weight infant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the basic data on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suggest research topics for further community-based evaluation.

Association of Positive Ureaplasma in Gastric Fluid with Clinical Features in Preterm Infants

  • Jung, Yu-Jin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80-287
    • /
    • 2011
  • 목적: 미숙아에서 위액 내 Ureaplasma urealyticum 의 검출이 미숙아의 특징과 임상적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미숙아를 대상으로 출생 후 30분 이내에 첫 위액은 채취하였고, 위액 내 U. urealyticum 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4시간 이내에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U. urealyticum 이 검출된 군을 양성군으로, 검출되지 않은 군을 음성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91명의 미숙아 중에서 17명(19%)에서 위액 내 U. urealyticum 이 검출되었다. U. urealyticum 양성군에서 음성군보다 통계학적으로 30주 미만의 미숙아 수가 더 많았고(P=0.02), 1분과 5분 아프가 점수가 더 높았으며(P=0.017과 P=0.048), 그리고 질식 분만이 더 많았다(P=0.000). 두 군간에 기관지폐이형성증의 발생률은 차이가 없었지만, 이전에 신생아호흡 곤란증 진단 없이 기관지폐이형성증의 발생한 빈도는 음성군(1%)보다 양성군 (11%)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P=0.03). 결론: 위액 내 U. urealyticum 검출은 임신 기간 30주 미만 미숙아에서 높게 관찰되고, 미숙아에서 선행되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 없이도 발생할 수 있는 기관지폐이형성증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된다.

임산부에서의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유전자 변이, 엽산 및 비타민 B$_{12}$ 결핍과 고호모시스틴 혈증이 재태기간과 출산아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The risk of MTHFR variants, folate and vitamin B$_{12}$ deficiencies and hyperhomocysteinaemia during pregnancy associated with short gestational age and reduced birth weight)

  • 박혜숙;김영주;하은희;이화영;장남수;홍윤철;김우경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MTHFR variants, folate and vitamin $B_{12}$ deficiencies increase the risk of hyperhomocysteinaemia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 such as short gestational age or reduced birth weight. Healthy pregnant women (n=136; 24-28 gestational weeks; 20-40 years old),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or prenatal c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the time of delivery, trained nurses recorded the pregnancy outcome from medical chart. We determined maternal MTHFR polymorphisms (C to T subsitution at nucleotide 677) and measured serum homocyteine, vitamin $B_{12}$, and folate concentrations. We compared serum homocysteine level by MTHFR genotype, serum folate and serum vitamin B12 levels using ANOVA.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homocysteine level and pregnancy outcome, we compared th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by serum homocysteine level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ing for other potential predictors. Mean level of serum homocysteine was highest among pregnant women of the MTHFR variants with low levels of serum folate and vitamin $B_{12}$. Regarding association with birth outcome, w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cysteine levels and increased gestational age (p=0.03) and reduced birth outcome (p>0.05). Our data demonstrates that serum level of folate and vitamin $B_{12}$ among pregnant women affects significantly serum homocysteine levels, and the genetic polymorphism of MTHFR mod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owever, we did not have conclusive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high homocysteine level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 such as preterm or low birth weight.

  • PDF

미숙아 합병증 발생과 혈중 활성 산화물 농도와의 관계 (Correlation of serum total hydroperoxide levels and diseases of prematurity)

  • 김신혜;허혜영;이규형;문자영;채규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46-752
    • /
    • 2007
  • 목 적 :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뇌실주변부 백질연화증, 뇌실내 출혈,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이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및 조직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활성 산소와 세포 내 분자들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숙아와 정상 만삭아의 혈중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비교하고, 활성 산화물의 농도와 미숙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 사이에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36주 이하의 미숙아 39명과 37주 이상의 정상 만삭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만삭아군에서 출생일 혈청 total hydroperoxide(TH)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숙아군에서는 출생일과 생후 7일 째 혈청 TH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삭아군과 미숙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하였고, 미숙아군의 분만력 상의 특징, 혈액검사 소견, 뇌 초음파 및 뇌 자기 공명영상 소견, 임상경과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미숙아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합병증이 없었던 군으로 나누어 출생일과 생후 7일째 혈청 TH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미숙아군과 만삭아군의 출생일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숙아군은 평균 $186{\pm}42U.carr/L$, 만삭아군은 $157{\pm}36U.carr/L$로 미숙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미숙아군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의 출생일과 생후 7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출생일에는 합병증군 $211{\pm}37U.carr/L$, 비합병증군 $168{\pm}36U.carr/L$로 합병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생후 7일에는 합병증군 $205{\pm}64U.carr/L$, 비합병증군 $188{\pm}32U.carr/L$로 합병증군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과 정상 만삭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 발생의 위험 인자인 재태주령, 5분 Apgar 점수, 동맥혈 가스검사의 pH, 출생일 TH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재태주령(Odds ratio 0.586, 95% CI 0.370-0.927, P=0.022)과 TH 농도 (Odds ratio 1.046, 95% CI 1.010-1.085, P=0.013)가 독립적으로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였다. 결 론 : 합병증이 발생한 미숙아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나 만삭아에 비해 출생일 혈청 TH의 농도가 높으며, 미숙아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는 미숙아 합병증 발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