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ynaptic muscarinic autoreceptor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09초

가토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Oxotremorine 및 Forskolin의 영향 (Interaction of Forskolin with the Effect of Oxotremorine on $[^3H]-Acetylcholine$ Release in Rabbit Hippocampus)

  • 최봉규;김종순;윤영복;국영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9-97
    • /
    • 1991
  • 가토 해마(hippocampus)에서 acetylcholine(ACh) 유리에 미치는 cAMP의 역할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하여 $[^3H]-choline$으로 평형시킨 해마 slice 및 시냅토솜(synaptosome)을 사용하여 $[^3H]-ACh$ 유리에 미치는 여러가지 약물들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Adenylate cyclase 활성화제인 forskolin$(0.1{\sim}30{\mu}M)$은 전기 및 고농도 $K^+$ 자극에 의한 $[^3H]-ACh$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dbcAMP 또한 ACh 유리를 강화시켰다. Muscarine성 흥분제인 oxotremorine$(0.1{\sim}30{\mu}M)$은 전기 및 $K^+$ 자극에 의한 $[^3H]-ACh$ 유리 효과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forskolin 및 atropine에 의하여 차단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K^+-channel$ 억제제인 glibenclamide$(1,\;10{\mu}M)$는 자체로는 $K^+$ 자극에 의한 $[^3H]-ACh$ 유리를 약간 억제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량의 forskolin$(10\;{\mu}M)$에 의한 $[^3H]-ACh$의 증가효과를 감약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가토 해마의 presynaptic muscarinic autoreceptor를 통한 ACh 유리의 조절에는 세포내 cAMP의 관여가 확실하다 하겠으나, 일부 $K^+-currents$의 관여를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