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ure Vessels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37초

Pathogenesis and Prevention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 Pei-Chen Tsa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228-238
    • /
    • 2023
  •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is a serious concern for preterm infants and can predispose such infants to brain injury and poor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VH is particularly common in preterm infants. Although advances in obstetric management and neonatal care have led to a lower mortality rate for preterm infants with IVH, the IVH-related morbidity rate in this population remains high. Therefore, the present review investigated the pathophysiology of IVH and the evidence related to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The analysis of the pathophysiology of IVH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erebral hemodynamics, vulnerabilities in the structure of cerebral vessels, and host or genetic predisposing factors. The finding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indicate that fluctuations in cerebral blood flow, the presence of hemodynamic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arterial carbon dioxide tension, and impaired cerebral venous drainage; a vulnerable or fragile capillary network; and a genetic variant associated with a mechanism underlying IVH development may lead to preterm infants developing IVH. Therefore, strategies focused on antenatal management, such as routine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and magnesium sulfate use; perinatal management, such as maternal transfer to a specialized center; and postnatal manage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gent administration and circulatory management involving prevention of extreme blood pressure, hemodynamic significant patent ductus arteriosus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cardiac function, can lower the likelihood of IVH development in preterm infants. Incorporating neuroprotective care bundles into routine care for such infants may also reduce the likelihood of IVH development. The findings regarding the pathogenesis of IVH further indicate that cerebrovascular status and systemic hemodynamic changes must be analyzed and monitored in preterm infants and that individualized management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of the risk factors for and physiological status of each preterm infant.

연골피막편 이식후 기관 결손부위의 재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제 1 보) (Tracheal Reconstruction with Perichondrial Graft -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

  • 이원상;서장수;이성은;홍원표;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3-11
    • /
    • 1982
  • 근래에 기도 협착의 발생빈도는 수술요법의 괄목할만한 진전과 Low pressure cuff가 개발된 후 현저히 감소하고 있으나 호흡부전으로 Ventilator를 사용하는 경우와 심한 상기도 감염이나 손상이 있을 때 또는 장기간 삽관을 함으로서 발생하는 기관 협착증은 아직도 이비인후과 영역에 있어서 난제라고 하겠다. 이러한 기도 협착증의 치료로는 기계적으로 확장을 하거나 협착 부위를 수술적으로 제거하고 조직을 이식하는 여러 방법들이 있어서 그적응증에 따라 각각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때가 많은 실정이다. 1959년 Lester가 우연히 늑골의 잔존 연골피막으로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 것을 발견한 이후 Skoog(1972), Sohn(1974), Ohlsen(1975)등은 동물 실험을 통하여 연골 피막으로 부터의 연골 재생에 관하여 다각적인 보고를 하였다. 임상적으로 이개, 비중격, 늑골 및 피부편등 여러 가지 다양한 조직들이 기관의 결손 또는 협착 부위의 재생에 사용되어 왔으나 기관의 정상적인 지지 조직의 연골이며 또한 연골피막이 연골의 재생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기관의 재건에 연골피막의 사용가능성을 알아 보고저 다음의 실험을 하였다, 가토의 이개연골에서 연골피막을 취한후 인위적으로 만든 가토의 기관 결손부위에 이식한 다음 2주부터 8주경과 할때 까지의 재생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론) 1) 기관결손 부위의 재생은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에 섬유질 및 혈관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식군에서는 비후된 연골피막과 섬유질로 구성되었다. 2) 점막의 재생은 대조군과 이식한군 모두에서 2주경과 표본부터 정상점막으로 완전히 재생 되었다. 3) 이식 부위의 변화를 보면 2주-모세혈관의 확장과 염증반응을 동반하며 섬유조직의 증식시작이 관찰되었다. 4주-점차 모세혈관의 확장이 감소하며 염증반응의 감소가 있으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의 증식이 있고 1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미숙연골 세포군이 존재. 6주-경도의 모세혈관의 확장과 만성염증반응이 존재하며 점막하층의 섬유조직화가 존재하였으며 2개의 표본에서 연골피막내에 연골 세포군 및 골화현상이 존재하였다. 8주-경미한 모세혈관의 확장이 존재하였으나 염증반응은 소실되었고 점막하층에 심한 섬유화를 동반하였다. 표본 2개에서 연골 피막내에 연골 세포군의 존재가 관찰되었다. 4 ) 이식방법을 달리한 경우에도 연골 및 점막의 재생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연골피막 이식부위에서 미숙연골 세포군과 endo-chondrial ossification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결손부위의 섬유화만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연골피막은 기관결손부위의 재진에 적합한 조직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40 례의 표본중 5례의 표본에서만 연골의 세포군을 관찰할 수 있어 이로 미루어 볼때 연골피막으로 부터 신생 연골이 재생된다 확인하기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추시가 요망된다 하겠다.

  • PDF

생체장기용 지지체 제작을 위한 박동형 탈세포화 장치의 박동성 평가 (Pulsatility Estimation of a Pulsatile Decellularizing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Organ Scaffold)

  • 김동선;양세란;박성민;최성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2-73
    • /
    • 2017
  • To identify a solution for the restricted availability of healthy lungs and the high risk of immune rejections following organ transplantation, tissue engineering techniques for culturing lungs have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 groups. The most promising method for culturing lungs is the utilization of a bio-scaffold that was prepared using harvested organs from human donors or other animals by removing their original cells. In this study, a pulsatile perfusion pump was used to alleviate the cell removal effect with the high fluid-dynamic power of the perfusion stream during the decellularization process, while other conventional studies focused on chemical methods to identify efficient deterg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veloped device by using energy equivalent pressure (EEP), which is an indicator of pulsatil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ulsatile energ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load size by using the artificial model and compare it with the measured EEP. The pulsatility of the device can be estimated with the concept of fluid-dynamic energy during a particular constant time period or fluid-dynamic power represented as EEP and EEP increment. Because the measured EEP of perfusion flow during decellularization can be changed by the amount of fluid leakage and the degree of clogging in the capillary vessels, EEP should b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cellularization is progressing without problems. The decrement of EEP caused by the high perfusion resistance was observed from some experimental results that were obtained with artificial models. EEP can be used to monitor the decellularization process after analyzing the varying EEP according to the amount of load. It was confirmed that the EEP was maintained at a high level in the experiment using the harvested lungs from 12-13-week-old ra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removal time was faster than when continuous perfusion was performed. In this study, pulsatile power delivered to the lungs was measured to monitor the process of cell removal, and it serve as the evidence for efficient decellularization.

누출종류에 따른 LP가스용기 누출량 실증 실험 (LPG Cylinder Leak Experiment from Multiple Leak Scenarios)

  • 이민경;이강옥;김영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1-66
    • /
    • 2019
  • 액화석유가스는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도시가스와 달리 용기 또는 소형저장탱크와 같이 독립된 저장방식이 사용되며 이러한 사용특성에 의해 사고 발생률이 높다. LP가스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주택 및 업소는 인구밀집도가 높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액화석유가스는 타 가스에 비해 인명피해율이 높아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에 따라 1996년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는 LP가스 누출시험을 진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1996년 실험을 바탕으로 외기온도, 배관 상태 등의 추가 조건을 설정하여 LP가스 용기의 가스 누출량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LP가스 누출의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누출경향을 확인하였다. 가스누출에 있어서 조정기 등 감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용품이 연결되지 않은 누출의 경우 외기 온도에 의해 누출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조정기와 같은 용품이 체결될 경우 출구압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LP가스 누출 사고에 대한 누출량 판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가스안전관리 방안에 효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튜닝댐퍼를 갖는 초대형 저속 2행정 디젤엔진의 비틀림진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rsional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uper Large Two Stroke Low Speed Diesel Engines with Tuning Damper)

  • 이돈출;로날드디.바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4-75
    • /
    • 2009
  • 최근 조선소에서 고출력 디젤엔진의 요구에 의해서 초대형 저속 2행정 디젤엔진이 개발되었으며, 연속최대출력이 $8{\sim}14$실린더를 갖는 10만 마력 이상의 엔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엔진들은 열효율, 운전에 대한 신뢰성, 강인성 및 기동성은 뛰어나지만 크랭크축을 포함한 추진축계에서 높은 비틀림진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엔진설계자의 입장에서 비틀림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튜닝 비틀림진동 댐퍼를 갖는 추진축계의 비틀림진동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실험모델인 12K98MC엔진과 12RT-flex엔진에서 튜닝댐퍼의 성능과 동적거동을 확인하고 있다.

뇌졸중 치료제인 한약의 효과 (The Effects of Herb Extracts in Cerebrovascular Accidental Patient)

  • 이미화;박형숙;최원철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1-153
    • /
    • 2000
  • The several Chinese herbs such as Soon-Ki-Hwal-Hyul-Tang, Bo-Yang-Hwan-O-Tang, Seong-Hyang-Jeong-Ki-San, So-Hap-Hyang-Won and O-Yak-Soon-Ki-San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then lyophilized. For identification of the effect of extracted herbs, they were medicated to 103 patient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for 4 week. They were hospitalized in D-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April to August in 1999. The herbs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lyophilized and then, used as samples. The medical history of each patient was detected and analyzed from their medical rec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ach sample (Soon-Ki-Hwal-Hyul-Tang, Bo-Yang-Hwan-O-Tang, Seong-Hyang-Jeong-Ki-San, and O-Yak-Soon-Ki-Sa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ystolic blood pressure(t=4.22, P=0.0004; t=3.44, P=0.0028; t=2.11, P=0.0463; t=3.23, P=0.0052).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by medicated with Soon-Ki-Hwal-Hyal-Tang, Seong-Hyang-Jeong-Ki-San, and O-Yak-Soon-ki-San (t=2.13, P=0.0459; t=2.68, P=0.0136; t=3.12, P=0.0066). 2)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rm/leg-ROM showed by medicated with Soon-Ki-Hwal-Hyul-Tang, Bo-Yang-Hwan-O Tang, So-Hap-Hyang-Won(t=4.74/4.95, P=0.0002/0.0001; t=2.25/2.44, P=0.0368/0.0248; t=5.85/6.76, P=0.0001/0.0001). 3) In the verbal disorder, Soon-Ki-Hwal-Hyul-Tang, Bo-Yang-Hwan-O-Ta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t=4.50, P=0.0002; t=3.32, P=0.0036). 4) In the conscious disorder, Soon-Ki-Hwal-Hyul-Tang, Bo-Yang-Hwan-O-Tang, Seong-Hyang-Jeong-Ki-San, and So-Hap-Hyang-W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t=6.32, P =0.0001; t=8.32, P=0.0001; t=3.74, P=0.0012; t=5.14, P=0.0001). 5)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 (BAEC) were cultured in DMEM treating 0.01mg/ml, and 0.1mg/ml of each lyophilized samples for 24 hours. In BAECs were treated by 5 kinds of samples, the effect of So-Hyap-Hyang-Won induced syncytium of adjacent endothelial cells. It may induce the recovering of the damaged blood vessels in cerebrovascular accidental patient by angiogensis of endothelial cells.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medication of So-Hap-Hyang-Won will help to nursing care for cerebrovascular accidental patients.

  • PDF

CFD에 의한 어선 선체 부가물의 저항성능 평가 (Assessment of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Hull Appendages Attached to Fishing Vessels Using CFD)

  • 박동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7-274
    • /
    • 2018
  • 연 근해어선들은 운항 또는 조업시 안정성(복원성능 및 횡동요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부가물을 설치하며, 일반적으로 Fig. 1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Bare hull을 포함하여 각 부가물이 단독으로 부착된 경우 3가지, 복수의 조합으로 부착된 경우 3가지 그리고 3가지 모두 부착된 1가지에 대하여 수치 계산을 수행하였다. Table 1은 Bare hull에 대한 주요치수를 나타낸 것이고, Table 2는 3가지 부가물에 대한 주요치수를 기술하였다. 3가지 선체 부가물에 대하여 CFD에 의한 유체동역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부가물에 대하여 단독, 2개씩 조합된 복수 그리고 3개 모두 부착된 경우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1번 부가물의 경우 압력저항이 마찰저항보다 차지하는 비율이 큼을 알 수 있었다. 2번과 3번 부가물의 경우 압력저항과 마찰저항이 거의 대동소이 함을 알 수 있었다. 복수조합과 3가지 모두 부착된 경우 부가물 상호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작음을 알 수 있었다. 11노트에서 2번 부가물과 모든 부가물이 부착된 경우 유효마력 관점에서 약 9 % 차이를 보였다.

췌장지방증에서 대사성질환의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isk Factor of Metabolic Diseases in Pancreatic Steatosis)

  • 조진영;예수영;김동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81-88
    • /
    • 2016
  • 인체의 지방조직이 증가하여 비만해지면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대사성질환과 이상지질혈증 등의 위험인자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사성질환에는 심혈관 및 뇌혈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있고, 췌장의 지방조직 증가는 이러한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췌장암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췌장지방증에 관한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검사의 결과로 진단된 췌장지방군과 정상대조군으로 나누어 신체 특성과 혈청학적 검사와 혈압 및 동맥경화도검사를 평가하였다. 정상대조군과 췌장지방군 사이에서 연령이나 허리둘레, 체질량 지수,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대동맥 맥파전파속도는 췌장지방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족관절상완협착비와 HDL-콜레스테롤은 낮을수록 혈관에 유해하므로 췌장지방군이 정상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 < 0.05). 정상대조군과 췌장지방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췌장지방증은 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성이 있었다.

경량 부유체의 운동 저감으로 안정성 증가방법에 관한 연구 (Method for Increasing Stability by Reducing the Motion of a Lightweight Floating Body)

  • 김선태;고재용;한유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6
    • /
    • 2023
  • 해양레저활동 인구증가 및 관련 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해 레저 선박을 접안하는 계류시설과 부유체를 기반으로 하는 해상부유식 펜션 등 레저시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안에서 사용되는 부유체는 대부분 경량 부유체로서 중량이 상대적으로 경량이므로 연안으로 유입되는 파(Wave)와 상재 하중에 의해 쉽게 경사가 발생하여 안정성이 낮아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부유체의 운동저감장치를 연구하여 알리고자 한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부유체에 운동저감장치(기압차를 이용한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하여 운동저감효과를 부착하지 않은 부유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분석은 전산해석시험으로 분석하여 부유체의 안정성 증가방법을 연구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시험결과 분석결과 기압차를 이용한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한 부유체가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부유체보다 파랑에 대한 운동량이 저감되어 부유체의 안정성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부유체의 운동저감 장치는 무동력 선박뿐만 아니라 동력선, 반잠수식 선박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체위변화가 두부 및 하지의 분시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Minute Blood Flow in the Large Vessels during Orthostasis and Antiorthostasis, before and after Atropine Administration)

  • 박원균;채의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9권2호
    • /
    • pp.139-153
    • /
    • 1985
  • 기립 및 도립의 체위면화가 두부 및 하지의 혈액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tropine의 정주에 의한 부교감신경의 차단이 체위변화에 대한 심맥관계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지를 보기위하여 개를 경사대에 수평위로 고정하여 수동적으로 기립 및 도립위로 체위를 변화시키고, 각 체위에서 10분간 유지시켜 경동맥, 외경정맥, 고동맥 및 고정맥의 분시 혈류량, 분시 심박수 및 분시 호흡수, 그리고 혈액의 pH, $PCO_2$, $PO_2$ 및 Hct를 측정하였다. 다시 수평위에서 atropine 0.5mg을 1회 정주한 후 위의 실험과정을 반복하여 시행하고 atropine투여전과 비교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립시 두부 및 하지 동정맥혈의 분시 혈류량은 감소하였고, 특히 두부로 가는 혈류량의 감소가 더 컸으나, atropine의 투여는 경동맥의 분시 혈류량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도립시 두부 및 하지의 분시 혈류량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개체에 따라 변화양상도 다르게 나타났다. atropine의 투여는 투여전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시 심박수는 기립 및 도립시 모두 증가하였다. atropine의 투여는 수평위에서 분시 심박수는 투여전 보다 증가하나, 체위변화에 의한 분시 심박수의 증가를 경감시켰다. 분시 호흡수는 개체에 따라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립시는 감소하고 도립시는 증가하였다. atropine의 투여는 기립 및 도립시 다 같이 분시 호흡수의 변화를 억제하였다. 혈액소견은 기립시 정맥철의 pH 및 $PO_2$는 감소하였고, $PCO_2$는 증가하나 동맥혈의 $PCO_2$는 감소하였다. 도립시 동정맥혈의 소견은 수평위에 비해 별 변화가 없었으며 , atropine의 투여후도 기립 및 도립시 모두에서 투여전에 비하러 유의한 변하는 없었다. Hct는 기립 및 도립시 증가하였으며 atropine투여에 의한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atropine의 투여는 기립시 두부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기립 및 도립시 발생할 수 있는 분시 심박수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함으로서 체위변화에 대한 심맥관계의 내성을 증가시키는데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