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acral spa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Germinal Centers in Presacral Space: MRI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 Hwang, Sung Tae;Sung, Deuk Jae;Sim, Ki Choon;Han, Na Yeon;Park, Beom Jin;Kim, Min Ju;Lee, Jeong Hye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1권1호
    • /
    • pp.56-60
    • /
    • 2017
  •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germinal centers (PTGC) is an atypical feature seen in lymph nodes with unknown pathogenesis. PTGC most commonly presents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males as solitary painless lymphadenopathy with various durations. Cervical nodes are the most commonly involved ones while involvements of axillary and inguinal nodes are less frequent. PTGC develops extremely rarely in other locations. We report a rare case of solitary mass present in the presacral space. The mass as subsequently proven to be PTGC.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PTGC in the presacral space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천골부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 증 례 보 고 -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Sacral Bone - A Case Report -)

  • 오경섭;하성일;이현성;이종수;곽승수;윤석훈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4호
    • /
    • pp.509-513
    • /
    • 2001
  • Sacral schwannoma is a rare lesion with a tendency to reach large proportions. The benign schwannoma rarely involves the vertebral bodies extensively.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giant intrasacral schwannoma in 30-year-old woman who had intermittent lower back pain during 3 years period. CT and MRI showed a destructive mass lesion within the upper part of sacrum with a large mass extending into the presacral space. The patient underwent combined surgery consisted of anterior transabdominal approach and posterior sacral laminectomy and total removal of tum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 were discuss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PDF

전천추 부위에 생긴 후복강 기관지 낭종: 증례 보고 (Retroperitoneal Bronchogenic Cyst Located in the Presacral Space: A Case Report)

  • 김아연;민선정;김현철;최정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07-211
    • /
    • 2021
  • 기관지 낭종은 기관이나 기관지를 따라 종격동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드문 선천성 기형이며, 특히 뒤쪽 상부 종격동에 생긴다. 기관지 낭종은 다른 위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폐, 복강, 그리고 후복강에서 위치가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전천추부 공간에 생긴 후복강 기관지 낭종의 증례를 보고한다. 환자는 수술 후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최종적으로 진단되었다.

Robotic extralevator excision of a retrorectal giant aggressive angiomyxoma

  • Kelley, Scott R.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
    • 제61권6호
    • /
    • pp.693-697
    • /
    • 2018
  • Aggressive angiomyxoma (AA) is a very rare mesenchymal tumor most commonly found in the pelvic and perineal regions. For the complete excision of retrorectal tumors, with extension through the levator muscle into the ischioanal space, open anterior and posterior approaches are typically required. Herein,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robotic excision of a giant presacral AA with extralevator extension into the ischioanal space and extraction via Pfannenstiel incision, which we found to be technically feasible, efficacious, and safe to perform. Mayo Clinic Institutional Review Board exemption status was obtained for this study.

콩팥 주위와 방광 주위에서 발생한 커다란 원장미부 낭종의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Large Tailgut Cyst Located from the Perirenal to the Perivesical Spaces)

  • 오지수;최진솔;유설봉;강동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68-172
    • /
    • 2022
  • 원장미부 낭종은 태생기 원장미부의 잔유물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직장 후부 및 천골 전부에서 발생하는데, 좌측 콩팥 주위에서 발생한 증례가 매우 드물게 있었다. 이 증례는 우측 콩팥 주위에서 방광 주위까지 발생한 원장미부 낭종이다. 우리는 이 증례 보고가 콩팥 주위와 방광 주위에서 발생한 원장미부 낭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New Insights into Autonomic Nerve Preservation in High Ligation of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in Laparoscopic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 Yang, Xiao-Fei;Li, Guo-Xin;Luo, Guang-Heng;Zhong, Shi-Zhen;Ding, Zi-Ha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533-2539
    • /
    • 2014
  • Aim: To take a deep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t of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IMA) and the autonomic nerve plexuses around it by cadaveric anatomy and explore anatomical evidence of autonomic nerve preservation in high ligation of the IMA in laparoscopic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Methods: Anatomical dissection was performed on 11 formalin-fixed cadavers and 12 fresh cadavers. Anatomical evidence-based autonomic nerve preservation in high ligation of the IMA was performed in 22 laparoscopic curative resections of colorectal cancer. Results: As the upward continuation of the presacral nerves, the bilateral trunks of SHP had close but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the root of the IMA. The right trunk of SHP ran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root of IMA. When the apical lymph nodes were dissected close to the root of the IMA along the fascia space in front of the anterior renal fascia, the right trunk of SHP could be kept in suit under the anterior renal fascia. The left descending branches to SHP constituted a natural and constant anatomical landmark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t of IMA and the left autonomic nerves. Proximal to this, the left autonomic nerves surrounded the root of the IMA. Distally, the left trunk of the SHP departed from the root of IMA under the anterior renal fascia. When high ligation of the IMA was performed distal to it, the left trunk of SHP could be preserved.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descending branches to SHP and the origin of IMA varied widely from 1.3 cm to 2.3 cm. Conclusions: The divergences of the bilateral autonomic nerve preservation around the root of the IMA may contribute to provide anatomical evidence for more precise evaluation of the optimal position of high ligation of the IMA in the future.

Perirectal Cystic Lesions - Comprehensive CT and MRI Findings

  • Kim, Ji Hoon;Lee, Jong Seok;Kim, Ah Young;Park, Seong Ho;Kim, Hyun Jin;Jang, Jong Ke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4호
    • /
    • pp.283-295
    • /
    • 2019
  • Perirectal cystic lesions are rare entities, for which only a relatively few research publications are available. These lesions are heterogeneous in nature and can range from benign lesions to malignant lesions; thus, they are sometimes difficult to differentiate. Some studies have reported on retrorectal or presacral cystic lesions, but to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ports on perirectal cystic lesions. Cystic lesions arise from the retrorectal space as well as the rectal lumen or adjacent organ, and they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tomic location. Thus, we comprehensively studied diseases with a cystic component around the rectum, which are perirectal cystic lesions. A clinical challenge with perirectal cystic lesions is that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distinguish malignant lesions from benign lesions and is thu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tent for surgical excision. We thus attempted to identify benign and malignant imaging features of perirectal cystic lesions.

Patterns of Care 연구 개발을 위한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적정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제안 (Suggestion of Optimal Radiation Fields in Rectal Cancer Patients after Surgical Res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s of Care Study)

  • 김종훈;박진홍;김대용;김우철;성진실;안용찬;유미령;전미선;홍성언;오도훈;김일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183-191
    • /
    • 2003
  • 목적: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이 시행하고 있는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결정 원칙들을 취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표준적인 조사영역을 제시하고 향후 Patterns of Care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로 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인지역 소재 18개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이 모인 합의도출 위원회에서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결정 원칙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항목들을 이용하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48개 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전문의 별 치료원칙의 파악에 사용된 설문 항목들은 모의치료 시 조사영역 결정 19개 항목으로서 전후방 치료 시의 상연, 하연 및 측연과 측면 치료 시 전연, 후연 및 차폐물의 적용 범위 등을 묻는 내용이었고, 45개 병원 중 33개 병원의 전문의들로부터 회신된 내용과 해부학적, 임상적 결과들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권장할 만한 적절한 방사선조사영역을 도출하였다. 결과: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결정에 있어 권고할 만한 일반적인 원칙으로 다음의 사항들을 개발하였다. 상연은 제5요추 하단이나 중간부위, 또는 천장골관절 상단, 하연은 전하방 절제수술 시에는 문합부로부터 일정거리 하방, 복회음부 절제수술 시는 회음부 봉합부로부터 일정거리 하방, 전후방 치료 시의 측연은 골반강 내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외측, 측면 치료 시의 전연은 치골결합부 후단, 그리고 후연은 천골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후방으로 정하여 천골 전면부의 공간을 충분히 포함시키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고안과 비교할 때, 상연의 경우 23건($70\%$), 하연의 경우 전하방절제수술 시 13건($39\%$), 복회음부 절제수술시 32건($97\%$), 측연의 경우 32건($97\%$), 후연의 경우 32건($97\%$), 그리고 전연의 경우 16건($45\%$)에서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적절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을 위하여 표준적인 조사영역을 제시 하였으나 개별 환자의 병변 위치와 진행상태, 수술 소견 등에 따라 적절한 변형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 권고안의 임상적 타당성은 향후 시행될 Patterns of Care 연구를 통하여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 구제 치료 결과 (Salvage Treatment for Locally Recurrent Rectal Cancer)

  • 노재명;안용찬;윤상민;허승재;임도훈;전호경;이우용;윤성현;강원기;박영석;박준오;박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03-109
    • /
    • 2006
  • 목적: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에 대한 구제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 및 치료성적을 알아보고,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으로 삼성서울병원에서 구제 치료로 방사선 치료 단독 혹은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이 병행된 4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연령은 29-72세(중앙값 59세)였고, 남녀 각각 28명(52%), 17명(38%)이었다. 최초 치료 후 무병생존기간은 3-73개월(중앙값 16 개월)이었고, 재발부위는 천골 전방 및 직장 주위 25명(56%), 문합 부위 15명(33%), 회음부 3명(7%), 골반벽 2명(4%)이었다. 구제치료로 수술이 시행된 18명(40%)의 환자 중, 14명은 수술 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행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4명은 방사선 치료만을 받았다. 수술을 받지 않은 27명(60%)의 환자 중, 16명은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였고, 11명은 방사선치료만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37.5-64.8 Gy (중앙값 51 Gy)를 시행하였으며, 1회 조사선량은 1.8-3Gy였다. 이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13명의 환자는 37.5-60Gy (중앙값 50 Gy), 방사선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32명의 환자는 44-64.8Gy (중앙값 51 Gy)를 시행하였다. 결과: 추적관찰기간은 구제 치료의 시작시점으로부터 2-104개월(중앙값 31개월)이었다. 5년 국소제어율과 전체생존율은 각각 49.5%와 34.3%였다. 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국소제어율이 77.0%로 나타났으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행 치료 환자에서는 35.0%, 방사선 단독 치료 환자에서는 0%였다(p=0.0009). 5년 전체생존율은 수술 받은 환자에서 52.1%,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행 치료 환자에서 37.9%, 방사선 단독 치료 환자에서 0%로 나타났다 (p=0.0016). 최초 치료 후 재발까지 기간이 24개월 미만과 이후임에 따라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57.5% 및 39.5%였으며(p=0.0482), 5년 전체생존율은 59.1% 및 24.9%였다(p=0.0584).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중 이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적이 있는 12명과 나머지 15명의 국소제어율과 전체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214, 0.7505). 결론: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의 구제 치료시 가능한 한 구제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겠고, 방사선치료 단독보다는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