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ed adult heigh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3초

부모의 신장과 TW3법에 의한 예측 신장 (AHP TW3)의 상관성 연구 (The Study on Correlationship between Parent's Height and Adult Height Prediction according to TW3 Method)

  • 강기연;한재경;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6-54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heights and predicted height of the children who had been treated in the growth clinic of oriental medical hospital.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53 children who visited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July 2010 to June 2012. They were analyzed by reviewing the children's chart and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eights. Results In distribution of the sex and the age, sex were similar, but boys who came to the clinic were averagely younger than the girls. In predicting adult height by TW3 method and mean parent's height, correlation in the girls was higher than the boys, especially the girls after their first menstruation. Parents' heights were related to both the boys and the girls, but mother's height was more closely related. Predicted heights of the boys befo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were correlated with the child's height, but rather correlated with parent's both heights after secondary sexual character and found to be more relevant to father's height. The girls' predicted heights before their menstruation were not correlated with father's height, but with mother's. Their heights after their first periods were correlated with parents' both heights, but more correlated with father's height. Conclusions This study helps set proper periods and goals of growth treatment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height and predicted adult height according to TW3 method.

수완부골의 X-ray 영상 및 종골의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한 골연령을 통한 소아성장에 관한 임상연구 (A Clinical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Based on Their Bone Age Measured by Hand's X-ray Image and Calcaneus's Ultrasonic Image)

  • 윤혜진;서정민;강미선;백정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5-17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better data and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about children's growth based on two methods; X-ray of hand, and ultrasound of calcaneus. Methods : The study was composed of 100 patients(50 of boys and 50 of girls) who visited in department of pediatrics, O O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considering growth and their development. Bone age was measured by the TW3 method's RUS score in simple X-ray image of hand and bone density through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To predict children's estimated height, their parent's height, bone age, and present height's percentile was measured.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bone age results from X-ray image of hand and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were correlated. Younger children have older bone age from hand's X-ray than the one from calcaneus's ultrasound. Older children have older bone age from calcaneus's ultrasound than one from hand's X-ray. 2. Predicted adult height by bone age(BH) of hand's X-ray and BH of calcaneus's ultrasound were correlated, but predicted adult height by inheritance(IH) was not correlated with others. 3. Bone age and predicted adult height were correlated with age, height, weight, BMI, and especially with age and height. 4. Measuring bone age by X-ray image of hand and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was simple and effective way of estimati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 PDF

정상 소아, 성조숙증 및 체질성 성장지연 소아에서 Bayley-Pinneau방법과 Tanner-Whitehouse 3방법에 의한 예측성인신장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dult heights measured by Bayley-Pinneau and Tanner-Whitehouse 3 methods in normal children, those with precocious puberty and with constitutional growth delay)

  • 오연정;유병근;신정연;이기형;;이광철;손창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51-355
    • /
    • 2009
  • 목 적 : 정상 소아,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소아를 대상으로 GP방법과 TW3방법에 의한 골연령을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방법과 RUS 점수를 이용한 TW3방법의 예측 성인키를 구하여 상황에 따라 두 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질환이나 약 복용력이 없고 병적인 저신장을 제외한 정상소아와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 그리고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정상 소아는 85명,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 30명,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 30명이었으며 왼쪽 손과 손목 사진을 찍어 GP와 TW3방법으로 골연령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이를 이용하여 BP법과 TW3 (RUS score)법을 이용하여 예측 성인키를 구하고 두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GP방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골연령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녀 모두 두 값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 조숙증 여아의 경우 두 값의 차이는 없었으나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는 두 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P법과 TW3방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의 경우 정상소아에서 남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GP방법에 의한 예측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156.4{\pm}4.7$ cm vs $158.9{\pm}3.8$ cm, P<0.01). 성조숙증 여아의 경우 BP법과 TW3법을 이용한 예측 성인키는 TW3법에 의한 예측키가 BP법을 이용한 예측키보다 크게 나타났다($156.3{\pm}4.0$ cm vs $159.3{\pm}4.2$ cm, P<0.01). 체질성 성장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를 이용한 예측키는 BP법에 의한 것이 더 크게 나타났다($173.3{\pm}4.4$ cm vs $169.7{\pm}3.2$ cm, P<0.01). 결 론 : 정상 여아, 성조숙증 여아, 체질성 성장 지연 남아에서 BP법과 TW3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조숙증, 체질성 성장 지연 같은 특수 상황의 경우 BP법으로 구한 예측 성인키가 예후 판정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 성인키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환경적 요인 분석에 대한 예비 연구 (A Pilot Study for Analysi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Final Adult Height)

  • 최민형;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7-69
    • /
    • 2011
  • Objective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estimate which and how muc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have affected on growth. Also, a method of final height prediction can be developed from this study results.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and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ed with the final adult height, through survey from 171 male. Results: Mid parental height, neonatal body weight, intake frequency of beef, chicken, milk, fruits and coffee, sleep quantity and quality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and sleep quantity during the middle school have affected on the final adult height. And a regression equation with 0.494 fo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obtained. Conclusions: Mid-parental-height has the most affected on the final adult height. Among environmental factors, food and sleep have significantly affected, but exercise doesn't. Among foods, meal, beef, and milk intake have remarkably affected on the final height, and chicken and fruit also have affected in some degree, but coffee has affected badly. Among sleep habits, sleep quantity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has the most affected, sleep quality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and sleep quantity during the middle school also have affected in some degree on final height. The younger the age is, the more sleep have affected and sleep quantity have more affected than sleep quality. Neonatal weight also has remarkably affected on the final height. Through this analysis, the final adult height can be predicted us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covers 49.4%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성장클리닉에 내원한 소아의 골연령과 체성분 및 신체 계측치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 이유진;윤혜진;곽민아;백정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57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on children's growth. Methods : 157 of children in age of 3 years to 16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88 of boys and 69 of girls). They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O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and were measured their body composition and bone age. Results : 1. An age and bone age,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also a bone age and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positively correlated. 2. The level of soft lean mass, body fat mass, and MPH were increased in boys in higher height percentile. Children's predicted adult height was higher in children in higher height percentile. 3. The level of body fat mass was increased as weight percentile increased. Bone age, MPH was increased as weight percentile increased, especially in case of boys. In girl's case, the level of soft lean mass, their predicted adult height,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bone age and their actual age was increased as weight percentile increased. Conclusions : Measuring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is the effective way to estimate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future.

  • PDF

조기 사춘기 여아에서 단기간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와 성장호르몬 병합투여의 성장촉진 효과 (Growth promoting effect of short-term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 with or without growth hormone in girls with early puberty)

  • 이은주;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198-204
    • /
    • 2007
  • 목 적: 성조숙증에서 관찰된 최근의 연구 결과를 보면 사춘기 발육이 빠른 당시에는 신장이 커보일 수 있으나 결국 최종성인신장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사춘기를 중단시킴으로써 최종 성인신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를 사용하여 골성숙의 기간을 연장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기 사춘기로 인하여 최종성인신장의 예후가 불량한 소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및 성장호르몬의 병합요법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단독 사용 시의 효과와 비교하여 각각의 성장 촉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역연령에 비하여 골연령이 증가되어 있으며 조기 사춘기를 보이는 여아를 대상으로 GnRHa 및 성장호르몬을 단기간 투여하였다. 제 1군은 triptorelin을 단독으로 4주에 한 번씩 근육주사하였고, 제 2군은 성장호르몬을 병합하여 치료하였다. 치료 기간은 약 1년이었으며 치료 시작시와 치료 후의 두 군간의 역연령, 골연령, 역연령과 골연령의 차이, 예측성인신장, 표적키, 표적키와 예측성인신장과의 차이, 혈청 IGF-1 및 IGFBP-3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치료 시작시 두 군 간의 골연령, 표적키, 예측성인신장, 예측성인신장과 표적키의 차이는 없었으나 골연령과 역연령의 차이 및 역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청 IGF-1 및 IGFBP-3값의 차이는 없었고 평균 치료기간은 $1.06{\pm}0.93$년이었다. 치료 후의 골연령과 역연령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료 후의 예측성인신장은 치료전과 비교했을 때 모두 증가하여 단기간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두 군 모두 의미 있는 값을 가지나 특히 성장호르몬을 같이 사용한 2군에서 더욱 큰 차이를 보여 병합요법의 성장촉진효과를 알 수 있었다. 표적키와 예측성인신장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치료전보다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두 군을 비교했을때 역시 2군에서 더욱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혈청 IGF-1과 IGFBP-3는 GnRHa 사용 후에 성장호르몬-IGF 축이 억제되어 1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성장호르몬을 병합한 2군에서는 모두 증가하였고 이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 론: 조기 사춘기로 인하여 역연령에 비해 골연령이 증가함으로써 성인신장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경우에는 단기간의 GnRHa의 사용으로 사춘기의 빠른 진행을 억제하고 골성숙의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예측성인신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성장호르몬 병합요법으로 예측성인신장이 표적키에 도달하는데 있어 GnRHa 만으로 성장호르몬-IGF 축이 억제된 경우보다 성장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단기간 사용 시의 치료효과이므로 최종성인신장의 비교를 위해서는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 받은 여아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단독치료 및 growth hormone의 병합치료 시 예측 성인키의 변화 및 성장 획득의 비교 (The comparison of predicted adult height change and height gain afte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and combined growth hormone treatment in girls with idiopathic central precocious puberty)

  • 서지영;윤인석;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305-311
    • /
    • 2006
  • 목 적 : 성조숙증은 사춘기가 일찍 발생함으로써 최종성인키의 저하가 초래되는 질환으로 사춘기 발현을 억제하여 최종성인키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유도체(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 GnRHa)와 일부환자에서 병합치료로 이용되는 성장호르몬(GH)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2003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특발성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 받고 2년 이상 GnRHa를 투여한 21명과 성장호르몬의 병합치료를 시행한 9명에 대하여 2년간의 성장 속도, 예측성인키(predicted adult height, PAH)를 조사하였으며, GnRHa만 투여받은 15명과 성장호르몬을 병합투여받은 6명에서 최종성인키 차이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은 GnRHa 치료 전 예측성인키가 중간부모키-5 cm(성인여성의 키 1 표준편차)보다 작은 군(PAH_L)과 큰 군(PAH_H), 성장호르몬 병합치료군(GnRHa+GH)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 GnRHa 치료에 따른 PAH의 증가는 PAH_L군에서 첫 1년 동안에 관찰되어, PAH(키 SDS)는 치료 시작 시 $149.7{\pm}6.4cm(-2.1{\pm}1.3)$에서 1년 후에는 $153.5{\pm}6.5cm(-1.4{\pm}1.3)$로 유의하게 증가하고(P=0.004), 2년째에는 $155.8{\pm}8.0cm(-0.9{\pm}1.6)$이었다. 이 시기 동안에 성장속도는 $6.2{\pm}0.7cm$/년이였으며, 골연령 증가(골연령-역연령) 정도는 변화가 없었다. PAH_H군에서는 치료 전 PAH(키 SDS) $160.0{\pm}4.4cm(-0.1{\pm}0.9)$에서 변화가 없어 2년째 $159.5{\pm}6.0cm(-0.2{\pm}1.2)$였다. GnRHa+GH군은 첫 GnRHa 치료시의 PAH는 $149.4{\pm}7.8cm$로 PAH_L군과 비슷하며, 평균 2.3년 동안 GnRHa로 치료받은 후 PAH(키 SDS)는 $154.0{\pm}5. cm(-1.7{\pm}0.9)$로 증가하였으나(P=0.065), GnRHa 투여군들과는 차이가 없었다. 성장호르몬을 병합 투여한 후에 첫 1년 동안 성장속도가 $8.0{\pm}2.8cm/yr$로 치료 전 성장속도 $4.7{\pm}1.2cm/yr$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P=0.013), 결국 1년째 PAH(키 SDS)가 $159.6{\pm}4.4cm(-0.4{\pm}0.6)$로 병합치료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2년째는 증가보다는 유지되는 정도였다. PAH_L군(N=8)의 최종성인키(키 SDS)는 $159.8{\pm}5.2cm(-0.1{\pm}1)$로 치료 전에 비하여 $8.5{\pm}2.2cm$ 커졌으며(P<0.001), PAH_H군(N=7)의 최종성인키(키 SDS)는 $156.5{\pm}5.1cm(-0.8{\pm}1)$로 치료 전 예측성인키(SDS) $158.6{\pm}3.8cm(-0.4{\pm}0.8)$, 중간부모키 $157.9{\pm}5.1cm(-0.4{\pm}0.9)$와 차이가 없었다. GnRHa+GH군(N=6)의 최종성인키(키 SDS)는 $158.7{\pm}3.7cm(-0.3{\pm}0.7)$로 GnRHa 치료 전 및 성장호르몬 병합치료 전 예측성인키(키 SDS)에 비하여 각각 평균 11.8 cm, 6.2 cm 증가하였으며(P<0.05), 중간부모키와 비슷하였다. 결 론 : GnRHa 투여의 효과는 첫 1년째에 중간부모키에 비하여 치료 전 예측성인키가 작은 환자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GnRHa 투여 중 성장속도가 저하되면서 예측성인키와 중간부모 키가 작은 환자에서 성장호르몬을 병합 투여하면 중간부모키와 비슷한 최종성인키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의 휴식대사량 측정 및 예측값의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nd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 박지숙;임정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24-43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dictions and measurements of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of overweight and obese adult women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65 overweight or obese adult women ranging in age from 20~60 with a recorded body mass index (BMI) of 23 or higher. Their height, weight, waist-hip ratio,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The investigator also measured their body fat,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composition of total weight without fat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nd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by indirect calorimetry.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s were compared with predictions from six methods: Harris-Benedict, Mifflin, Owen, WHO-WH, Henry-WH, and KDRI. Results: Harris-Benedict predictions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s from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at an accurate prediction rate of 70%. The study analyzed regression between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body measurements including height, weight and age. The formula proposed by this research is as follows: Proposed REE equation for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 $721-(1.5{\times}age)+(0.4{\times}height)+(9.9{\times}weight)$.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e is a significant variable when predicting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Therefore, prediction of resting energy expenditure should consider age when determining energy requirement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조기사춘기 여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가 예측성인신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nRH analogue on predicted adult height in girls with early puberty)

  • 안병훈;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52-557
    • /
    • 2006
  • 목 적 : 최근 성조숙증에서 사춘기를 중단시킴으로써 성인신장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는 기대로 조기 사춘기로 인하여 신장에 대한 예후가 불량한 소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의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사춘기로 예측 성인신장이 저하된 여아에서 이 약제의 신장 증가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소아과 외래에 조기 사춘기와 예측성인신장이 저신장으로 예측되는 36명의 여아를 대상으로 GnRHa를 6개월 이상 사용한 제 1군과 6개월 미만 사용한 제 2군으로 나누어 치료 시작시와 치료 후의 역연령, 골연령, 신장 및 표준편차치, 예측성 인신장 및 표준편차치, 표적키 및 표준편차치, 혈청 IGF-1, IGFBP-3 치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군의 평균 치료기간은 $1.37{\pm}0.92$년, 2군은 $0.41{\pm}0.08$년이었고, 전체적으로는 $0.89{\pm}0.81$년이었다. 치료 시작시 두군 간에 역연령, 골연령, 신장, 표적키, 예측성인신장, 혈청 IGF-1 및 IGFBP-3 치의 차이는 없었고, 마지막 추적시 두 군간에 역연령, 골연령, 신장, 예측성인신장, 혈청 IGF-1 및 IGFBP-3치의 차이도 없었다. 두 군 사이에 성장속도와 치료기간에 따른 예측성인신장의 증가분은 2군이 의미 있게 높았다. 이는 2군이 치료기간이 짧아 사춘기의 성장속도가 충분히 억제되지 않은 결과로 보인다. 치료 시작시에 비하여 마지막 추적시의 예측성인신장은 의미 있게 증가하여 단기간의 치료에도 어느 정도의 효과($3.7{\pm}3.2cm$)는 있었다. 전체 대상아에서 표적키($157.3{\pm}3.1cm$)와 치료 시작시 예측성인신장($148.5{\pm}5.8cm$) 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마지막 추적시의 예측성인신장($152.2{\pm}5.9cm$) 사이에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검사 소견에서 혈청 IGF-1과 IGFBP-3는 치료 시작시에 비하여 마지막 추적시에는 의미 있게 감소하여 GnRHa의 사용으로 성장호르몬-IGF 축이 다소간 억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결 론 : 사춘기가 조기에 시작하여 골연령이 역연령에 비하여 증가되어 예측성인신장이 표적키에 못 미치는 경우에 단기간의 GnRHa의 사용으로 예측성인신장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표적키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으며, 성장호르몬-IGF 축의 억제가 동반되는 점에서 GnRHa 치료시 예측성인신장이 표적키에 이르기 위해서는 성장호르몬의 동시 사용이 필요하겠다.

대전지역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장에 대한 보고 (A Study on the Growth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Dae-jeon Area)

  • 이혜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7-156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growth via Growth indices, Obesity indices, Metabolic risk fact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Dae-jeon area. Methods 5 to 12 year old children from 56 multicultural famil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were examined their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and have received blood tests. Results 1. In Growth indices, average height percentile was $53.64{\pm}25.59%$. The AHP and MPH respectively, were converted into 20 years old adult height percentile, AHP of a girls was 40 percentile and MPH was 19 percentile, AHP of boys was 57 percentile and MPH was 21 percentile. 2. In Obesity indices, average of BMI pecentile was $44.16{\pm}29.52$; low-weight group (6 boys, 4 girls), normal-weight group (20 boys, 18 girls), over-weight group (8 girls). Average PWH was $100.51{\pm}15.66%$; low-weight group (9 boys, 5 girls), normal-weight group (14 boys, 15 girls), over-weight group (3 boys, 5 girls), obesity group (5 girls). 3.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indices and Obesity indices, 1) As RH percentile in boys was increased, skeletal maturity, AHP and AHP-MPH were also increased. Similarly, as RH percentile in girls was increased, skeletal maturity, AHP and AHP-MPH were also increased. 2) As skeletal maturity in boys was increased, BMI percentile was also increased. As skeletal maturity in girls was increased, AHP-MPH was decreased bu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Current growth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above the average when compared to that of average children in the same age. It was predicted that the boys' height were still above the average adult height, but the girls' height were below the average. Also this study showed that girls were more prone to be overweight than boys, thus requiring more intensive management and training in regards to eating habits and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