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ed Value

검색결과 1,817건 처리시간 0.036초

진로정체성이 수학 교과 학습지속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유용가치의 매개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on learning persis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utility value)

  • 우연경;김성경;최영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1호
    • /
    • pp.41-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on learning persis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ediating effect of utility value.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ting role of utility value, we divided utility value into two types, utility value of daily matters and utility value of care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28 senior students in high school,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career identity, utility value, learning persis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identity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in mathematics. Second, career identity positively predicted the utility value of daily matters and career. Third, both type of utility value in mathematics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in mathematics. Fourth, the utility value of daily matters and career, in mathematics subjects, showed differential predictability toward learning persis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Both type of utility value in mathematics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but showed differential predictability towar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the utility value of daily matters in the near future did not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utility value of career in the distant future positively predi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Fifth, the utility valu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learning persis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were discussed.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도시형과 교외형 TC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CM Urban and Rural mode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장영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1호
    • /
    • pp.63-70
    • /
    • 1998
  • TCM has been used for man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in Korea. But there was reported that an error was found in area source calculation of original TCM and modified. In this study, TUM(TCM-urban mode) and TRM(TCM-rural mode) were developed for urban and rural area by modification of original TCM. McElroy-Pooler dispersion parameter was used for area and point source in TUM, Pasquill-Gifford parameter was used for area and point source in TRM. And Irwin's vertical wind speed profile exponents were used for TUM and TRM. Then predicted value by TUM, TRM and a value from the same area and point data by CDM2, ISCLT3 were compared. And it was found that predicted value from point source by TUM, TRM was very similar to a value by CDM2, ISCLT3, and predicted value from area source by TRM was similar to a value by CDM2, ISCLT3. But predicted value from area: source by TUM was an half lower than a value by CDM2, ISCLT3.

  • PDF

추정 오차 확장 및 오류 예측 보정을 통한 고용량 가역 워터마킹 (High-Capacity Reversible Watermarking through Predicted Error Expansion and Error Estimation Compensation)

  • 이해연;김경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4호
    • /
    • pp.275-286
    • /
    • 2010
  • 디지털 콘텐츠의 원본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지적 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가역 워터마킹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원본 품질을 중요시하는 의료, 군사, 예술작품 분야에서 가역 워터마킹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정 오차 확장 및 오류 예측 보정을 통한 고용량 가역 워터마킹 기술을 제안한다. 보간 기법을 사용하여 픽셀의 값을 추정하고, 추정값과 원본값의 차이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계산한 후에 이를 확장하여 워터마크 메시지를 삽입한다. 기존의 인접 픽셀 사이의 차이값이 아닌 추정치를 활용함으로써 메시지가 삽입되는 히스토그램 값의 집중도를 높여서 높은 삽입 용량을 달성하였다. 삽입된 워터마크는 추정값과 원본값의 차이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복원하여 검출한다. 삽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및 언더플로우 문제는 오류 예측 기법을 통하여 해결하였다. 제안하는 가역 워터마킹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상을 활용하여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알고리즘은 완전한 가역성을 갖으며, 삽입 후에도 높은 영상 품질을 유지하고, 높은 삽입 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제주 지역의 지반 특성을 고려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에 관한 연구 II -어스앵커 공법 시공 사례-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to Earth Retaining Wall Considering Ground Characteristics in Jeju II - Case of Earth Anchor Construction -)

  • 김도형;이동욱;김승현;고권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85-9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에서 어스앵커로 지지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2개의 현장 시공 사례를 기반으로 수평변위에 대한 계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의 예측은 Rankine 토압, Hong & Yun 측방토압, Terzaghi & Peck 수정측방토압, Tschebotarioff 측방토압을 이용하여 탄소성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현장에 대한 최대 수평변위의 예측값은 계측값에 비하여 약 10배~12배로 화인되었으며, B현장의 경우에는 예측값이 계측값보다 약 9배~12배로 평가되었다. 즉, 2개 현장 모두 계측값에 비해 예측값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가 유사한 증가율을 보였다. 모든 현장 사례에서 계측값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는 퇴적층, 연암층 및 클링커층에서 발생하였고, 수평변위 형상은 사다리꼴 형태에 나타냈다. 그리고 예측값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는 클링커층 주변에서 발생하였으며, 수평변위 형상은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클링커층이 혼재되어 있는 지반에서 계측값이 예측값과 매우 다른 수평변위 경향을 보이는 원인으로는 클링커층이 암반층과 연속된 지층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즉, 예측되는 토압 분포와 상당히 다른 경향을 보이는 제주 지역의 토압 분포 특성을 고려하면 과다하게 평가되는 기존의 예측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보다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주 지역의 측방토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연간 건물난방 에너지사용량의 예측에 미치는 측정기간의 영향 (Effect of Measuring Period on Predicting the Annu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for Building)

  • 조성환;태춘섭;김진호;방기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287-293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temperature-dependent regression model of energy consumption based on various measuring period. The methodology employed was to construct temperature-dependent linear regression model of daily energy consumption from one day to three months data-sets and to compare the annu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predicted by these models with actual annu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Heating energy consumption from a building in Daejon was examined experimentally. From the results, predicted value based on one day experimental data can have error over 100%. But predicted value based on one week experimental data showed error over 30%. And predicted value based on over three months experimental data provides accurate prediction within 6% but it will be required very expensive.

Analytical correction of vertical shortening based on measured data in a RC high-rise building

  • Song, Eun-seok;Kim, Jae-yo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0권6호
    • /
    • pp.527-536
    • /
    • 2020
  • In this study, a process is proposed to calculate analytical correction values for the vertical shortening of all columns on all floors in a high-rise building that minimizes the error between the structural analysis predictions and values measured during construction. The weight ratio and the most probable value were accordingly considered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shortening value analyzed at several points in each construction sta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se measured points and unmeasured points at which the shortening was predicted. The effective range and shortening value normalization were considered using the column grouping concept. These tools were applied to calculate the error ratio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on a floor where a measured point exists, and then determine the estimated error ratio and estimated error value for the unmeasured point using this error ratio. At points on a floor where no measured point exists, the estimated error ratio and the estimated error value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most probable value considering the weight ratio for the nearest floor where measured points exist. In this manner, the error values and estimated error values can be determined at all points in a structure. Then, the analytical correction value, defined as this error or estimated error value, was applied by adding it to the predicted value. Finally, the adequacy of the proposed correction method was verified against measurements by applying the analytical corrections to all unmeasured points based on the points where the measurement exists.

폐절제술 후 폐환기능의 변화에 대한 장기 추적관찰 (A Long-term Follow up Study on Pulmonary Function after Lobectomy and Pneumonectomy)

  • 이이형;김세규;장준;정경영;안철민;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6호
    • /
    • pp.638-645
    • /
    • 1993
  • 연구목적 : 폐절제술 후 폐환기능은 절제될 폐와 절제술 후 잔여 폐의 기능, 또한 잔여 폐의 잠재적인 대상능력에 의존한다. 최근에는 폐암 환자에서 광범위한 폐절제술이 행하여지는 추세이며 종종 만성폐질환으로 인하여 폐환기능이 상당히 손상된 환자에서도 이러한 수술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들에서 절제술 후 폐기능의 회복정도를 예측함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폐절제술 후 폐기능의 변화를 장기간 관찰하여 기간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여 폐절제술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다. 방법 : 폐암 및 양성폐질환으로 전폐절제술 및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수술 후 특기할 만한 합병증이 없고, 18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6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5년동안 3개월 간격으로 폐환기능검사를 실시하여 폐기능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1) 수술 1주 후 폐기능은 폐엽절제군과 전폐절제군 각 군에서 수술전 측정치의 FVC 59.8%, 52.2%, FEV1 63.1%, 50.5%로서 예측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1-3개월 후 예측치와 유사하게 회복되었다. 2) FVC는 폐엽절제군은 6-24개월에는 예측치보다 높았고, 그 이후에는 예측치와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전폐절제군에서는 6-36개월에는 예측치와 유사하게 유지되다가 수술 3년 6개월 이후에는 호전되어 예측치보다 약간 높게 유지되었다. 3) FEV1은 폐엽절제군과 전폐절제군 각각 6개월-5년동안 뚜렷한 변화없이 예측치와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4) FEV1/FVC는 두군 모두에서 수술 전후 전기간동안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5) FEF25-75%는 폐엽절제군에서는 6개월-5년동안 유의한 변화없이 예측치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전폐절제군에서는 수술 1년 이후 감소하여 예측치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6) MVV는 폐엽절제군의 경우 2년까지는 예측치와 유사하게 유지되다가 그 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폐절제군의 경우는 전 추적기간 동안 예측치와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7) 전폐절제군이 폐엽절제군에 벼해 수술 후 6개월의 FVC, FEV1, FEF 25-75%, MVV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수술 2년 이후에는 전폐절제군이 폐엽절제군보다 FVC, FEV1, FEF 25-75%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 폐환기능은 수술 직후에는 수술 전보다 현저히 감소하였다가 수술 1-3개월 후 회복되어 예측치와 유사해지고 6개월에 최고에 이르고, 2년 이후 약간 감소하여 5년까지 뚜렷한 변화없이 예측치와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폐엽절제군과 전폐절제군 사이의 폐환기능의 차이가 가장 뚜렷한 시기는 수술 6개월-1년 사이였고, 수술 2년 이후에는 두군 사이의 차이가 감소하였다.

  • PDF

휴대용 폐기능 검사기의 재현성과 기대치에 관한 연구 (Repeatability and Appropriate Predicted Value of Portable Spirometry on Korean Adults)

  • 최준용;정희재;이건영;정승연;황준호;이형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87-595
    • /
    • 2005
  •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peatability of portable spirometry and to determine an appropriate equation for predicted valu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bjects were 76 men and 45 women recruited from among Kyunghee University oriental medical students. Portable spirometry was performed via the procedure recommended in ATS guidelines. Repeatability of spirometry was checked against ATS repeatability standards and NHLEP QC grade. Percentage of predicted value of non-smokers was calculated through a Caucasian population-based regression equation(by Morris et al.) and Korean population based regression equation(by Kim et al.). These were compared. Result : 91.7% of subjects matched repeatability standards of ATS and 95% of subjects got interpretable NHLEP QC grades of A, B, and C. Mean percentage of predicted value by Morris et al. were as follows: Mean of FVC% was 90.86, FEV1% was 96.66, FEV1/FVC% was 107.48. Mean percentage of predicted value by Kim et al. were as follows. Mean FVC% was 92.38, FEV1% was 89.77, FEV1/FVC% was 96.95. Conclusions :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re than 90% of subjects meet repeatability criteria. This supports a role for the portable spirometer as a primary oriental medical office tool. Further, results are a verify that they Korean population-based predicted value equation is a more appropriate standard than the Caucasian population-based one, but a still more accurate standard is needed for the Korean adult population.

  • PDF

머신러닝 기법 기반의 예측조합 방법을 활용한 산업 부가가치율 예측 연구 (Prediction on the Ratio of Added Value in Industry Using Forecasting Combin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

  • 김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9-57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 분야 산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부가가치율을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예측하였다. 아울러, 예측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 예측값들에 예측조합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산업별 부가가치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재귀적특성제거 방법을 사용하여 주요 변수를 선별한 후 머신러닝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예측과정의 효율성을 높였다. 분석결과, 예측조합 방법에 따른 예측값은 머신러닝 기법 예측값들보다 실제의 산업 부가가치율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머신러닝 기법의 예측값들이 큰 변동성을 보이는 것과 달리 예측조합 기법은 안정적인 예측값을 나타내었다.

그루브 압축에 의한 알루미늄의 집합조직 (Texture Development by Groove Pressing in Aluminum)

  • 박종진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06-209
    • /
    • 2000
  • Groove pressing which is analogous to groove rolling in the aspect of deformation mode was designed and influence of the uncommon shear de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exture and R value was investigated. Texture developed by the groove pressing were measured as well as predicted. It was found out that the main component in the developed texture was {40。, 45。, 0。} in ODF which was regarded as a rotated Bs component and rarely observed in a plain rolling. The maximum R value was predicted to be 3.8 in 45。 direction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the new compon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