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ursory phenomen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경주 국가지하수관측소 일자료로 본 경주지진 영향 (Gyeongju Earthquakes Recorded in Daily Groundwater Data at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in Gyeongju)

  • 이진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6호
    • /
    • pp.80-86
    • /
    • 2016
  • Earthquakes of M5.1, M5.8 and M4.5 occurred in September 12 and 19 respectively in Gyeongju, Gyeongbuk Province. Theses earthquakes inflated fears of people and highlighted necessity of detailed countermeasures because we have considered our country is safe to earthquakes. In the meanwhile, earthquake also impacts groundwater and thus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the Gyeongju Earthquakes affected groundwater there. This study evaluates daily groundwater data collected from fiv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Geoncheon, Sannae, Oedong, Yangbuksin, Cheonbuk) in Gyeongju. The analysis revealed that only groundwater level of bedrock monitoring well hosted in andesite exhibited earthquake impact while no wells in the other four stations hosted in sedimentary rocks showed substantial responses to the earthquakes. This may be derived from the difference of seismic velocity of hosting rocks as well as epicenter distance. Special interest on groundwater monitoring is required to predict earthquakes as precursory phenomena.

국내 지진 감시·예측을 위한 지하수관측망의 활용 방안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thquake Surveillance and Prediction)

  • 이현아;함세영;우남칠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5호
    • /
    • pp.401-414
    • /
    • 2017
  •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진 예측과 예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지진예측지표 중,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장기관측자료에서 지진 전에 나타나는 이상변동은 지질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와 매체 내 균열의 발달에 의한 것으로 지진의 발생 시기와 규모를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국외에서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을 지진감시 관측망의 보조관측망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지진 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서야 지하수를 활용한 지진예측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 가운데 발생한 2016년 9월의 경주지진 전후로 나타난 지하수의 변동은 많은 관심을 불러왔다. 이 연구는 지진감시 및 예측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하수관측시설을 운용하고 있는 중국, 일본, 미국의 관측시설 현황 및 연구 사례를 분석, 검토하고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기 시작한 지진예측 연구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앞으로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지진감시 전용의 단층대 지하수관측시설 구축과 주요 관측인자의 실시간 감시, 이상변동의 폭과 관측되는 거리에 대한 정밀한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