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pitation acidit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iO/CeO2-ZrO2/WO3 Catalyst for Ethylene Dimerization: Effect of CeO2 Doping and WO3 Modifying on Catalytic Activity

  • Sohn, Jong-Rack;Han, Jong-Soo;Kim, Hae-Won;Pae, Young-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5호
    • /
    • pp.755-762
    • /
    • 2005
  • A series of catalysts, NiO/$CeO_2-ZrO_2/WO_3$, for ethylene dimerization was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and impregnation methods. For NiO/$CeO_2-ZrO_2/WO_3$ sample, no diffraction line of nickel oxide was observed up to 40 wt%, indicating good dispersion of nickel oxide on the surface of catalyst. The hexagonal and monoclinic phases of $WO_3$ up to the calcination temperature of 500 ${^{\circ}C}$ were observed, whereas the hexagonal phase of WO3 completely was transformed into monoclinic phase of $WO_3$ at 600 ${^{\circ}C}$ and above. The role of $CeO_2$ in the catalysts was to form a thermally stable solid solution with zirconia and consequently to give high surface area and acidity. The catalytic activities for ethylene dimeriza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acidity of catalysts measured by the ammonia chemisorption method. 25-NiO/5-$CeO_2-ZrO_2/15-WO_3$ containing 25 wt% NiO, 15 wt% $WO_3$ and 5 mol% $CeO_2$, and calcined at 400 ${^{\circ}C}$ exhibited a maximum catalytic activity due to the effects of $WO_3$ modifying and $CeO_2$ doping.

NiO/La2O3-ZrO2/WO3 Catalyst Prepared by Doping ZrO2 with La2O3 and Modifying with WO3 for Acid Catalysis

  • Sohn, Jong-Rack;Choi, Hee-Dong;Shin, Dong-Ch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821-829
    • /
    • 2006
  • A series of catalysts, $NiO/La_2O_3-ZrO_2/WO_3$, for acid catalysis was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and impregnation methods. For the $NiO/La_2O_3-ZrO_2/WO_3$ samples, no diffraction lines of nickel oxide were observed, indicating good dispersion of nickel oxide on the catalyst surface. The catalyst was amorphous to X-ray diffraction up to 300 ${^{\circ}C}$ of calcination temperature, but the tetragonal phase of $ZrO_2$ and monoclinic phase of $WO_3$ by the calcination temperatures from 400 ${^{\circ}C}$ to 700 ${^{\circ}C}$ were observed. The role of $La_2O_3$ in the catalyst was to form a thermally stable solid solution with zirconia and consequently to give high surface area and acidity. The high acid strength and high acidity were responsible for the W=O bond nature of complex formed by the modification of $ZrO_2$ with $WO_3$. For 2-propanol dehydration the catalyst calcined at 400 ${^{\circ}C}$ exhibite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while for cumene dealkylation the catalyst calcined at 600 ${^{\circ}C}$ showe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25-$NiO/5-La_2O_3-ZrO_2/15-WO_3$ exhibited maximum catalytic activities for two reactions due to the effects of $WO_3$ modifying and $La_2O_3$ doping.

아연제련잔사로부터 용매추출법에 의한 갈륨의 회수 (Recovery of Gallium from Zinc Residues by Solvent Extraction)

  • 김성규;이화영;오종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3호
    • /
    • pp.29-36
    • /
    • 2000
  • 아연제련잔사로부터 고순도 갈륨을 회수하기 위하여 알칼리 갈륨의 용매추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Isopropyl Ether에 의한 갈륨의 추출시 수용액의 염산농도가 증가할수록 갈륨의 추출이 증가하여 약 7.4M/L의 염산농도에서 증가할수록 추출이 증가하여 갈륨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D2EHPA에 의해 추출할 경우 철은 염산농도 2M/L 까지는 100% 추출되고 있으나, 갈륨은 염산농도 2M/L에서는 거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용액의 염산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갈륨과 철을 용이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다. 아연제련잔사로부터 알칼리침출, 중화침전, Isopropyl Ether과 D2EHPA를 사용한 용매추출공정을 거쳐 갈륨을회수한 결과, 순도 99wt%, 이상의 $Ga_2O_3{\cdot}H_2O$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상이한 임분에서 분할 채취한 강우의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equentially Sampled Precipitation in the Different Forest Stands)

  • 김홍률;주영특;진현오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8-95
    • /
    • 2001
  • 경기도 광주지역의 잣나무, 낙엽송, 활엽수 임분에 있어서 pH 및 용존 원소의 수직적인 이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우의 지속에 따른 임외우와 임내우 pH와 강우 중 화학적 조성을 각 단계별로 분할 채취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외우의 pH의 범위는 4.67~6.72였으며, 평균 pH는 5.74$\pm$0.62로 나타났다. 임외우의 pH와 수관통과우 및 수간류 pH와의 관계를 보면, 임외우 pH에 대한 수종차이 즉, 침엽수에 비하여 임외우의 산성화에 대한 완충능의 수종 특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종에 따라서 산성화 경향의 수간류와 알칼리화 경향의 수간류가 있어 수종에 따라서 수간류의 pH 변화에 대한 특성을 보였다. 각 수종별 초기강우와 후속강우의 변화를 보면, 활엽수림은 수간류에서 1998년 10월과 1999년 4월, 수관통과우에서는 1998년 8월을 제외하고는 초기강우의 pH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후속강우의 pH는 5.20~6.90의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화하였다. 후속 강우가 초기 강우시 양이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과는 달리 S $O_{4}$$^{2-}$ , N $O_{3}$$^{-}$, C $l^{-}$등 음이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음이온 성분 등은 가스상이나 미세입자로 존재함으로 강우량이 증가함에도 지속적으로 세정되어 후속 강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현장측정에 기초한 대기오염물질의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연구-주요 기준성 오염물질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Analytical Techniques for Some Gaseous Criteria Pollutants through a Field Measurement Campaign in Seoul, Korea)

  • 김세웅;김기현;김진석;이강웅;김경렬;문동민;김필수;손동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3-415
    • /
    • 1999
  • To properly assess air pollution levels, application of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QA/QC) is believed to be an essential step. In order to cope with such scientific principle, a field study was designed with an aim of comparing: 1) the methods of calibration for airborne pollutants and 2) the protocols developed for their measurements. Measurements were made at Han Yang University, Seoul during 29 May through 1 June 1998 under the management of the Division of Measurements and Analysis(DMA)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KOSAE). In this work, we report our results of intercomparative measurements on several gaseous criteria pollutants that were investigated mainly by the two institutes-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nd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Standards and Science(KRISS). Although measurements of major gaseous pollutants had been made routinely by many scientific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most scientists involved in those studieswere obliged to do their experiments on the basis of their own procedural steps spaning from the preparation of gaseous standards to the methodological selections for the calibration. Hence, this campaign offered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many important aspects on the measurements of these important gaseous pollutants. In the course of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patibility of data sets obtained by the two institutes in concert with reference data sets collected concurrently from a government-managed monitoring station. On the basis of our study, we conclude that different data sets made by different participants during this campaign agree well within the reasonable range of uncertainties.low, which indicated that during this period the potential acidity of precipitation was high but the neutralizing capacity was low. For Spring, pAi was very low but pH was slightly high. This was likely due to the large amount of $CaCO_3$ in the soil particles transported over a long range from the Chinese continent that were incorporated into the precipitation, and then neutralized the acidifying species with its high concentraton.

  • PDF

삼척지역 우수의 이온성분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onic Components of Rain Water in Samchok-City Area)

  • 이승일;김승호;조기철;김희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8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of acid precipitation at Samchok City in Korea, the rainwater was collected according to 3mm rainfall from september 1994 to december 1994. pH, electric conductivity were measured and ionic components were analyzed by Ion chromatography. As the analytical results, the average value were 6.27 for pH, 53.16 S/cm for E.C., the average concentration were 393.42 eq/1 for C $l^{[-10]}$ , 18.41 eq/1 for N $O_{3}$$^{[-10]}$ , 91.44 eq/1 for S $O_{4}$$^{2-}$, 335.92 eq/1 for N $a^{+}$, 65.66 eq/1 for N $H_{4}$$^{+}$, 18.22 eq/1 for $K^{+}$, 120.49 eq/1 for $Mg^{2+}$ and 147.04 eq/1 for $Ca^{2+}$. pH value correlated negatively with rainfall amount and the component of C $l^{[-10]}$ and N $a^{+}$ were transported to urban air by the seasalt. It showed that S $O_{4}$$^{2-}$ and N $O_{3}$$^{[-10]}$ had influence on acidity of precipitation, 73% and 27%, respectively, in this area. Ion Concentration of N $O_{3}$$^{[-10]}$ was higher than S $O_{4}$$^{2-}$ in the early rain, S $O_{4}$$^{2-}$ was higher than N $O_{3}$$^{[-10]}$ in the succeeding rain by multi-regration analysis. the percentages of removal by percipitation were higher in N $O_{3}$$^{[-10]}$ than in S $O_{4}$$^{2-}$./TEX> 2-/.

  • PDF

전북(全北) 이리지역(裡里地域)의 강수성분(降水成分) 조사(調査) (Survey on the Precipitation Component in Iri Area of Chonbuk Province)

  • 강종국;심형권;이종식;김종구;이재길;소재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2
    • /
    • 1995
  • 전북 평야지역의 산성(酸性)비 강수양상(降水樣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리시(裡里市) 교외에 위치한 호남농업시험장 내에서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수(降水)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을 분석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92년 산성비 출현율(出現率)은 연평균(年平均) 82.5%이었으며 6월이 17%로 가장 낮았다. 2. pH 수준별 강수량 분포(分布)는 pH $4.5{\sim}5.0$의 범위가 54.0%로 가장 많았으며 pH 4.0 이하의 강수(降水)는 9.6 mm로 연강수량(年降水量)의 1.1%이었다. 3. 강수(降水) PH를 계절별로 보면 여름(4.78)>가을(4.59)>봄(4.52)>겨울(4.16)의 순(順)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4. 강수(降水)의 pH 감소(減少)와 상관(相關)이 높은 성분은 $SO_4^{2-}$$NO_3^-$이었으며 두 성분(成分)의 당량비(當量比)는 2.85:1 이었다. 5. 강수성분조성(降水成分組成)은 $SO_4^{2-}$>$NH_4^+$>$Cl^-$>$Ca^{2+}$>$NO_3^-$>$Na^+$>$H^+$>$K^+$>$Mg^{2+}$의 순(順)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음이온의 양이온에 대한 당량비(當量比)는 1.20이었다. 6. 질소($NO_3-N$ + $NH_4-N$)와 칼리($K_2O$)의 연강하량(年降下量)은 각각 1.19, 0.53 kg/10a ${\cdot}$ year이었다.

  • PDF

태안지역 강우의 화학성분 특성 (Volume-Weighted Ion Cocentration of Rainwater in Taean Area)

  • 이종식;정구복;김진호;김원일;윤순강;임재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4-288
    • /
    • 2001
  • 태안지역 강우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 영농기 (4월${\sim}$10월) 동안 태안지역에 내린 강우의 화학적 성분조성과 강우량 가중평균 (volume-weighted mean) 이온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중 강우 pH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기간인 4월과 5월이 6월${\sim}$9월에 비해 높게 나타나 계절적 특성을 보였다. 강우시료에 대한 pH별 강우분포는 pH 5.6 이상이 42.1%로 가장 많았으며, pH $5.6{\sim}5.0$$4.5{\sim}5.0$ 범위의 강우가 각각 21.1%와 31.6%를 차지하였다. 빗물의 조성은 $SO_4$가 음이온의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전체 양이온 함량의 약 70%가 $NH_4\;^+$$Ca_2\;^+$로 구성되어 있다. 월별 강우 pH는 측정치 $(pH_{obs})$는 6월에서 9월 사이에 낮은 반면, 이론치 $(pH_{the})$는 같은 기간에 증가하여 대기중의 알카리성 이온들에 의한 중화력이 다른 기간에 비해 낮았다. 또한 강우중 비해염 sulfate는 총sulfate 함량의 약 97%이었다. 강우의 산성도 기여율 $(nss-SO_4\;^{2-}/NO_3\;^-)$은 평균 2.0으로 비해염 $SO_4\;^{2-}$에 의한 기여율이 $NO_3\;^-$ 보다 2배 높았다.

  • PDF

탄산칼슘 처리에 의한 개량머루주의 감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rou Wine deacidified by Calcium Carbonate)

  • 김찬우;전진아;강지은;최한석;여수환;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59-564
    • /
    • 2016
  • 본 연구는 탄산칼슘 처리농도(0.1, 0.2 and 0.3%)에 따른 개량머루주의 감산 특성을 검토하였다. 탄산칼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처리 2일째 총산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기간에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앙금분리와 숙성 중에는 총산이 정상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발효 중에는 약 30%로 효율이 낮았다. 또한 탄산칼슘 처리농도가 많을수록 pH가 상승하기 때문에 적색도가 낮아져 와인이 보랏빛을 나타냈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알코올과 탄닌 함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탄산칼슘 처리에 따라 소폭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량머루주의 주요 유기산 중 주석산은 탄산칼슘과 반응하여 처리농도에 비례하게 감소되었으며, 그 결과 총산 함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기호도 평가에서 와인의 색은 탄산칼슘 처리농도가 많을수록 대체적으로 낮은 선택률을 보였고, 무게감과 이미는 높은 선택률을 나타냈다. 탄산칼슘 0.1% 처리구가 신맛과 전반적인 기호성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탄산칼슘 처리농도가 많아질수록 개량머루주의 총산은 감소되어 신맛을 저감화시키지만 와인의 품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0.1% 이내의 탄산칼슘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폐세륨연마재 건조분말로부터 공기산화 및 산도조절에 의한 수산화세륨의 분리회수 (Separation of Cerium Hydroxide from Wasted Cerium Polishing Powders by the Aeration and Acidity-Controlling Method)

  • 윤호성;김철주;엄형춘;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6호
    • /
    • pp.3-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CRT용 폐세륨연마재 건조분말로부터 수산화세륨을 선택적으로 분리회수 하고자 하였다. 폐세륨연마재에는 산화희토류가 약 $64.5\%$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산화세륨은 $36.5\%$로서 전체 희토류 중 $56.3\%$를 차지한다. 산화세륨은 희토류원소들 중에서 가장 안정된 형태로 이에 대한 분해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황산화반응을 이용하여 산화희토류 및 산화세륨을 분해하고 수침출을 통하여 희토류의 분리 $\cdot$회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침출용액의 희토류는 황산나트륨을 이용한 복염[$\Re{\cdot}Na(SO_{4})_{2}$] 형태로 회수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여 수산화희토류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공기 접촉에 의하여 3가 수산화세륨을 4가 수산화세륨으로 산화시킨 후 산도조절에 의하여 기타 수산화희토류로부터 수산화세륨을 분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