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lass homewor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효과적인 플립러닝 적용을 위한 사전 학습 영상 길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deo Length in Pre-class Homework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 박준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79-86
    • /
    • 2023
  • In our research, we delved into the impact of video length assigned for pre-class assignments on students' level of engagement. What we discovered is that as the length of the video increases, student engagement tends to decrease and the time allocated for homework prepara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engagement, as many students tend to complete their assignments just before the due date. Interestingly, the well-known "6-minute rule" often advocated for online educational videos does not align with the dynamics of real university settings. Whether i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or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s exhibit a high degree of self-responsibility when it comes to video consumption. Our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in the context of flipped learning, it is advisable to create videos that are shorter than 15 minutes in length.

약물감시 실습 교육이 한의과대학 학부생의 지식, 태도 및 자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Pharmacovigilance Practice Training Course for Future Doctors of Korean Medicine on Knowledge, Attitudes and Self Efficacy)

  • 김미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4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pharmacovigilance practice training course for future doctors of Korean medicine, the graduate students of a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urriculum. Methods: Fifty-six students were given a training course designed as follows: 1) pre-class homework (basic theory self-study, online course, causality assessment, and adverse event reporting simulation); 2) in-class: homework submission and case discussion; 3) after-class: homework revision and resubmission. An online survey to assess the change of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harmacovigilance, the willingness to report adverse events, and self-efficacy for the causality assessment and adverse event reporting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Results: The survey participation rate was 96.5% in pre-education and 64.3% in the post-education survey. After education, knowledge level was improved (mean score from 4.3±2.11 to 6.7±1.96 points, modal value from 3 to 8 points) and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almost all questions on attitudes. In the post-education survey, more students felt that they could do causality assessment (from 13% to 80.5%), could report adverse events to the agency in charge (from 7.4% to 96.2%), and expressed their strong willingness to report adverse events in the future (from 77.8% to 88.9%) than in the pre-education survey. Conclusions: More schools of Korean medicine need to adopt pharmacovigilance training courses in their curriculum to foster future doctors of Korean medicine with pharmacovigilance capabilities. Such efforts will be the basis for achieving an evidence-based, safe use of herbal medicine.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사례 (The Development and Applied Case of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103
    • /
    • 2017
  • 이 연구는 거꾸로 수업에 기반 한 지구과학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수업에 수업모델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델은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과 정보를 사전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거꾸로 수업에서의 선행과제를 대체하였다. 교실수업에서 '지식'내용은 교수에 의한 강의식 설명으로 20분 동안 학생들에게 수행되었으며, 그 후 학생들은 지식과 관련된 심화탐구문제를 토론 협력을 통해 모둠별로 해결하였다. 탐구문제 해결 후, 모둠원 중 발표자로 선정된 한 학생이 모든 학생들 앞에서 모둠에서 수행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4차시 수업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과정과 사전에 제공된 학습 자료의 포트폴리오는 기말고사를 대처한 한 학기의 과정평가로 교수에 의해 운영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많은 학생들은 본 수업 모델이 수업에 대한 집중력, 그리고 토론기술과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결론 적으로 본 수업모델은 지구과학수업에서 적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MULTIDIMENSIONAL TEACHING: THOUGHTFUL WAYS OF CREATING A FLIPPED CLASSROOM

  • Cho, Hoyun;Osborne, Carolyn;Sanders, Tobie;Park, KyungEu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3권1호
    • /
    • pp.93-114
    • /
    • 2015
  • The "flipped" or "inverted" classroom, in which students study lecture-type material at home and do their "homework" in the classroom, has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particularly in the area of student achievement. Yet Bishop and Verleger (2013) state the need for an underlying theory to the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multidimensional teaching," the authors' extension of the two-dimensional "flipped" classroom concept in light of Cambourne's (1995) Conditions for Learning. One author's math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was taught in two styles, a more traditional lecture format and in the \inverted" format. Students in the "flipped" format achieved at a higher level. Moreover, students' open-ended comments reveal that Cambourne's Conditions for Learning were implicit to the teaching practice. The authors suggest that practitioners of this style of teaching should deliberately develop student-centered practices, such as those mentioned by Cambourne, in order to retain the power that this teaching style currently has.

성별의 차이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on English Learning with Technology)

  • 김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03-416
    • /
    • 2019
  • 본 연구는 성별의 차이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2017년 국내 한 대학에서 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2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3시간씩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수업에 참여하였다. 강의 요강, 강의 노트 등의 학습 자료는 모두 학교 웹 사이트에 업로드 되었으며, 과제, 퀴즈 및 시험 역시 모두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되었다. 남녀 성별에 따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후 사전 사후 영어 말하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이후 인터뷰 역시 진행하였다. 양적 데이터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 데이터 분석은 내용 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을 통해 남학생과 여학생의 영어 말하기 실력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하지만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성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똑같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인터뷰 결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반응 역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에게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