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e-Based Paradigm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Academic Identity of Dance Pedagogy :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ime Series Analysis)

  • 김지영;홍애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39-45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중심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에 관한 비판적 접근을 바탕으로 무용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무용교육은 1955년 교육부에서 고시된 제1차 교육과정 이후 학교무용으로서 65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음에도 무용교육학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이 견고하지 못하다. 전통적인 무용교육은 실행중심 패러다임에 따라 지나치게 교사중심, 실기기능중심, 연습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최근 학교, 지역사회, 전문 분야에서 무용교육학은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무용교육연구의 각 구간별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무용교육연구는 5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었다. 제1구간(1968~1979)은 체육학을 기반으로 한 무용교육의 실천, 제2구간(1980년~1989년)은 초등교육을 위한 창작 기반의 움직임 교육, 제3구간(1990년~1999년)은 교급별 무용교육과정의 체계화, 제4구간(2000년~2009년)은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의 등장, 제5구간(2010년~2019년)은 교육실천과 학제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합학으로서 무용교육학, 학제간 실천 및 연구를 지지할 수 있는 학문적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는 노력이 요청된다.

시민연극과 커뮤니티: 주체-객체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소고 (Applied Theatre and Community: Reflections on the Subject and Object Paradigm Shift)

  • 김병주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5-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도 이미 소개된 바 있는 '시민연극(applied theatre)'의 개념과 배경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민연극이 지닌 특성의 배경, 우산용어로서의 형성 과정을 정리하였다. 여전히 생소한 용어와 개념이 지닌 모호함과 혼란의 본질인 커뮤니티와 만나는 연극행위의 주체를 인식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찰하고, 그러한 맥락에서 시민연극과 '커뮤니티 연극', 그리고 '커뮤니티 기반 연극' 개념을 비교하고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시민연극' 개념과 특성에 대한 가장 본질적 이해는 연극의 양식이나 유형적 관점이 아닌, 참여자와 커뮤니티를 주체로서 인식하는 시대와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를 인지하는 것에서 비롯됨을 확인하게 되었다.

'포스트 게놈' 시대에서 간호학의 과제 (Nursing Genetics in 'Postgenome' Era)

  • 최스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5-14
    • /
    • 2005
  • Since the Human Genome Project(HGP) has begun in the mid 1980s, the sequencing of the human genome has been finally completed in 2001. The knowledge developed from the HGP has revolutionized how health care professionals think about patient care, mandating a new paradigm of patient care in totally inconceivable ways from the past. For instance, the patients at risk for disease can be identified early enough for intervention; the medicine can be tailored for individual patients based on their own genetic information ; the gene therapy could be a common procedure in the near future. The advancement in genetics, therefore, requires the shift of paradigm not only in nursing education, practice, but also in nursing research. It is attempted, in this article to introduce briefly the basic knowledge of genetics, the pharmacogenomics, and the overview of national genetic research initiated and organized by the Center for Functional Analysis of Human Genome in Korea. The current state of nursing genetic knowledge and its implications on nursing education, practice, and research has examined. Furthermore, the visions and the opportunities for nursing science and practice to participate in this genetic revolution were also explored.

  • PDF

인간과학적 배경과 Watson의 돌봄이론 (Human science paradigm and Watson's theory of human caring)

  • 한선희;남은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46-254
    • /
    • 1997
  • Nursing have been caught between the paradigm of medical science with a body part view of a person and the paradigm of medical science with an emphasis on unsurpassable control, rigor, objectivism, and neutrality of value. But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impersonal, objective model of science for the personal unique and gestalt experiences of nursing phenomena. Jean Watson proposed a theory of human caring based on human science paradigm to explain human phenomena.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of nursing by Jean Watson and the researches based on Waton's theor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hilosophical back ground, value system and key concepts of Watson's theory Watson's perspective of person and human existence includes humanistic and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She also emphasized nurse-patient relationship as an intersubjective(transpersonal) caring relationship. Examination of the studies based on Watson's theory consistantly revealed Watson's theory of human caring based on the human science paradigm is more appropriate than traditional medical science paradigm for explaining nursing phenomena. For the purpose of refining the theory and promoting usefulness of the theory, it would be desirable to test the theory to the nursing phenomena and to apply the theory to practice and education.

  • PDF

제3의 연령기의 공간환경연구를 위한 관점과 쟁점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Issues and Persyectivbes for Research on Living Environment of ‘The Third Age’ -focusing on Social constructionism approach-)

  • 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37-48
    • /
    • 2002
  • Mid of 1980s witnessed the beginning of a new trend regarding the elderly as the Third Age Group, which is capable of positive selection for their later life. These changes are caused not only by the rising cost of caring them as the dependent to the society, but also by paradigm shift from the clinical and biomedical model to political economy and critical gerontology. The paradigm shift is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onism as a perspective on the later life. In this communication the development of social constructionism is reviewed as an approach on the living environment for later life through literature survey. Emphases were made on the anti-ageism instead of ageism in the analysis of the social constructionism perspective for living environment in later life. Individual practice, influencing the practice of others, influencing agency policy, and developing theory were addressed and emphasized for the practice of anti-ageism. This study found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constructionism perspective on the study and practice regarding living environment for ‘the Third Age’ in Korean situation.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우식위험도 평가에 근거한 치아우식증 관리의 임상적용 사례 및 활성화 방안 (The clinical application of dental caries management based on caries risk assessment and activation strategies)

  • 윤홍철;최연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8호
    • /
    • pp.472-477
    • /
    • 2014
  • The new paradigm of dentistry require the detection of caries in their earlier stages. To achieve this, a high technology detection device and systematic and organized caries management system are needed.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 (CAMBRA) model is representative caries management system that satisfied new paradigm.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treatment according to CAMBRA model is patient-centered, risk-based, evidence-based practice. Therefore, individual caries management such as CAMBRA should be performed through accurate assessment of caries disease indicators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carie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Based on the CAMBRA better effectiveness of comprehensive dental caries management including non-surgical treatment will be accomplished.

공급망 상생협력 활동과 성과 공유 전략 (Buyer-Supplier Collaboration and Benefit-Sharing Strategy in a Supply Chain)

  • 유승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9-84
    • /
    • 2011
  •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incipal-agent paradigm, we investigate a joint cost reduction activity in a buyer-supplier supply chain where a buyer motivates its operations department and a supplier to reduce the supply chain's production cost. We construct a benefit-sharing model based on the target cost scheme, a basic philosophy in practice which has not been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The model also incorporates various supply chain issues such as the cooperation of multiple agents, the opportunity loss, and the degree of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the suppli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incipal-agent model, we investigate the benefit-sharing rule to control agents' actions, and we also provide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into supply chain practices via extensive comparative static analyses.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형사법적 쟁점과 과제 (Criminal Law Issues and Challenges Due to Changes in the Healthcare Paradigm)

  • 선종수
    • 의료법학
    • /
    • 제24권1호
    • /
    • pp.43-65
    • /
    • 2023
  • 헬스케어 산업은 제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과 접목된 디지털 헬스케어로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 등을 다루는 분야로 건강관리 서비스와 의료 과학기술이 융합된 형태이다.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의료법」상의 의료행위 개념에 포섭되어 논의가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 생긴다. 「의료법」상 의료행위의 개념에 관한 명확한 정의 규정은 없지만, 판례를 통해서 그 개념을 정립하고 있다. 그리고 「의료법」상 의료행위의 주체는 의료인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료인에 의 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질병 진단과 치료행위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는 달리 비의료인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 디지털 헬스케어이다. 왜냐하면 디지털 헬스케어는 운동, 식습관 그리고 체중조절 등과 같은 건강관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의료법」상 의료행위 개념에 포섭하는 경우 「의료법」 제27조에 규정된 '무면허의료행위'로 형사처벌의 대상이 된다. 보건의료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정보통신기술과의 융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의료행위와 구분하여 '디지털화된 의료행위' 또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의료행위'로 새롭게 규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의료행위 개념은 고정불변한 개념이 아닌 가변성을 가진다. 그렇다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의료행위 개념의 무한 확장이 아닌 그 범위의 재설정을 요청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서비스체계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의료행위 개념을 법제화하여야 할 것이다.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New Paradigm Changes in Animation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 이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31-43
    • /
    • 2007
  • 최근 애니메이션 시장은 시대적 트렌드와 환경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소비 형태의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애니메이션 장르가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미디어의 다양성에 따른 애니메이션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해 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연구결과, 애니메이션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끄는 핵심적인 변화 요인으로, 인터넷 통신기술의 발달과 상호작용성, 미디어 특성에 따른 뉴미디어의 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사점으로, 다원화 사회의 소비환경은 개인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마케팅 도입이 필요하고, 애니메이션 장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애니메이션 산업은 창작기술 발달과 체험 경제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미래의 선도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다는 것과 뉴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는 뉴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창작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 Yoo, Taemyung;Lee, Soo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23-37
    • /
    • 2014
  •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 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 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 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 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 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