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Danc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Dance-Sports Costume

  • Kim, Hyun-Kyung;Choy, Hyun-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9권1호
    • /
    • pp.44-5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que differentiation of dance-sports costume design and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design in this field. for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the visual data in 'weave' prosperity data and a dance-sports technical book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nce-sports costume has the general character of dance costume, and it belongs to the category of stage costume. Seco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peculiar to dance-sports costume come from its specialized usage in dance-sports. Third, the design of dance-sports costume changes accordingly with the situation it is worn: exercise costume, party costume, competition costume. Fourth, arranged dance-sports costume trends since 1998. It had shown biennial changes in shilhouette.

초등학생을 위한 강강술래 국민생활댄스 공연복식 제안 (Designing Performance Costumes of Daily Dance Ganggangsullae for Elementary Students)

  • 조두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81-92
    • /
    • 2015
  • Daily dance Ganggangsullae is recommended for youth to help their diet, improve their team life and know Korean culture. Its performance costumes were fusion hanbok and casual wear shown at the Seco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Contest Conference of Myeongryang Battle Festival in 2013. A fusion hanbok shows the Korean traditional spirit, but it is not practical. Casual wear is practical, but it does not show any Korean identity. Therefore, their combination is needed to reflect the Korean identity and practicality. For this, a literature review and an online 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history, purpose and dance motion of daily dance Ganggangsullae. And photographs of participating teams were gathered from Jeonnam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Goguryeo costumes were used for design motifs. Four designs were sets of T-shirts and pants for the summer. Style 1 is designed using sam, jikryeong, go, round and triangle pattern with rippled cotton. Colors were from Wang Huiji's mural painting. Style 2 is designed using dansuui, beonryeong, go, round and quadrangle patterns with rippled cotton. Colors were from a Deokheungri mural painting. Style 3 is designed using sam, round ryeong, go, quadrangle patterns, prints with cotton jersey and denim. Colors were from a Gamsinchong mural painting. Style 4 is designed using dansuui, jikryeong, go, a flame pattern, a bow and arrow shape with cotton, knit and jersey. Colors were from a Muyongchong mural painting. This study is helpful to anyone who wants to develop Korean-style performance costumes.

Operating Mode and Management System of Dance Troup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Artistic Management

  • Wu, Bo;Jin, Shanyu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7
    • /
    • 2021
  • In the study, the operating mode and management system of dance troupes are aimed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artistic management. The study focuses the Shanxi Huajin Dance Troup using case study method and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erence for other literary communication forms in the literary industry. At the same time, the study provides a useful reference for how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atrical troupes as the main body, can operate and manage better in a "self-sufficient" market environment.

Analysis of K-Pop Dance as an Academic Subject

  • Eunjoo, Oh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68-276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K-pop dance is qualified as an academic subject and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K-pop dance as a liberal art sub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8 students. Among the total of 138, 40 participants were male, and 53 participants were female. Fourteen(14) participants had experience with K-pop classes, and 124 participan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 with K-pop dance classes. According to the study, K-pop is a form of Korean culture that adds uniqu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to Koreans. It is in the cultural and art education category. In addition, K-pop dance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characterized by dance. However, K-pop dance is not qualified as an academic subject because it lacks theoretical foundations. The survey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did not perceive that K-pop dance had personal, aesthetic, social, or educational value. They did not want to take a class if K-pop dance is offered as an academic subject in liberal art class. When analyzing the data by gender and experiences with dance classes, there was a difference based on gender in the two questions. In the case of females, they responded to having fun and joy from K-pop dance, while male respondents did not. Regarding the learners' interest in Kpop dance class, female respondents were more optimistic about the learner interest than male respondents. In conclusion, K-pop dance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many informal online courses are created daily, spreading everywhere. However, the status of K-pop dance as an academic area is not set up yet.

Creative Factors on the Objectives of Expressional Activities

  • Kim, Lee-kyung;Lee, jiwon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39-340
    • /
    • 2019
  • The society seeks creative talents. Expressive activities ar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stimulate imagination, realize such through body, and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In such perspective, it is quite meaningful to investigate educational objective that expressive activity shall possess as class to cultivate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reativity theory, analyze expressive activities as national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s, understand the position of expressive activities in Korea, and understand creative educational objective and value of expressive activities, in order to suggest idea for practical goal of expressive activities.

  • PDF

무용학원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의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for the Activation of a Dance Academy)

  • 박종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75-85
    • /
    • 2021
  • 무용학원 이용자들이 무용학원 이용 및 선택 시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무용학원 활성화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G광역시의 12개 무용학원을 이용하는 213명을 대상으로 IPA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PA분석별 무용학원 중요도는 지도자 전문성, 무용이용 장비의 청결성, 교통접근성, 무용학원 이용비용, 지도자 친절성 등의 순위로 나타났고, 만족도는 지도자 전문성, 무용프로그램 다양성, 지도자 작품구성능력, 지도자 친절성, 교통접근성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결과 무용학원 선택 시 이용자들이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직접적인 레슨을 실시하는 지도자의 전문성과 친절 및 학원이용비용, 코로나 19시대를 경험하면서 학원장비의 청결성을 중요하다 하였고, 이용에 따른 만족도는 지도자와 관련된 요인과 학원 교통접근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무용학원활성화를 위하여 전문적이고, 친절성을 겸비한 지도자와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으로 학원을 관리한다면 무용학원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무용학원 외 학원들에게도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가 진행된다면 사설학원들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태도 분석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s, and Grades)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48-156
    • /
    • 2015
  •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전공별, 남녀별, 학년별로 구분해 분석했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하는 전공자 남녀 각각 126명, 357명을 대상으로 Jadranka et al.(2014)가 고안한 무용 태도 질문지법을 이용해 정의영역, 인지 영역, 행동 영역별로 구분해 조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 여간 무용에 대한 태도 분석결과 정의적 태도 영역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p<.05), 전공 간 분석결과는 실용 무용 전공자들이 발레나 한국 무용 전공자들보다 무용에 대한 정의적 반응이 보다 긍정적이었다(p<.05). 학년별 무용 태도는 저 학년인 1 학년이 고 학년인 4 학년보다 정의적 태도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p<.05). 향후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보다 많은 조사 대상자와 남녀, 전공, 학년별 균등한 조사 대상자 선정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선정 대상자 또한 수도권에 국한하지 말고 전국에 걸쳐 선정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대학 교양무용 수업의 반성적 실천 사례 (The Case Study of Reflective Practice of the Liberal Dance Class in University)

  • 박지원;김제영;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26-6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교육으로 이루어지는 무용 수업에서 교육내용 설계와 개선을 위한 실천적인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는 15주간의 무용 강좌에서 40명이 참여한 생활무용 프로그램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과 보고서, 수업을 진행한 강사의 평가서를 토대로 수업사례에서의 실천적 의미를 탐구하고 과정을 중시하는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의 경험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생각하는 춤'의 경험이다. 기능적인 움직임에 그치지 않고, 춤의 매력과 감성과 문화를 모두 경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이다. 둘째, '소통하는 춤'의 경험이다. 새로운 동료와의 교제, 소극적인 성향의 극복, 상대를 배려하는 춤의 매너에서 춤을 통한 사회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함께 만드는 춤'의 경험이다. 모둠활동의 구성원으로써 성실함과 책임감 있는 태도, 협동적인 과제 수행에서의 보람을 언급했다.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수업의 반성적 평가는 다음과 같다. 교양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은 학생들의 표현적 개성과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기초안무를 그대로 답습하고 기능만을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학생을 지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양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은 움직임 활동을 통해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교양댄스수업 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과 수업몰입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eaching Behavio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Dance Classes, Lecture concentr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 정문미;원영신;이민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593-6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 지속적 참여의도, 그리고 수업몰입의 구조관계를 파악하고 수업몰입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의 교양댄스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 표본표집법 중 유의표본표집법을 이용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대학에서 총 31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은 수업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수업몰입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양댄스수업참가자가 인식하는 교수행동과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에서 수업몰입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무용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Dance Education Content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 배명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1-270
    • /
    • 2022
  • 이 연구는 무용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3, 4, 5, 6학년 체육교과서 8종 32권을 확보하여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학년 표현 영역은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를 중심으로 교과서를 편성하고 있었다. 4학년은 대다수 교과서들이 공, 후프, 리본을 이용한 체조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5학년의 경우 우리나라 민속춤과 관련하여 강강술래, 탈춤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외국 민속 무용과 관련하여 티니클링, 구스타프스콜이 제시되어 있었다. 6학년의 경우 주제표현과 관련하여 표현 요소 탐색과 표현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창작체조를 중심으로 주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용 무용 중 라인댄스가 대다수의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었다. 표현 영역은 그 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내외적 문제들로 인해 학교 현장교사들은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표현 영역은 인지, 심동,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에서의 표현 영역 수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