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wder loss

검색결과 728건 처리시간 0.029초

아로니아 부산물 분말 첨가 쌀 영양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utritional Bar added with Aronia Byproducts Powder)

  • 류혜숙;최해연;주신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47-955
    • /
    • 2015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otal phenolic content, anthocyanin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ice nutritional bar with added powder of aronia by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rice nutritional bar was prepared by adding aronia byproducts powder at concentrations of 0%, 2%, 4%, and 6%. The pH of the rice nutritional bar batter was lowered for the control and 2% aronia byproducts powder was added. The moisture content, baking loss rate, leavening rate and specific volume of the rice nutritional bar decreased with as the aronia byproducts powder content increased. In relation to measurements of the colors of the rice nutritional bar crust and crumbs, as the content of aronia byproducts powder increased,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while the a value increased. From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aronia byproducts powder, bu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thocyanin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rice bar with 6% aronia byproducts powder added. According to a sensory evaluation,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for the rice bar with 4% added aronia byproducts powder, whereas the color and taste was rated higher for the rice bar added with 4% and 6% aronia byproducts powder.

인삼 잎(Ginseng leaf)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Ginseng Leaf)

  • 천세영;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3-33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muffin ad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0, 1, 3, and 5%) of ginseng leaves powder, which is discarded in the process of ginseng. Density of muffin was the highest at 1.45 g/mL in control, and pH (7.41) was at the highest level as well. There was no tendency at the bottom and upper dimensions according to addition of ginseng leaf powder. The height and baking loss rate of the muffins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owder concentr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weight of muffins did not show constant tendency, according to addition ratio of ginseng leaves powder. The degree of lightness and yellowness of muffin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powder increased,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ness was found with increased powder concentration. The factors of hardness and chewiness were higher at the control group and cohesiveness was the highest at 0.65 in 3% group, but springiness and gumminess did not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ffi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inseng leaves powder (p<0.05). For the sensory evaluation in 1% group, the intensity of color, smell, taste, softness, and moistness was the lowest, whereas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 of color, smell, taste, chewiness, and moistness was the highest. Thesensory properties of muffin linearl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ginseng leaves powder increased.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inseng leaf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토마토 분말 첨가 머랭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ringue Cookies Added with Tomato Powder)

  • 김경희;김영식;홍민서;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66-371
    • /
    • 2016
  •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된 토마토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토마토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토마토 머랭 쿠키를 제조(0, 5, 10, 15%)하여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머랭 쿠키 반죽의 pH는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L값(명도)은 토마토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토마토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머랭 쿠키의 경도는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대조구가 1.76 mg GAE/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첨가구가 3.45~5.86 mg GAE/100 g으로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평가 결과 5% 첨가군이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토마토 분말을 함유한 머랭 쿠키 제조 시 5% 첨가군이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밀감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Mandarin Powder)

  • 박영선;신솔;신길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62-668
    • /
    • 2008
  • 밀감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파운드케이크를 개발하기 위하여 파운드케이크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운드케이크 무게는 밀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부피와 굽기 손실률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밀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측정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점점 낮아 졌다. 색도는 밀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에서는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힙성(chewiness), 부착성(adhesiveness)은 증가하였고,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감소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맛,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 에서는 대조구보다 10% 밀감 분말의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밀감 분말을 10% 첨가하면 기능성 파운드케이크 제조에 긍정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단감분말을 함유한 저지방 돈육 미트패티의 냉동 저장 중 품질 변화 (Improved Quality Properties of Low-Fat Meat Patties Containing Sweet Persimmon Powder during Freeze Storage)

  • 김일석;진상근;하창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121
    • /
    • 2008
  • 열풍건조 단감분말과 동결건조 단감분말을 각각 0%, 3%, 6%을 첨가하여 미트 패티를 제조한 후 $-18^{\circ}C$에 4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제품의 pH는 30일까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40일차에는 약간 증가하였다. 보수력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가열감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단감분말이 첨가된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 측정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모두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처리구와 비교 시 대조구의 명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처리구들이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직경감소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p<0.05). 미생물 분석결과 저장 40일차까지 총균수는 4.20 log CFU/g를 유지하여 양호하였으나, T3 및 T4는 대조구보다 총균수와 대장균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VBN 분석결과 T4가 저장 15일차부터 40일까지 다른 제품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TBARS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다소 높게 평가받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지는 열풍 또는 동결건조 단감분말은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미트패티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함초 분말 첨가가 제빵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 배종윤;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08-913
    • /
    • 2008
  • 함초의 식품에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함초의 제빵 적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함초 분말의 수분함량은 9.39%, 조회분은 25.60%, 조섬유는 73.02%이었으며, 철분과 칼슘의 함량은 각각 17.6 mg%, 117.5 mg%였다. 반죽의 pH는 함초 분말 첨가에 의해 뚜렷한 값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함초 분말 6.0% 첨가구의 발효능은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그 외 함초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함초 분말 0.6%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굽기 손실률이 낮게 나타났다. 함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의 무게도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식빵의 부피는 함초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빵 반죽의 색도는 함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백색도)과 b값(황색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은 증가하였다. 함초 분말 첨가 식빵의 기호성은 맛과 풍미, 색의 경우 함초 분말 1.2%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결 13Cr-1.5Nb-Fe 합금의 교류 자기 특성 (Fabrication of 13Cr-1.5Nb-Fe Alloy Powder and AC Magnetic Properties of the Sintered Magnetic Core)

  • 오환수;김택기;조용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5
    • /
    • 2000
  • 수분사법으로 제조된 13Cr-1.5Nb-Fe 합금분말을 수소분위기 하에서 환원처리 하였다. 분말특성이 조사된 환원분말을 이용하여 자기코아를 제작한 후 약 $10^{-5}$Torr의 진공분위기에서 소결하였다. 자기코아의 교류자기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투자율과 자기손실을 조사하였다. 환원분말의 입도분포는 약 70$\mu\textrm{m}$에서 50% vol.을 나타내며, 포화자화 값은 약160 emu/g이었다. 10ton/$\textrm{cm}^2$ 성형압력, 1,20$0^{\circ}C$ 소결온도에서 제작된 자기코아의 교류투자율은 주파수, f=1 kHz, 인가자장, H$_{a}$ =5 Oe에서 400이다. 또한 동조건에서 제작된 자기코아의 교류자기이력손실은 유도자화, B$_{m}$ =80G에서 0.12mW/cc이다.

  • PDF

나노결정 Fe73Si16B7Nb3Cu1 연자성분말과 숯분말 혼합 복합성형체의 전자파흡수 특성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Properties of Fe73Si16B7Nb3Cu1-Based Nanocrystalline Soft Magnetic Powder Composite Mixed with Charcoal Powder)

  • 김선이;김미래;손근용;박원욱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1-295
    • /
    • 2009
  • The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sheets were fabricated by mixing of $Fe_{73}Si_{16}B_7Nb_3Cu_1$ nanocrystalline soft magnetic powder, charcoal powder and polymer based binder. The complex permittivity, complex permeability, and scattering parameter have been measured using a network analyzer in the frequency range of 10 MHz$\sim$10 GHz.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permittivity of sheets was largely dependent on the frequency and the amount of charcoal powder : The permittivity was improved up to 100 MHz, however the value was decreased above 1 GHz. The power loss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data showed almost the same tendency as the results of complex permittivity. However, the complex permeability was not largely affected by the frequency, and the values wer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harcoal powder.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addition of charcoal powder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EM wave absorption in the frequency range of 10 MHz$\sim$1 GHz.

오미자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Schizandra chinensis)

  • 신길만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103
    • /
    • 2016
  • 이 연구 목적은 기능성이 있는 오미자의 이용확대를 위한 오미자 분말 5~20%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오미자첨가 스펀지케이크의 반죽의 비중, pH, 부피, 무게, 색도, texture,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비중과 무게는 각각 0.50, 144.3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굽기 손실률과 높이, 부피, 비용적은 대조군이 각각 10.0(%), 5.10 cm, 935, 24, $6.47cm^3/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오미자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게 나타냈다. 색도 측정은 L(명도)와 b(황색도) 오미자 분말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조직감의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오미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향(flavor),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오미자 분말을 5% 첨가하는 것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오미자 분말을 5% 첨가하면 맛과 향이 가미된 기능성 스펀지케이크를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귀리분말과 보리분말 혼합비율에 따른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Oat and Barley Powder)

  • 김보영;최희선;류은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8-434
    • /
    • 2014
  • Physicochemical properti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okies produced with oat and barley powder were evaluated. Oat and barley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cookie dough at 6 levels: oat : barley = 100:0 (S1), 80:20 (S2), 60:40 (S3), 40:60 (S4), 20:80 (S5), 0:100 (S6) and control. pH of the cookie dough was lowest in the S6 group and highest in the control, S1, S2, and S3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sity. The spread ratio and loss rate of cook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content of barley powder. The leavening rate of the S1 cookie group was the lowest. With regard to color, the a-values and b-values of cookies increased with a rise in content of oat powder, and the L-valu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barley powder content. Analysis of cookie texture showed that hardness was highest in the S6 group with barley and lowest in the S1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cook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roasted nuttiness and sweetness. In overall acceptance of cookies, S6 was the least acceptable and S1, S2, and S3 were the most acceptable. Results suggest that oat powder is a suitable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of cook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