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manur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1초

Strategie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Animal Manure: Nutritional Management Option - Review -

  • Paik, 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657-666
    • /
    • 1999
  • The first option in manure management is developing an environmentally sound nutritional management. This includes proper feeding programs and feeds which will result in less excreted nutrients that need to be managed. Critical components that should be controlled are N, P and minerals that are used at supranutritional levels. Amino acid supplementation and protein restriction reduce N excretion in the monogastric animals. Supplementation with enzymes, such as carbohydrases, phytase and proteases, can be used to reduce excretion of nutrients and feces by improving digestibility of specific nutrients. Growth promoting agents, such as antibiotics, beta-agonists and somatotropin, increase the ability of animals to utilize nutrients, especially dietary protein, which results in reduced excretion of N. Some microminerals, such as Cu and Zn, are supplemented at supranutritional level. Metal-amino acid chelates, metal-proteinates and metal-polysaccharide complexes can be used at a much lower level than inorganic forms of metals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of animals. Deodorases can be used to avoid air pollution from animal manure. Nutritional management increases costs to implement.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economics in order to find an acceptable compromise between the increased costs and the benefits to the environment and production as well.

축분 유기질비료의 고형화에 의한 비효 연장 (Fertility Prolongation of the Solid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Cattle Manure)

  • 주영규;정영상;이상국;김은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1-76
    • /
    • 2004
  • 축분 유기질 성분을 고형화된 막대 형태고 조형하여 작물 뿌리 주위에 관입하게 되면 작업과정의 단순화와 비효의 유실을 줄이고 비효 지속 기간을 연장 시키어 작물의 근계 발육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학 비료, 분말 형태의 유기질 비료와 막대형 유기질 비료의 비효를 비교하고 작육의 생장 형태를 분석하여 축분의 막대화에 따른 유기질 비료의 효과지속성을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말형태의 축분 사용보다는 고형화된 막대형태의 유기질 축분이 비효의 유출을 줄이고 작물 지상부와 근계발달을 촉진시켜 유기질 비료 특유의 완효성 비효의 지속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특히 멀칭 후에는 분말 형태의 축분 시비가 불가능하나, 이를 막대 형태로 고형화하여 작물 근계 주위에 관입하게 되면 작업과정의 단순화해지며, 수확 후에도 토양 비옥도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축분 시용수준이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산태질소 함량과 당도 및 채식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Level of Animal Manure on the Nitrate Concentration, Sugar Content and Intake of Forage Sorghum X Sudangrass Hybrid)

  • 서성;김종근;정의수;김원호;최기준;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0
    • /
    • 2002
  • 본 시험은 가축분 퇴비 시용조건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Sorghm bicolor (L.) Moench)의 시용수준별, 생육시기별, 잎과 줄기 부위별 질산태 질소 함량과 당토 및 가축 채식률 등을 구명하고자 Pioneer 988 품종을 공시하여 1995년도에 실시하였다. 가축분은 톱밥과 50:50으로 섞은 발효분으로 시용수준은 ha당 우분 퇴비 50, 100, 150톤, 돈분 퇴비 20, 40, 80톤, 계분 퇴비 10, 20, 4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각각 무비구(대조구)를 두고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조파하였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산태 질소 함량은 가축분 퇴비 시용구에서 무비구인 대조구 (평균 228mg/kg)에 비해 높았으며(P<0.05), 또 가축분 퇴비 시용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질산태 질소 함량은 397, 512, 609mg/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생육시기별 질산태 질소 함량은 초장 50~60cm, 100~120cm, 200~220cm일 때 각각 평균 438, 454, 418mg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 질산태 질소 함량은 가축분 퇴비 종류에 관계없이 줄기(376mg/kg)가 잎(135mg)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P<0.05), 잎에서는 하부 잎(151mg)이 상부 잎(58mg)에 비해 현저히 높았고 (P<0.05), 줄기에서도 아래부위로 갈수록 질산태 질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상부위, 중간부위, 하부위에서 각각 357, 511 및 610mg이었다.(P<0.05). 수수$\times$수단그라스의 당도는 가축분 퇴비 시용구에서 대조구(평균 4.9。)에 비해 낮았으며 (P<0.05), 또 가축분 퇴비 시용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당도는 4.9, 4.4, 4.3。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본 시험에서 대체적인 당도의 범위는 4~5。 범위였으며, 생육시기별 당도는 초장 50~60cm와 100~120cm에서는 평균 3.9。로 낮았으나 초장 200~220cm일 때는 평균 6.1。로 크게 높아졌다. 가축 채식률은 가축분 퇴비 시용구에서 무비구인 대조구(평균 76.1%)에 비해 낮았으며(P<0.05), 또 가축분 퇴비 시용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채식률은 73.9, 58.7, 52.3%로 크게 감소하였다.

가축분뇨관리 과정 중 손실되는 질소 : A review (Nitrogen Losses During Animal Manure Management : A review)

  • 최동윤;송준익;박규현;;안희권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73-80
    • /
    • 2012
  • 가축분뇨 중의 질소성분이 불필요하게 대기중으로 휘산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거나 가축분뇨의 비료 가치를 저하시키는 것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가축분뇨 처리단계 별 질소손실 기작 및 조건을 올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각 축종별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축사시설 및 가축분뇨 처리형태를 기준으로 가축분뇨에 함유된 질소가 토양에 살포되어 작물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비율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슬러리 형태로 수거한 돈분뇨를 퇴비화 한 후 토양에 표면살포했을 경우 시비 후 2년 이 경과한 시점에서 작물이 이용 가능한 질소 성분은 배설된 분뇨에 함유된 총질소 성분의 27% 수준이다. 2. 슬러리 형태로 수거한 돈분뇨를 혐기소화 한 후 토양 표면에 살포한 상태에서 2년 후에 작물이 이용 가능한 질소는 분뇨중 총 질소의 29%이며, 혐기소화 한 소화폐액을 토양주입(Injection)에 의해 살포할 경우 분뇨중 총질소의 54%가 2년 후 작물에 의해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주입이 가축분뇨 토양살포 시 휘산되는 암모니아를 저감시키는데 매우 효율이 높음을 입증하는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3. 깔짚우사에서 수거한 한우 및 젖소 분뇨를 퇴비화한 후 토양 살포를 할 경우 3년이 경과한 시점에 작물이 이용 가능한 질소는 분뇨 중 총질소의 18% 수준이다. 4. 계분을 퇴비화한 후 토양 살포를 할 경우 2년이 경과한 시점에 작물이 이용 가능한 질소는 분뇨 중 총질소의 18% 수준으로 계산되었다.

Utilization of Poultry Processing Wastes

  • Linus G. Fonkwe;Rakesh K. Singh;Lee, Jun-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57-262
    • /
    • 2001
  • Large amounts of poultry processing wastes including blood, feathers, offal, bones and manure are produced annually from the poultry industry. Over the past years, these products have been wasted and now there is a need for the treatment of these processing wastes. These processing wastes could be either discarded, a rather expensive option considering the cost of sewage disposal, or processed into animal feed or food for human consumption.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various methods through which the different poultry processing wastes have been further processed and/or utilized for human flood or animal consumption. This paper also reviews steps involved in general poultry processing.

  • PDF

사료이용율 증가에 따른 비반추가축의 분뇨에 의한 공해발생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ing Pollutants in Non-Ruminant Manure by Increasing Feed Utilization)

  • Nahm, K.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5-257
    • /
    • 2001
  • 가축사육이 집단화되면서 가축배설물의 축적은 집중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고 또 계속적인 분뇨 분비물의 유출은 환경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공공의 걱정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가축분뇨 중에서 질소와 인이 환경공해요인이 되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가축이나 축산시설물에서 발생되는 냄새 역시 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다. 급여되는 사료의 영양소효율을 높이는 길이 환경공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가장 많은 실험은 닭과 돼지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사료첨가제의 이용, 사양방법의 수정 등으로 사료중의 영양소 이용성을 높임으로서 질소와 인의 배출감소는 물론 냄새와 분의 건물함량을 줄일 수 있었다. 1) 합성아미노산 제제를 사료 중에 첨가하고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을 때 육계의 경우 10∼27%의 질소배출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산란계의 경우 18∼35%, 돼지의 경우 62%, 돼지에서 생성되는 냄새를 9∼43%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었다. 2) 사료 중에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육계 분의 건물함량을 12∼15% 감소시킬 수 있었다. 3) phytase를 첨가할 경우 분으로 배설되는 인의 함량은 양계의 경우 25∼35%,돼지의 경우 9∼43%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4) 성장촉진제를 이용할 경우 돼지에서 질소의 배설 양을 5∼30%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냄새는 53∼55%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5) 사료배합을 요구량에 가깝게 하여 급여하였을 때 양계나 양돈의 경우 질소와 인은 각각 10∼15% 감소를 기대 할 수 있었으며 돼지의 냄새는 28∼79%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6) 기별 사양을 철저히 실시함으로서 양계와 양돈의 경우 질소는 10∼33%, 인산은 10∼13%, 그리고 성장 비육돈의 경우 49∼79% 감소를 기대 할 수 있다. 7) 닭이나 돼지의 사료를 배합시 소화율이 높은 곡류를 이용하면 질소와 인의 배설을 5%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닭, 오리, 말, 사슴, 염소, 및 양에 의한 유기성 오염물 발생에 따른 배출부하 원단위 산정 (Analysis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Fowl, Duck, Horse, Deer, Goat and Sheep as Unit Load Generation and Discharge)

  • 한준석;윤지현;한기봉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2호
    • /
    • pp.66-7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닭, 오리, 말, 염소, 사슴 및 양으로부터 발생되는 분 뇨 및 폐수의 오염물 부하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축사로부터 발생 및 배출되는 오염물 부하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닭의 오염물질 배출량 및 농도분석 원단위를 통하여 산출된 배출부하 원단위는 사육두수 및 사료의 종류, 분의 처리방법의 상이함에 의해 산란계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배출부하 원단위 중 사슴의 경우 기존의 문헌보다 높게 측정된 것은 사슴의 축종별 체중과 오염물질 발생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양의 경우 뇨의 발생 부하량 원단위가 분에 비해 2배 정도 높게 측정되었는데 문헌자료에서는 분이 뇨보다 높게 측정되어 현 연구에서의 측정결과와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농작업시 발생하는 화학적 및 생물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유사노출작업군 설정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imilar Expousre Groups(SEG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Risk Factors in Farm Work)

  • 이민지;신소정;김효철;허진영;안민지;김경란;김경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2-298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Similar Exposure Groups (SEG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risk factors that occur in farm work involving 24 tasks among 15 crops. Methods: To categorize SEGs, work type, work environment, and similar tasks for each crop were considered. After confirming the chemical risk factors (pesticides, inorganic dust-total dust and PM10,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nd biological factors (organic dust-total dust and PM10, and endotoxins) that occur in the crops and tasks, similar crops and tasks were selected as SEGs. Results: Among chemical risk factors, pesticides was selected for the SEGs, which was categorized by open field, greenhouse, fruit, and specialty crops. For inorganic dust, open field (plowing harrowing, seedling, planting, harvest, and sorting and packing) and specialty crops (plowing harrowing, seedling, planting, and harvest) were selected as SEGs. For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livestock (preparation of farm, management of nursery bed, feeding, shipment and manure treatment) were selected as SEGs. For biological risk factors such as organic dust (total dust, PM10) and endotoxins, open field (manure application), greenhouse (plowing harrowing, planting, manure application, and harvest), fruit (manure application), specialty crops (manure application, making furrows, mixing mushroom media, harvest, and sorting and packing), and livestock (preparation of farm, maintaining poultry litter, feeding, shipment and manure treatment) were selected as SEGs. Conclusions: To establish similar exposure groups in agriculture, it is importa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azard factor are categorized by identifying risk factors occurring by tasks.

POULTRY WASTES AS FOODS FOR RUMINANTS AND ASSOCIATED ASPECTS OF ANIMAL WELFARE - Review -

  • Roothaert, R.L.;Matthewman, R.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593-600
    • /
    • 1992
  • Animal welfare is often neglected by livestock productionists when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animal wastes for livestock feeds. The present review has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nutritive value of poultry wastes for ruminants, the health risks involved with feeding it, the treatment and feeding methods and the production responses of animals fed on it. It was found that mineral, crude protein, crude fibre and metabolisable energy concentrations are influenced by the system of poultry production, the storage of the waste and the treatment method. Heating at $60^{\circ}C$ kills all pathogens apart from Clostidium botulinum whereas proper ensiling kills all. Apart from the kidney fat and the liver, animal tissues have not shown residues of drugs or heavy metals from poultry wastes. Palatability is affected when the moisture is more than 200 g/kg. Production responses are satisfactory when poultry wastes replace portions of concentrates. It was concluded that poultry litter generally has higher metabolisable energy contents than poultry manure, but research is needed to classify poultry litters on their energy values. The adverse effects of toxic minerals and drug residues are negligible in balanced poultry waste feeding systems.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이화학적 성상 (A Study on the Amount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Excreta from Laying Hens)

  • 황보종;홍의철;나승환;유동조;김학규;박미나;정기철;추효준;박희두;서옥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7-342
    • /
    • 2009
  • 산란계의 분뇨 발생량과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1일령 산란계 200수를 선별하여 공시하였으며, 200수 중 10수씩을 선별하여 분뇨의 채취에 이용하였다. 산란계의 일일수당 평균 분뇨 발생량은 $124.7{\pm}27.5\;g$/수/일이었으며, 계분의 수분함량은 $76.7{\pm}1.9%$, 건물 함량은 $29.1{\pm}3.9\;g$/수/일이었다. 산란계 계분(55주령)의 N, $P_2O_5$$K_2O$는 각각 $1.39{\pm}0.14$, $0.62{\pm}0.11$$0.68{\pm}0.09%$이었다. 계분뇨의 pH는 $8.19{\pm}0.71$이었으며, $BOD_5$ 농도는 $50,266{\pm}621\;mg/L$로 나타났다. $COD_{mn}$의 경우 $62,832{\pm}803\;mg/L$이었으며, SS는 $121,725{pm}16,165\;mg/L$를 나타냈다. 계분의 중금속 함량 중 Pb은 $0.008{\pm}0.0012\;ppm$으로 규제 농도인 150 ppm보다 크게 낮았고, Cd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며, As는 $0.008{\pm}0.0017\;ppm$으로 검출되었다. Hg은 $0.003{\pm}0.0013\;ppm$이었으나, 규제 농도인 2 ppm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국내 산란계의 평균 분뇨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분뇨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함으로써 유기비료원로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