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manur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9초

宥機質 肥料 施用이 柴胡의 根收量과 Saikosaponin 含量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Application in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s in Bupleurum falcatum L.)

  • 김명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5-182
    • /
    • 1997
  • 삼조시호(三鳥柴胡)의 고품질(高品質) 생산을 위한 유기질 비종별(肥種別) 시용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성(收量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화학성은 시험전 토양에 비해 모든 유기질비료 처리가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CaO 등의 함량이 증가된 경향을 보였고 유기질 비종별(肥種別)로 보면 볏짚퇴비+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처리구에 비해 계분(鷄糞) + 버섯 볏짚퇴비 둥의 처리구가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CaO 등의 함량이 높아 유기질 시용 효과가 증대되었다. 2. 계분(鷄糞)+버섯볏짚퇴비 시용에서 출아율(出芽率)이 높았으며 볏짚퇴비 +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 처리구에 비해 초장(草長) 14.2cm 길었고 엽수(葉數) 33매, 주당(株當) 분기수(分技數) 3.4개 많아 지상부 생장률이 증가되었다. 지하부 생장량은 퇴비 + 3요소(要素) 처리구에 비해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에서 주근장(主根長) 2.1cm 길었고, 주근장(主根長) 0.8mm, 지근수(枝根數) 2매 많아 근(根) 비대효과(肥大效果)로 인해 건근(乾根) 수량(收量)도 볏짚퇴비 + 3요소(要素) 처리구(0.62MT/ha)에 비해 복합처리(複合處理)인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가 39%로 증수(增收)되었다. 3. 식물체 부위별(部位別) 무기성분(無機成分)이 잎에서는 유기물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뿌리에서는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가황(加皇), 석회(石灰), 고토(苦土) 함량이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가 가장 증가되었다. 또한 뿌리의 총 Saikosaponin 함량은 볏짚퇴비 +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 처리구 1.57%, 계분(鷄糞) + 버섯톱밥퇴비 처리구 1.64%, 버섯볏짚퇴비 처리구 1.66%, 계분(鷄糞) + 버섯볏짚 퇴비 처리구 1 71% 순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시호(柴胡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특성은 건근(乾根) 수량(收量) 근(根)의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총 Saikosaponin 함량과의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 PDF

축산농장의 악취 발생과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A Survey on Current State of Odor Emission and Control from Livestock Operations)

  • 김두환;이인복;최동윤;송준익;전중환;하덕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32
    • /
    • 2013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dor emission and control from 48 site of Hanwoo, dairy, swine and poultry farms in Korea. On-site complex odors assessment by the method of 6 step direct sensory evaluation and ammonia concentrations by portable gas detector on the boundary line of farms were evaluated and detected as 1.11 & 2.78 ppm, 1.67 & 2.56 ppm, 1.91 & 2.89 ppm, 1.8 & 2.4 ppm and 1.33 & 2.33 ppm, respectively. Almost of Hanwoo, dairy and poultry farms were nothing the complaints occurred for the last 2 years, however as 60% of swine farms were suffered odor complain. All of livestock operations were used the additives for improving the farm environment and spent the considerable costs for odor reduction. There were several plans almost farms, as a fortify maintenance, keep clean, tree planting, expansion facilities for manure treatment or odor reduction.

사료 제조에서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 이용과 가금 사료에서 효소의 처리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Fermentable Carbohydrates in Feed Manufacturing and in Enzyme of Poultry Feed)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48
    • /
    • 2006
  • 발효가 가능한 탄수화물을 이용하거나 효소 이용 및 사료가공 등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길은 닭의 분중 휘발성 유가물질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전분질의 소화는 가루사료를 (밀과 보리) 알곡으로 대치하게 하였다. 그러나 근위의 pH로 볼 때 사료의 종류나 형태는 연속성이 떨어진다. 펠렛으로 만든 사료는 사료 요구율이 $0\siml2%$ 증진된다. 전분질의 소화는 xylase를 첨가하였을 때 대사 에너지(ME) 가는 35% 증진 효과가 잇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분질의 이용과 전분질이 아닌 다당류(NSP)의 이용은 전분질을 포함한 알갱이 사료의 존재 즉 비 영양소 물질(ANF)의 포함 여부에 달려 있다. 사료 생산 기술의 증가는 $33^{\circ}C$에서 만들어지는 펠렛 사료에 이용될 수 있는 건조된 상태의 효소나 액체상태의 효소 생산 기법에 달려 있다. 수용성 NSP나 arabinoxylans 또는 beta-glucan 등은 부분적으로 효소 가격이 크기로 나누어지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적은 크기는 수분 흡수력이 감소되어야 하는데 만약 수분 흡수력이 지나치면 소화물에 수분이 너무 많아지게 되어 분에 수분 함량이 많아지며 사료 곡물 중에 비스코시티 현상이 생겨서 계란 껍질이 지저분해진다.

온실을 중심으로 토양 성분에 따른 세이보리의 생육현황에 대하여 (A Study on the Growth of Savor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Soil Inside a Green House)

  • 신경순;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96
    • /
    • 2021
  • Herb has been categorized as a special plants from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and used in different medical systems in different cultures. This research has classified soil into 6 kinds that have diverse elements to see to which various kinds of savory(satureja hortensis) adapt well, experimenting from sowing to flowering for around 13 weeks, and also divided indoor conditions to get the result below. In conclusion, growth status of savory depending on the kinds of soil suggest that in indoor conditions the savory if planted in ⑤ bed soil compounded with saprolite and poultry manure grew better than any other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status was bad in ① masato, ② clay, ④ bed soil mixed with saprolite, and ⑥ bed soil mixed with clay conditions. Though you can see the immediate effect of soil on the growth of savory, I'd like to reveal the details of how elements of savory operate in which kind of soil and outdoor conditions the goal of this research, in the next research.

유기물원이 다른 퇴비연용 밭토양에서 양분유실량 변화 (Change of Nutrition Loss of Long-term Application with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in Upland Soil)

  • 김종구;이경보;김재덕;한상수;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32-445
    • /
    • 2000
  • 본 연구는 퇴비연용 밭토양에서 유거 및 침투수에 의한 양분유실과 양분가용화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양토와 사양토를 공시하여 계분퇴비, 우분퇴비 분뇨잔사 및 식품오니퇴비등 4종을 사용하였다. 퇴비 시용량은 0, 40, $80Mg\;ha^{-1}$수준으로 처리하여 1994년부터 1997년도까지 4년간 시험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퇴비종류별 양분가용회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퇴비 4년연용한 토양을 배양시험한 결과 토양pH는 계분 및 우분퇴비연용은 에서 pH 6.1~6.8로 높아 졌고, 분뇨잔사시용은 pH 4.5~4.7로 무시용과 비슷하였다. 토양 EC는 배양초기에 가장 높은 후 급격히 떨어지다가 2주후부터는 일정수준을 유지하였고, 질소 무기화율은 $25^{\circ}C$조건에서 사양토는 39~76%였고 식양토는 16~48%였다. 퇴비연용토양에서 토양표면 양분 유실량은 퇴비시용량이 중가될수록 음이온이 양이온보다, 나지가 옥수수나 콩재배보다 많았다. 양이온 유실정도는 $K^+$ > $Ca^{2+}$ > $Na^+$ > $Mg^{2+}$ > $NH_4{^+}$순이었고, 음이은은 $SO_4{^{2-}}$ > $NO_3{^-}$ > $Cl^-$ > $PO_4{^{3-}}$ 순으로 많았다. 토성별 음, 양이온 지하용탈량은 사양토가 양토보다 1.7배정도 많았으며, $NO_3-N$는 퇴비 시용초기에 용탈량이 많았다. 퇴비종류별 용털량을 사양토조건의 분뇨잔사 시용구에서 제일 많게 유실되었으며, 옥수수재배는 무재배보다 58~82% 유실량이 감소되었다.

  • PDF

육계의 분뇨 배설량 및 분뇨 성분 조사 결과 (A Study on the Amount and Major Compositions of Excreta from Broilers)

  • 황보종;홍의철;정일병;강근호;박희두;서옥석;정완태;장성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7-163
    • /
    • 2009
  • 육계의 분뇨 배설량과 그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국립축산과학원 환경 조절 계사에서 1일령 육계 암수 각각 150수에서 매주 10수씩을 선별하여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수당 일일 암수 평균 분뇨 배설량(5주령)은 85.4 g이었으며, 출하일령(35일령)까지의 총 배설량은 2,900 g이었고, 계분의 평균 수분함량은 76.9%이었다. 분뇨(5~7주령)의 N, $P_2O_5$$K_2O$는 각각 1.19, 0.29 및 0.49%이었으며, 오염 물질 중 pH는 7.80, $BOD_5$ 42,134 mg/L, $COD_{mn}$ 52,668 mg/L, SS 106,699 mg/L를 나타냈다. 중금속 함량을 보면, Pb은 0.803 mg/kg으로 규제 농도인 150 mg/kg보다 크게 낮았다. Cd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As는 0.011 mg/kg으로 검출되었다. Hg은 0.002 mg/kg으로 규제농도인 2 mg/kg에 미치지 못하였다.

큰느타리버섯 배지재료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 (Studies for alternative material of media for Pleurotus eryngii)

  • 박진영;이재윤;김현태;김삼수;김성윤;김문옥;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8-100
    • /
    • 2006
  • 큰느타리버섯의 병재배 시에 생산 단가의 절감과 배지 다양화의 측면에서 대용할 수 있는 재료를 탐색하고 균사 생장률을 높일 수 있는 배지 조성을 찾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주재료(톱밥 수종), 첨가재료, 무기염류, 활성물질을 대체 첨가하여 큰느타리버섯의 균사 생장률을 비교하였다. 기본배지의 건비지를 대신하여서 감자전분, 야자박, 단백피 탈지대두분, 면실피, 계분을 비율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탈지대두분 2~8% 첨가와 계분의 2% 첨가는 기본배지보다 균사생장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본배지의 미송톱밥에 대해 활엽수 톱밥을 대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25.2%로 혼합할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무기염류 실험에서는 $CaCO_3$, 2~3%, $K_2CO_3$, 0.2%, $MgSO_4{\cdot}7H_2O$ 0.1%, $MnSO_4{\cdot}5H_2O$ 0.05%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균사생장에 효과적이었다. 활성 물질들은 그 비용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

  • PDF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土壤) 및 채소류중(菜蔬類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 조사(調査)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and Vegetables in the Plastic Film House)

  • 정구복;정기열;조국현;정병간;김규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2-160
    • /
    • 1997
  • 우리나라 전국 주요 시설재배지 토양을 표토 0-15cm와 심토 15-30cm 깊이로 구분하여 522점의 시료를 채취하고 중부지역에서 채소류 147점을 수확기에 채취하여 이들 토양 및 채소시료중에 함유된 Cd, Cu, Pb, Zn 및 As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중 0.1N-HCl 가용성 중금속의 평균함량은 카드뮴 0.208(0.027~0.605), 구리 3.69(0.18~31.37), 납 2.49(0.02~33.55), 아연 23.3(2.1~113.2), 비소 0.65(0.03~2.2)mg/kg 이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모두 '89년 조사한 일반 밭토양 자연함량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특히 카드뮴 및 아연함량이 시설재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설 경작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카드뮴, 구리 및 아연함량이 증가하였고 퇴비종류별로는 돈분퇴비 시용농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러나 시설재배지 토양의 중금속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함량수준으로 나타나 작물재배에 안전한 수준이었다. 채소 생체중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카드뮴 0.015~0.047, 구리 0.341~0.802, 납 0.080~0.356, 아연 1.08~8.04, 비소 0.021~0.059mg/kg 으로 나타나 카드뮴 및 납의 경우 EU의 채소류 식품검토안(Cd : 0.10mg/kg, Pb : 0.50 mg/kg)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 PDF

유기물원이 다른 퇴비연용이 밭토양의 물리성 및 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ng-term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Microflora of Upland Soil)

  • 김종구;이상복;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65-372
    • /
    • 2001
  • 본 연구는 밭 토양에서 종류가 상이한 퇴비 연용이 토양 중 물리적 특성과 토양 미생물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밭 토양 토성은 양토와 사양토를 공시하여 계분퇴비, 우분퇴비, 분뇨잔사 및 식품오니퇴비등 4종을 사용하였다. 퇴비 시용량은 0, 40, $80Mg\;ha^{-1}$ 수준으로 처리하여 1994년 1997년도까지 4년간 시험한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토의 용적밀도는 퇴비 무시용구가 $1.49Mg\;m^{-3}$인 반면에 퇴비시용구는 $1.07{\sim}1.32Mg\;m^{-3}$, 사양토는 무시용구 $1.25Mg\;m^{-3}$에서 시용구는 $1.00{\sim}1.20Mg\;m^{-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재배작물별 용적밀도변화는 옥수수재배는 나지와 비슷하였다. 퇴비시용시 유기물 분해미생물은 $5^{\circ}C$보다 $25^{\circ}C$ 조건에서 배양초기에 균수가 급속히 증가되었고, 토성별로는 양토에서 사양토보다 민감하게 증가되었다. 질소순환에 관련된 미생물의 변화는 암모니아 산화균은 배양초기에 많았고, 탈질균은 1~4주까지 증가되다가 다시 감소되었다. 토성별로는 암모니아 산화균은 양토에서, 탈질균은 사양토에서 $25^{\circ}C$ 조건에서 균수가 증가되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Digestive Parameters in an Indigenous Fat-tailed and a Conventional Dorper Sheep Fed on Maize Stover Crop Residue

  • Mwenya, B.;Wollny, C.;Blummel, M.;Banda, J.;Takahashi,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529-533
    • /
    • 2003
  • The intake, dry matter (DM) digestibility, total mean retention time (TMRT) and weight changes were investigated in four fat tailed and four Dorper sheep fed on a maize stover crop residue. Animals were subject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which were: 90, 135 and $180g\;DM/kgBW^{0.75}/day$ of chopped maize stover offered with urea, and in subsequent dietary treatments $180g\;DM/kgBW^{0.75}/day$ of stover supplemented with either dried bean husks or poultry manure. Although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fat tailed sheep had higher maize stover intake than the Dorper sheep when expressed per metabolic body weight. The DM intake and digesti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in both sheep breeds when the maize stover offer levels were increased from 90 to $135g/kgBW^{0.75}/day$. Dorper sheep had significantly (p<0.001) higher DM digestibility and longer total mean retention times for both the liquid and solid matter than the fat-tailed sheep. Fat-tailed sheep gained 4.75 kg while Dorper sheep gained 3.75 kg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 weight change per dietary treatment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maize stover and the type and amount of supplement consumed. The higher DM digestibility and longer total mean retention time in Dorper sheep shows that the breed has adapted to utilize the low quality roughage diets. An indigenous fat tailed, has the potential to ingest high volumes of fibrous feed and has higher voluntary intakes relative to its body size. The two sheep breeds are a valuable genetic resource in sub Saharan Africa that is characterized by long dry season with no readily available and affordable conventional feeds for small rumi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