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entilla freynian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rison of Reproductive Modes in Populations of Potentilla freyniana

  • Huh, Man-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3호
    • /
    • pp.225-229
    • /
    • 2007
  • The mating systems of natural populations of Potentilla freyniana in Korea were determined using allozyme analysis. The result suggests that P. freyniana is outcrossing as well as employing vegetative reproduction by stolon (self-fertilization rate, s < 0.5). The values of the inbreeding coefficient of eight populations in Korea varied from 0.244 to 0.331, with an average value of 0.274. For eight natural populations, multi-locus estimates of outcrossing (tm) was 0.603 across 13 polymorphic loci, with individual population values ranging from 0.530 to 0.652. The relatively low outcrossing rates of some populations could be attributed to extensive vegetative reproduction by stolon and the isolation of flowering mature plants. Although P. freyniana usually propagated by asexually-produced ramets, I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sexual reproduction occurred at a low rate because each ramet may produce terminal flowers. Although heterozygote excess was observed in some natural populations, most populations exhibited varying degrees of inbreeding and a heterozygote deficit.

한국내 세잎양지꽃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otentilla freyniana i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877-881
    • /
    • 2007
  • 전분 젤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한국내 분포하는 세잎양지꽃 8개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평가하였다. 종수준에서 효소내 다형현상을 나타내는 대립유전자좌위는 68.4%였다. 집단 수준에서 유전적 다양도는 유사한 생활사를 가진 초본류의 평균값에 비해 높았다. 전체 유전적 다양도는 조사한 8개 집단에 대해 0.190과 0.584사이에 있었으며 평균은 0.371이였다.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는 0.354였다. 집단간 분화정도는 비교적 낮았다($G_{ST}$ = 0.065). 고정지수 분석 결과 많은 집단과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이형접합체의 결핍이 있었다. 이는 세잎양지꽃은 줄기에서 꽃을 형성하여 종자번식을 하는 타가수분방식과 분지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영양번식을 영위할 수 있는 다양한 번식법을 가지고 있는 클론 식물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같은 집단에서 다양한 세대의 존재하여 내교잡(inbreeding)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간약 "진해초"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Jin Hae Cho')

  • 박종희;도진경
    • 생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8-187
    • /
    • 1994
  • Korean folk medicine 'Jin Hae Cho' has been used as a remedy for neuralgia and an invigorating drug after a childbirth in Korea.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been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Jin Hae Cho', studied on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ots of Potentilla species growing wild in Korea i.e. Potentilla chinensis Ser., P. cryptotaeniae Maxim., P. dickinsii Fr. et Sav., P. discolor Bunge, P. fragarioides L. var. major Maxim., P. freyniana Bornm., P. kleiniana Wight et Arnott, P. paradoxa Nutt., P. yokusaiana Makino and 'Jin Hae Cho' from Korea on Korean market. As a result, it was made clear that 'Jin Hae Cho' from Korea was derived from the roots of Potentilla chinensis Ser. and Potentilla discolor Bunge.

  • PDF

한국 민간약 "진해초잎"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Korean Folk Medicine 'Jin Hae Cho Ip')

  • 이준도;이유진;오종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35권3호통권138호
    • /
    • pp.215-228
    • /
    • 2004
  • The Korean folk medicine 'Jin Hae Cho Ip' has been used as a remedy for neuralgia and as an invigorating drug after a childbirth, etc in Korea.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Jin Hae Cho Ip', several species of Potentilla (Rosaceae) has been refired, but no pharmacognostical study has yet been performed in this regard.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the 'Jin Hae Cho Ip',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flets and petioles of Potentilla and Sibbaldia species growing in Korea, such as P. chinensis, P. cryptotaeniae, P. dickinsii, P. discolor, P. fragarioides var. major, P. freyniana, P. kleiniana, P. matsumurae, P. paradoxa, and S. procumbens,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in Hae Cho Ip' was composed of the leaves of P. Chinensis and P. discolor.

잣나무 식재림(植栽林)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I) - 하층식생(下層植生)에 대하여 - (Ecological Studies on Korean White Pine Forest (I) - On the Undergrowth Vegetation -)

  • 전상근;정현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1
    • /
    • 1971
  • 잣나무삼림(森林) 영급계별(令級階別)로 구분(區分)하고, 하층식생(下層植生)을 관대층(灌大層)과 관대층하(灌大層下)의 임상식물층(林床植物層)으로 구분(區分), 영급(令級)에 따른 이들의 종류조성(種類組成)을 조사(調査), 우점종(優占種)을 식별(識別)하고 구성종(構成種)의 현존량(現存量)을 측정(測定), 구성종(構成種)과 현존량(現存量)의 천이계열(遷移系列)에 있어서의 변화관계(變化關係)를 검토(檢討)했다. 1). 잣나무임하(林下)의 중요관대종(重要灌大種)은 Corylus heterophylla var. japonica이며 영급계별(令級階別) 식재림(植栽林)의 관대(灌大)의 우점종(優占種)은 아래와 같다. 5년생급계(年生級階) ; Quercus mongolica, Lespedeza Maximowiczi. 15년생급계(年生級階) ; Corylus heterophylla var. japonica, Lespedeza Maximowiczi. 25년생급계(年生級階) ; Corylus heterophylla var. japonica, Weigla subsesilis. 35년생급계(年生級階) ; Corylus heterophylla var. japonica, Maackia amurensis. 40년생급계(年生級階) ; Corylus heterophylla var. japonica, Morus bombcis. 2). 관대(灌大)의 높이 및 밀도(密度)는 주임목(主林木)의 영급상승(令級上昇)에 따라 감소(減少)한다. 3). 관대하(灌大下)의 임상식물(林床植物)의 우점종(優占種) 주임목(主林木)의 영급(令級)에 따라 아래와 같다. 5년생급계(年生級階) ; Arundinella hirta var. cilia, Miscanthus purpurascens. 15년생급계(年生級階) ;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Potentilla Freyniana. 25년생급계(年生級階) ; Physematium manchuriense, Viola xanthopetala, Rubus craegifolius, Polygonatum japonicum, Aster scaber. 35년생급계(年生級階) ; Rubus crataegifolius, Vicia unijuga var. typica. 40년생급계(年生級階) ; Rubus crataegifolius, Dioscorea japonica, Viola xanthopetala. 4). 관대하(灌大下)의 임상식물(林床植物)의 현존량(現存量)은 천이계열(遷移系列)에 있어서 잣나무림(林)의 영급상승(令級上昇)에 따라 감소(減少)되고 있으며 이는 임상식물(林床植物)의 높이, 밀도(密度)의 감소(減少)에 동등(同等)히 영향(影響)을 받고 있으며 식생종류조성(植生種類組成)의 변화(變化)에도 원인(原因)한다. 5). 관대하(灌大下)의 임상식물(林床植物)의 지하부대지상부(地下部對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의 비율(比率)은 임령(林令)의 상승(上昇)에 따라 증가(增加)하고 있다. 6). 관대하(灌大下)의 종류조성(種類組成)은 천이계열(遷移系列)에 있어서 잣나무림(林)의 영급상승(令級上昇)에 따라 양지성식물(陽地性植物)로부터 음지성식물(陰地性植物)로 변(變)해 가고 있다.

  • PDF

임도(林道) 절토사면(切土砂面)의 침입(侵入) 식생(植生)에 대한 계량(計量) 생태학적(生態學的) 분석(分析) (The Quantitative Ecological Analysis for Invading Vegetation on Forest Road Cut-slopes)

  • 김광택;김지홍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00
  • 임도 절토사면에서의 자연식생의 침입과정과 천이과정을 구명하고, 침입속도가 빠르며 경관상으로 우수한 향토 식물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93, '95, '97, '98년도에 개설된 임도에 각각 15개, 총 60개의 $1m{\times}1m$ 표본구를 설치하고 침입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토사면의 식생 피복률은 입지인자 중 토양경도, 사면경사도와 고도의 상관을 나타냈고, 피복률이 높을수록 침입식물의 종수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절토사면에서 목본류는 산딸기, 붉나무, 싸리, 호랑버들, 물오리나무, 소나무가 주요 우점수종으로 나타났고, 그중 산딸기는 열매로, 붉나무는 단풍으로 경관적 가치가 높았으며, 초본류는 고들빼기, 큰기름새, 큰까치수영이 모든 개설연도에서 우점도가 높았다. 고들빼기는 우점도가 높았을 뿐만 아니라 개화시기도 길었고 (5~10 월), 봄에는 세잎양지꽃, 고깔제비꽃, 여름에는 큰까치수영, 닭의 장풀, 돌콩, 미꾸리낚시, 달맞이꽃, 가을에는 넓은잎외잎쑥, 물봉선이 개화하면서 우점하였다. 3. 임도 개설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본류의 종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고, 초본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휴면형에 속하는 Th 생활형의 우점도는 임도 개설 초기에 높게 나타났으나, 그후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MM+M+N은 개설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Ch+H+G+Th+HH는 감소하였다. 5. 천이도는 '93, '95, '97, '98년도에 개설한 임도가 각각 359, 111, 97, 87로 임도 개설 연수가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