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tential Inundation Area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관측자료에 기반한 미래 해수위 예측 및 연안지역 침수위험면적 분석 - 부산시 해운대구 일대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Peak Water Level Based on Observed Records and Assessment of Inundation in Coastal Area - A Case Study in Haeundae, Busan City -)

  • 안새결;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45-456
    • /
    • 2017
  •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연안지역의 영향평가를 위해 부산시 해운대구 일대를 대상으로 해수위 예측모형과 미래 침수위험지역 분석을 수행하였다. 과거 평균해수위자료(1960-2016)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해수면상승 예측 모형과 불규칙 성분을 산정하고 파고자료(2012-2017)와 계산 조위값의 확률밀도함수와 종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수면상승, 불규칙 성분, 파고, 조위를 종합한 미래 최고해수위를 모의하였다. 이에 미래 1% 발생가능성 최고해수위는 2050, 2080, 2100년 2.3, 2.6, 2.8m로 나타났으며, 침수위험지역은 우동, 용호동, 송정동, 재송동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정량 대응을 위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Construction of Tsunami Inundation Map for Real-Time Quantitative Response)

  • 배재석;윤성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87-29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 실시간 정량 대응을 위해 발생원 위치 및 지진규모에 따른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관심지역에 지진해일 피해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발생원을 선정하고 지진규모에 따른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각 발생원별 지진규모별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동해안 임원항을 대상으로 일본 서안에 위치한 11개의 잠재 지진해일 발생원과 7개의 지진규모에 대하여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Dual-Drainage 개념에 의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Using Dual-Drainage Concept)

  • 이창희;한건연;노준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B호
    • /
    • pp.379-38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Dual-Drainage 개념에 의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함에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과 월류유량의 전파과정을 계산하는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하였다.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인 SWMM모형의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하는 연계모형의 경우 월류지점으로부터의 침수진행 과정을 잘 모의할 수 있으나, 월류발생이 끝난 시간에도 지형상의 영향으로 인하여 일부 침수유량이 일부지점에 계속 침수된 채 있는 등 지표침수유량의 배수과정을 제대로 모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침수지역에 대한 지표류 홍수 추적시 일부 침수유량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함 때 다시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재유입되는 양을 산정하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otential of Satellite SAR Imagery for Mapping of Flood Inundation

  • Lee, Kyu-Sung;Hong, Chang-Hee;Kim, Yoon-H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28-133
    • /
    • 1998
  • To assess the flood damages an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preventing future catastrophe, it is necessary to appraise the inundated area with more accurate and rapid manner.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data for mapping of flood inundated area in southern part of Korea. JERS L-band SAR data obtained during the summer of 1997 were used to delineate the inundated areas. In addition, Landsat TM data were also used for analyzing the land cover condition before the flooding. Once the two data sets were co-registered, each data was separately classified. The water surface areas extracted from the SAR data and the land cover map generated using the TM data were overlaid to determine the flood inundated areas. Although manual interpretation of water surfaces from the SAR image seems rather simple, the computer classification of water body requires clear understanding of radar backscattering behavior on the earth's surfaces. It was found that some surface features, such as rice fields, runaway, and tidal flat, have very similar radar backscatter to water surface. Even though satellite SAR data have a great advantage over optical remote sensor data for obtaining imagery on time and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analyze flood, it should be cautious to separate the exact areas of flood inundation from the similar features.

  • PDF

하천 수리구조물에 의한 제내지 침수모의 (The Inundation Simulation for Inland by River Hydraulic Structures)

  • 추태호;윤현철;노현석;윤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60-2468
    • /
    • 2014
  • 본 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단시간동안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국지성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잠재적인 침수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적합한 설계빈도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천설계기준을 살펴보면 배수문의 수문설계빈도는 20년 이상으로만 명시되어 그 설계빈도에 대한 기준이 상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외수를 고려한 제내지 침수모의가 수행되어 정량적 평가를 요한다. 내수침수모의는 보통 수리 수문학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설립된 하천관련 보고서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단시간에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하천의 중류 및 하류에 배수문이 설치된 5개소의 제내지를 대상으로 설계빈도에 따른 9가지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여 설계빈도 및 위치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부산 영도 해안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대책 연구 (A Study on Flooding Prevention Scheme due to Sea Level Rise at Young-do Coast in Busan)

  • 홍성기;강영훈;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09-418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우리나라 연안에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안에 대한 해수면 상승의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이 바다와 접해 해수에 의한 침수가 빈번하여 향후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부산의 영도 해안을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이 해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대책을 마련하였다. 먼저 잠재적 해수면 상승률을 바탕으로 CAD를 이용한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시뮬레이션결과를 바탕으로 침수범위와 재해위험 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피해 예상지역을 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침수특성에 따라 지구별로 세분하여 해당 지구에 적합한 대응전략을 수립하였다.

하천-제내지의 상세 지형자료를 이용한 수해방지대책 적용 (Application of Flood Prevention Measures Using Detailed Topographic Data of River and Lowland)

  • 이재영;한건연;금호준;고현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9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는 중앙 정부 및 지자체의 치수대책으로 인해 발생빈도는 감소하고 있으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피해규모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침수피해의 원인으로는 기후변화로 인한 치수시설의 계획빈도를 상회하는 강우와 같은 자연적 원인과 지역 개발에 따른 하천 공간의 잠식, 하류지역의 홍수소통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상류 유역의 관리상 문제 등 인위적인 원인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의 범람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하천-제내지 상세지형을 반영하여 침수피해가 발생한 당시의 상황을 수치모형을 통해 재현함으로써 대상지역의 제내지에 대한 여러 가지 수해방지대책 마련에 대한 효과를 사전에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지역은 2016년 10월 태풍 차바로 인한 하천수의 범람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한 태화강 지방하천 유역으로 강우-유출해석 및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통해 침수범위와 침수심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침수면적, 홍수도달시간 및 침수심이 모의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세한 지형자료를 적용하여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실시함으로써 하천수리해석의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수해방지대책 수립에 수치모형을 활용함으로써 홍수방재 및 침수피해 경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ULNERABILITY OF KOREAN COAST TO THE SEA-LEVEL RISE DUE TO $21^{ST}$ GLOBAL WARMING

  • 조광우;맹준호;윤종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19-225
    • /
    • 2003
  •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assess the long-term steric sea-level change and its prediction, and potential impacts to the sea-level rise due to the 21st global warming i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 in which much socioeconomic activities have been occurred. The analysis of the 23 tide-gauge data near Korea reveals the overall mean sea-level trend of 2.31 mm/yr.In the satellite altimeter data (Topex/Poseidon and ERS), the sea-level trend in the East Sea is 4.6mm/yr. Both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global average value. However, it is quite questionable that the sea-level trends with the tide-gauge data on the neighboring seas of Korea relate to global warming because of the relatively short observation period and large spatial variability. It is also not clear whether the high trend of altimeter data in the East Sea is related to the acceleration of sea level rise in the Sea, short response time of the Sea, natural variability such as decadal variability, short duration of the altimeter. The coastal zone of Korea appears to be quite vulnerable to the 21st sea level rise such that for the I-m sea level rise with high tide and storm surge, the inundation area is 2,643 km2, which is about $1.2\%$ of total area and the population in the risk areas of inundation is 1.255 million, about $2.6\%$ of total population. The coastal zone west of Korea is appeared to be the most vulnerable area compared to the east and south. In the west of the Korea, the North Korea appears to be more vulnerable than South Korea. In order to cope with the future possible impact of sea-level rise to the coastal zone of Korea effectively, it is essential to improve scientific information in the sea-level rise trend, regional prediction,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near Korean coast.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유역 내 침수피해 예측모형의 개발 (A New Model for Forecasting Inundation Damage within Watersheds -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 정경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9-1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유역 내 침수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수단으로써 인공신경망의 활용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유역 내 다양한 환경인자에 의한 침수피해 예측모형의 구축을 위해 108개 중유역을 대상으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강우량, 침수피해면적, 토지이용 등 총 27개의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총 49개의 데이터 세트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침수피해는 강우량과 같은 기상정보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유역환경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신경망 모형에 의해 R=0.92 수준에서 예측값과 관측값이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신경망은 입력값들과 대응된 출력값들을 알고 있는 경우 과거와 현재의 시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유역의 강우량에 따른 침수피해면적을 산정 할 수 있으며, 복잡하고 비선형적 역동성을 지니고 있는 유역 내 환경변화에 대한 예측모형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입력자료의 중요도를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기존 모형에서 다루어지는 매개변수중요도를 정량화 시킬 수 있어 다른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이나 보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피해예상지역을 고려한 홍수위험도 산정기법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Flood Risk Assessment by Flood Damage Area)

  • 홍승진;주홍준;김경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9-4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자원 관련 최상위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했던 홍수위험도 산정 기법인 홍수피해잠재능(PFD)와 홍수위험도지표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방법론 모두 치수위험성을 평가하는 항목이지만 자료 활용에 대한 문제점과 특정지역에 발생한 피해를 평균개념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항목별 분석을 위한 분석자료 및 방법의 개선, 2) 홍수범람예상지역을 홍수피해범위로 제한하여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기법의 개선 및 최근 제공되는 GIS 자료를 홍수피해예상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기존 분석기법과 개선된 방법을 CASE별로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