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operative vomiting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초

자가 통증조절장치를 이용하는 수술환자의 통증관리 실태 및 통증관리 비용분석 (Cost Analysis of Post Operative Pain Management for Surgical Patients using PCA)

  • 홍성정;이은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7-14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d compare various types of post operative pain management and the costs for pain management following 4 different types of surge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5 medical chart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billing databases of a tertiary hospital and analyzed using numbers, percentages, one way ANOVA, and Scheff$\acute{e}$ test. Results: For pain management, 10.5% of patients used PCA only, but the other patients combined other methods with PCA. The average length of PCA u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operation. Almost one third (32.9%) of patients experienced at least one of side effects due to analgesics used for pain management, with highest incidence being for nausea and vomiting. For patients who underwent a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34.7% used PCA less than 2 days due to side effects of the analgesics and the ratio of analgesia cost to total hospital cost and total pharmacy cost were highest compared to other opera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develop new strategies to more effectively manage postoperative pain to decrease incidences of side effects without increasing medical costs.

Effects of the addition of low-dose ketamine to propofol anesthesia in the dental procedure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 Hirayama, Akira;Fukuda, Ken-ichi;Koukita, Yoshihiko;Ichinohe, Tatsuy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3호
    • /
    • pp.151-158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combination of low-dose ketamine and propofol in deep sedation is clinically useful in controlling the behavior in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who are typically extremely noncooperative during dental procedures. Methods: A total of 107 extremely noncooperativ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 patients were analyzed. In all patients, deep sedation was performed using either propofol alone (group P) or using a combination of propofol and 0.2 mg/kg or 0.4 mg/kg ketamine (groups PK0.2 and PK0.4, respectively).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the order of insertion of nasal cannula into the nostril, attachment of mouth gag, and mouth cleaning and scaling. The frequency of patient movement during the procedures, mean arterial pressure, heart rate,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recovery time, discharge time,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were examined. Results: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the frequency of patient movement upon stimulation during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of propofol and scaling. Conclusion: For propofol deep sedation, in contrast to intravenous injection of propofol alone, prior intravenous injection of low-dose ketamine (0.4 mg/kg) is clinically useful because it neither affects recovery, nor causes side effects and can suppress patient movement and vascular pain during procedures.

장막 침윤이 없는 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적 화학 요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 -중간 보고-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for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Patients without Serosal Invasion -Preliminary Report-)

  • 김용호;김병식;이창환;김완수;육정환;오성태;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4호
    • /
    • pp.221-227
    • /
    • 2001
  • Purpose: We have carried out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to compare survival benefit and side effect among thre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eutic regimens in serosa-neg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317 cases were recognized as serosa negative and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at operating room. Out of them, 172 cases were excluded because of various reasons and 135 cases were analyzed finally; Group A 36 cases, Group B 49 cases, Group C 50 cases. Group A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FP combination therapy, group B with MF combination therapy and group C with oral $UFT^{(R)}$ (mixture of Tegafur and Uracil) for one year.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Results: $88.9\%$ of Group A, $83.7\%$ of Group B and $90.4\%$ of Group C received adequate chemotherapy. The complication rates of Group A ($44.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20.4\%$) and group C ($24.0\%$)(P<0.05). Most frequent complications were nausea and vomiting. The 3-year survival rates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92.2\%$ and $89.9\%$ respectively (Group A: $96.6\%,\;87.8\%$, B: $90.3\%,\;87.7\%$, C: $95.7\%,\;93.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 among the three groups (P>0.05). Conclusion: This study might suggest that the survival benefit of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for gastric Pseudomonas aeruginosa, and therefore it may be a useful adjunct tool for detec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 PDF

요추부 수술 후 경막외 무통방법과 지속적 정맥 주입에 의한 통증 조절의 효과 비교 (Effects of Continuous Intravenous Analgesia Versus Epidural Analgesia after Lumbar Spinal Surgery : A Prospective Study)

  • 오규성;신문수;길현주;허륭;최훈규;안정용;권성오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1394-1398
    • /
    • 200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non-randomized p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continuous intravenous nalbuphine-ketorolac-droperidol(CIA) versus continuous infusion of epidural morphine-bupivacaine(CEA) for pain control after lumbar spinal surgery. Methods : Twenty-one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including laminectomy, fusion with fixation were assigned to receive an intravenous bolus of nalbuphine 5mg and ketorolac 15mg, followed by a continuous infusion of nalbuphine 25mg, ketorolac 105mg, and droperidol 5mg mixed with normal saline 98cc(2cc/hr). Twenty patients received a bolus infusion of morphine 2mg and 0.125% bupivacaine 8cc followed by a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of 100cc 0.125% bupivacaine and morphine sulfate 8.0mg(2cc/hr). Pain score was measured on a visual analogue scale(VAS). It's safety and efficaci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ntinuous infusion of epidural morphine-bupivacaine, which was reported previously by same authors. A continuous infuser was used to give epidural morphine-bupivacaine and intravenous nalbuphine-ketorolac-droperidol. Results : In general, mild pain, pain less than 3 VAS scores, was observed postoperatively from 30minutes to 72hours in CEA group, and from 6 hours to 72 hours in CIA group. The early postoperative pain was controlled easily in 6 hours in CEA group, compared to CIA group(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72 hours on pain scores between CEA and CIA groups after 6-12hours of pain managements. Pruritus, nausea and vomiting, and urinary retention were more frequent in CEA group. Conclusion : CIA and CEA are considered effective methods i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s. However, adequate doses in early intravenous infusion and continuous intravenous analgesia with nalbuphine-ketorolac-droperidol will be needed for better control in early postoperative pain with less side effects.

  • PDF

상복부 수술후 진통을 위한 경막외 Buprenorphine의 효과 (Efficacy of the Epidural Bupren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 신감진;최훈;한영진;김동찬;송희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13-219
    • /
    • 1993
  • 수술후 통증관리에 있어서 경막외 buprenorphine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에 있어서 morphine 2 mg 및 4 mg, buprenorphine 0.15 mg, 및 0.3 mg을 경막외로 각각 투여하여 혈압과 맥박의 변화, 작용발현기간, 작용 지속 시간, 부작용의 발생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혈압 및 맥박의 유의한 변동은 초래하지 않았다. 2) 작용 발현은 morphine 2 mg군에서는 약물 주입후 30분에, 나머지 군에서는 15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진통 지속 시간은 morphine 2 mg 군에서는 $10.79{\pm}3.64$시간이었고, morphine 4 mg군에서는 $21.13{\pm}4.36$시간, buprenorphine 0.15 mg군에서는 $15.19{\pm}3.12$시간, buprenorphine 0.3 mg군에서는 $33.94{\pm}3.97$시간이었다. 4) 부작용의 발생은 buprenorphine군에서 오심, 구토가 많았으며, 졸림증이 현저하게 많았고, 소양감과 배뇨 곤란은 morphine군에서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수술후의 통증관리에 있어서 경막외로의 buprenorphine주입은 유용한 방법이며, 경막 외 morphine에 비해 장점과 단점을 아울러 포함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Morphine과 Buprenorphine의 지속적 정주에 의한 술후 통증 억제효과의 비교 (Effects of Morphine and Buprenorphine Intravenous Infusion for Postoperative Pain)

  • 백선기;소상윤;한영진;최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1호
    • /
    • pp.78-83
    • /
    • 1994
  • 수술후 통증치료에 morphine과 buprenorphin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orphine과 buprenorphinec을 단독 투여하거나(1, 2군) buprenorphine과 ketorolac을 반량씩 혼합하여 지속적으로 정주(3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군에서 모두 혈압과 맥박의 의의있는 변화는 초래하지 않았다. 2) Visual analogue scale으로 평가한 진통 발현은 각군에서 모두 비슷하였다. 3) Visual analogue scale과 Prince Henry Scale로 평가한 진통효과는 morphine군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buprenorphine군과 buprenorphine+ketorolac의 반량 투여군에서는 비슷하였다. 4) 부작용의 발생은 1군과 2군에서 비슷하였으나 3군에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지속적 정주에 의한 술후 통증의 억제에 있어서 buprenorphine은 morphine을 대치할 수는 있으나 morphine보다 우수하지는 못한 것으로 사료되며, buprenorphine 사용시는 ketorolac을 병용하여 사용량을 줄염으로써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erector spinae plane block after mastectomy and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with a tissue expand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Park, Sukhee;Park, Joohyun;Choi, Ji Won;Bang, Yu Jeong;Oh, Eun Jung;Park, Jiyeon;Hong, Kwan Young;Sim, Woo Seo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1호
    • /
    • pp.106-113
    • /
    • 2021
  •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nalgesic efficacy of an erector spinae plane block (ESPB) in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IBR) with a tissue expander. Methods: Adult women undergoing IBR with a tissue expander after mast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alone (group P) or IV-PCA plus ESPB (group E). The primary outcome was the total amount of opioid consumption during 24 hours postoperativel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ary outcomes were patient satisfaction, pain score at rest and on shoulder movement using numerical rating scale, incidences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and a short form of the brief pain inventory (BPI-SF) at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between the groups. Results: Fifty eight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At 24 hours postoperatively, total opioi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less in group E than in group P (285.0 ± 92.0, 95% confidence interval [CI]: 250.1 to 320.0 vs. 223.2 ± 83.4, 95% CI: 191.5 to 254.9, P = 0.005). Intraoperative and cumulative PCA fentanyl consumption at 3, 6, 9, and 24 hours were also less in group E than in group P (P = 0.004, P = 0.048, P = 0.020, P = 0.036, and P < 0.001, respectively).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in group E (6.9 ± 1.8 vs. 7.8 ± 1.4, P = 0.042). The incidences of PONV was similar. Conclusions: The ESPB decreased postoperative opioid consumption and increased patient satisfaction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after IBR with a tissue expander after mastectomy.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일회 주사 내전근관 차단술 및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요법과 도관 삽입 지속적 내전근관 차단술의 임상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Outcomes of a Single Injection Adductor Canal Block with the Concomitant Use of Transdermal Buprenorphine and 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고영철;하동준;박준형;이우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1-417
    • /
    • 2019
  •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시행 후 일회 주사 내전근관 차단술(single injection adductor canal block, SACB), 지속적 내전근관 차단술(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CACB), 그리고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사용을 통한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TKA 후 통증 조절을 시행한 12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SACB를 단독 시행한 I군(41명), SACB 및 경피성 buprenorphine 10 ㎍/h를 병합 사용한 II군(44명), CACB를 시행한 III군(40명)으로 분류하여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통증 조절 지표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사용하였으며, 술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째 침상 안정 상태에서의 VAS (VAS-Rest)와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중 VAS (VAS-CPM), 그리고 술 후 48시간 동안 정맥주사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를 위한 약물(부토판, 트리돌, 케토락)의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기능 개선 지표로 술 후 48시간 동안 오심 및 구토 증상 횟수,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 최대 슬관절 굴곡 범위와 최대 자가 보행 거리, 그리고 총 재원 기간을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VAS-Rest는 술 후 12시간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와 VAS-CPM, PCA 총 사용량에서 II, III군이 I군보다 유의하게(p<0.05)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오심 및 구토 증상 횟수, 최대 슬관절 굴곡 범위와 자가 보행 거리, 총 재원 기간은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SACB 및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사용은 초기 통증 조절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카테터로 인한 문제가 없고, 사용의 편의성 및 신 기능에 대한 안전성이 있기 때문에 TKA 후 유용한 통증 조절 방법이 될 수 있다.

신생아 선천성 회장 폐쇄증 (Congenital Ileal Atresia in Newborn)

  • 허영수;김창식;신손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35-41
    • /
    • 1994
  • 저자들은 1988년 10월부터 1994년 2월까지 최근 5년 4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일반외과에 입원하여 수술로서 확진된 선천성 회장 폐쇄증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임상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8명중 남아 4명, 여아 4명으로 남녀비가 동일하였으며, 입원시 연령은 생후 3일내가 6례로 75%를 차지하였다. 2. 선천성 회장폐쇄의 원인으로는 Type IIIa가 3례(37.5%)로 가장 많았으며, Type I 2례, Type II 2례, Type IIIb 1례 이었으며, Tape IV는 l례도 없었다. 3. 8명의 환아중 미숙아는 1명으로 저체중아였으며, 나머지 7명은 만삭아였다. 산모의 임신중 병력상 특별한 이상은 없었으며, 형제중 발생순위는 2째 아이에서 4례로 가장 많았다. 4.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복부팽만과 구토로 7례에서 나타났고, 구토는 담즙성이었다. 5. 진단은 임상증상과 단순복부 촬영상 팽만된 장관 및 air-fluid level등을 보고 응급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2례에서는 대장조영술도 함께 시행 하였다. 6. 8명의 환아중 7명에서 장절제후 단단 문합술을 시행하였으며, 1명에서는 고위쇄항으로 횡행 결장조루술도 함께 시행 하였다. 7. 동반된 기형은 Type IIIa 1례에서 고위쇄항, 좌측신 무발육증, 우측 다낭신 및 후복막낭종등을 동반하였다. 8. 수술후 합병증은 8례중 3례(37.5%)에서 패혈증이 발생 하였으며, 술후 사망한 경우도 이들 패혈증을 동반한 3례 이었다. 나머지 5명은 현재까지 특별한 문제없이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다.

  • PDF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Duodenal Obstruction)

  • 허영수;서보양;권굉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39-48
    • /
    • 1990
  • 저자들은 1986년 7월부터 1990년 6월까지 만 4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 입원하여 수술로서 확진된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임상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16명중 남아 11 명, 여아 5명으로 남아에서 2.2배 호발하였으며 입원시 연령은 생후 1개월 이내가 13예로 81%를 차지하였다. 2. 선천성 십이지장폐쇄의 원인으로는 중장 이상회전이 8예(50%)로 가장 많았으며, 환상 췌장 6예, 제1형 십이지장폐쇄와 wind-sock기형이 각 1예였다. 그리고 환상췌장 1예에서 장이상회전이 공존하였다. 3. 총 16명중 미숙아 2명, 저체중아 6명이었으며, 2예에서 산모의 양수과다증이 존재하였다. 형제중 발생순위는 초산아가 9예로 가장 많았다. 4.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구토가 15예로 거의 전례에서 나타났고 이중 12예가 담즙성이었다. 증상발현으로 전체환자의 56%가 생후 첫주내에 입원하였다. 5. 진단은 주증상과 단순복부촬영상 특징적인 쌍기포 소견을 봄으로 가능했으며 부분폐쇄가 의심되는 경우는 중장염전과의 조기감별을 위해 상부위장관 조영술 및 대장조영술을 시행하였다. 6. 중장이상회전 8예에서는 Ladd 술식 6예, Ladd술식에 장절제문합 1예, 염전을 풀고 Ladd술식 1예를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8예에서는 십이지장십이지장 문합술 4예, 십이지장공장 문합술 2예, Ladd술식에 십이지장십이지장 문합술 1예, 십이지장 격막 제거술 1예를 시행하였다. 술후 고농도 영양주입법은 5예에서 시행하였다. 7. 동반된 기형은 6명의 환자에서 10예가 발견되었으며, Down's 증후군 및 십이지장 전방 문맥이 각 2예로 가장 많았다. 8. 수술합병증은 총 5예(51%)로 창상감염 2예, 폐염 1예, 장폐쇄증 2예였다. 술후 사망하였던 경우는 단 한명도 없었으며 16명 모두 현재까지 특별한 문제없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