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harvest treatm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7초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가 돌나물의 저장 중 미생물 성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acetic acid and UV-C irradiation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the quality of sedum during its storage)

  • 성기현;강지훈;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1-586
    • /
    • 2014
  • 수확 후 돌나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1% acetic acid 침지 세척과 $10kJ/m^2$ UV-C 조사를 병합처리하여 $10^{\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색도, 비타민 C 함량,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돌나물에 병합처리 후 총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3.28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에서는 4.22 log CFU/g 감균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6일 동안 유지되었다.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돌나물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또한 비타민 C 함량과 항산화능은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와 대조구 모두 감소하였으나,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acetic acid와 UV-C 병합처리가 수확 후 돌나물의 저장, 유통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hurdle technology라고 판단된다.

수확 전후 칼슘-키토산 처리에 따른 다래의 저장성 변화 (Effect of Pre- or Post-harvest Treatment of Calcium-chitosan on Fruit Quality of Hardy Kiwifruit)

  • 신미희;박영기;강동일;김철우;김세현;황용수;김진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61-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래 '대성' 과실의 수확 후 품질 보구력과 저장성 증진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칼슘-키토산을 수확 전후 처리 하였다. 수확 전 처리는 8월 20일, 25일, 28일 3회에 거쳐 과실에 살포 처리하였고, 수확 후 처리는 8월 31일 수확한 건전한 과실을 선별하여 침지 처리하였다. 처리한 과실은 1℃와 17℃ 온도 조건에 저장 하여 시기별로 가용성 고형물 함량, 산함량, 경도, 호흡률, 에틸렌발생량, 감모율을 조사하여 과실 품질을 평가하였다. 두 온도 조건에서 수확전후 칼슘-키토산 처리는 과피에 대한 코팅효과에 의해 감모율 억제효과를 보였다. 17℃ 저장조건에서는 감모율 이외의 품질지표에서는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 저장조건에서는 감모율 이외에도 경도와 호흡률에서 칼슘-키토산 수확 전후처리가 과실 후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고분자 키토산 처리가 딸기 과실의 품질과 부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Molecular Weight Chitosan on the Quality and Decay of Strawberry Fruits)

  • 황용수;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2호
    • /
    • pp.77-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딸기에 대한 고분자 키토산의 수확 전후 처리가 과실의 품질과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키토산 처리는 수확한 딸기의 잿빛곰팡이병 억제, 과실의 경도 증진 및 표피의 광택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명확하였다. 그러나 0.2% 농도 키토산 4회 누적적인 처리도 식물 자체에 생리적 장해를 일으키지 않으며 내적 품질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키토산 처리의 효과는 물리적 손상이 없을 경우 우수하였으며 손상을 받은 과실에서는 명확한 선도유지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확 후 처리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았으며 수확 전 처리 효과를 증대시키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키토산은 화학적 방제를 배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과실의 경도 증진, 부패 억제를 통한 품질 향상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절화 프리지아의 수확후 생리 및 수명연장 (Postharvest Physiology and Prolonging Vase Life of Cut Freesia (Freesia refracta))

  • 권혜진;황문주;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61-364
    • /
    • 1999
  • 본 실험은 절화 프리지아의 수확 후 생리 및 화학물질의 처리효과를 규명하고, 프리지아의 수명연장과 품질증진을 위해 수확 후 재배자가 바로 한번만 처리해도 소비자가 손쉽게 고품질의 꽃을 감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crose 처리로 개화율의 증진과 생체중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BA와 8-HQS는 절화의 수분흡수를 좋게 해주어 품질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STS 2mM을 30분 전처리후 sucrose 10% + BA 10ppm + 8-HQS 300ppm 용액에 20시간 처리한 경우가 절화 프리지아의 수명연장과 품질향상에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혼합용액의 전처리로 수명을 24.7% 연장시켰고, 개화율(35.4%), 화경, 생체중, 수분흡수량,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에틸렌 생성과 호흡은 감소시켰다.

  • PDF

Influence of Gibberellic Acid on α-D-Galactosidase Activity in the Grape Berry

  • Kang, Han-Chul;Lee, Seon-Hwa;Kim, Jong-Bu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53-58
    • /
    • 2001
  • Glycosidase activities in the grape flesh (Marguerite) were assayed, and the order of activity was marked as follows: ${\alpha}$-D-galactosidase>${\alpha}$-D-mannosidase>${\alpha}$-D-glucosidase>${\beta}$-D-galactosidase>${\beta}$-D-glucosidase. Of these glycosidases, ${\alpha}$- and ${\beta}$-D-galactosidases were prominently expressed by the treatment of gibberellic acid, resulting in 56 and 238% increase of activity, respectively. Most of ${\alpha}$-D-galactosidase was found in the flesh texture, and the activity increase by gibberellic acid occurred mostly in this tissue. The increase in ${\alpha}$-D-galactosidase activity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gibberellic acid treated,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Gibberellic acid affected the content of total protein in the grape flesh, 49% increase by 75 ppm treatment. Above this concentration, higher gibberellic acid level did not influence the protein expression. Specific activity of the ${\alpha}$-D-galactosidase still increased, showing 24% increase in activity. Grape flesh subjected by gibberellic acid (100 ppm) resulted in the increased activity against a natural substrate, stachyose, showing 55% increase in activity from the grapes treated with 100 ppm of gibberellic acid. Other natural substrates, such as melibiose and raffinose, were also considerably hydrolyzed, and the extent was similar to that of stachyose hydrolysis. During postharvest storage, ${\alpha}$-D-galactosidase activity in the grape flesh increased by 51% after 20 days and then declined slowly.

  • PDF

삼백초의 종근 저장온도, 용토 및 처리물질에 따른 생육특성 (Growth Effect by Storage Temperature, Soil Type and Treatment Chemical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 최재후;성은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8-463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rootstock. Methods and Results: Rootstocks of S. chinensis were stored in either soil or vermiculite that had been treated with a control treatment, diluted wood vinegar (50 or 100-fold), DF-100 (50-fold), or 1-naphthylacetamide and at $5^{\circ}C$ or $15^{\circ}C$. After 8 weeks, the stored roots were planted in the field, and both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were observed after transplantation. The greatest number of leaves ($5.60{\pm}0.80$) was produced by root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100 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5^{\circ}C$. Meanwhile the maximum plant height ($6.92{\pm}0.78cm$) at 30 d after transplanting was observed for rootstock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the 100 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15^{\circ}C$, whereas the maximum plant height at 60 d after transplanting ($26.46{\pm}0.71cm$) was observed for rootstock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the 100-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5^{\circ}C$. Therefore, the storage of rootstocks in soil treated with the 100-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temperatures at or below $5^{\circ}C$ was most effective, and it can be used to prevent the decay of roots during the postharvest management of S. chinensis rootstock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mong the parameters examined, the storage of roots in soil that had been treated with the 100-foil dilution of wood vinegar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growth of S. chinensis.

Transcriptome profiling and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H2S response in grapevine tissue cultured plantlets

  • Ma, Qian;Yang, Jingli
    • Genes and Genomics
    • /
    • 제40권12호
    • /
    • pp.1287-1300
    • /
    • 2018
  • Hydrogen sulfide ($H_2S$), a small bioactive gas, has been proved functioning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alleviation of abiotic stresses, which including promoting seed germination, accelerating embryonic root growth, regulating flower senescence, inducing stomatal closure, and defending drought, heat, heavy metals and osmotic stresses etc. However, the molecular functioning mechanism of $H_2S$ was still unclea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transcriptional differences and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the $H_2S$ responses. In details, 4-week-old plantlets in tissue culture of grapevine (Vitis vinifera L.) cultivar 'Zuoyouhong' were sprayed with 0.1 mM NaHS for 12 h, and then transcriptome sequencing and qRT-PCR analysis were used to study the transcriptional differences and functional genes involved in the $H_2S$ respon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650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after $H_2S$ treatment, in which 224 genes were up-regulated and 426 genes were down-regulated. The GO enrichment analysis and KEGG enrichmen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up-regulated genes after $H_2S$ treatment focused on carbon metabolism, biosynthesis of amino acids, and glycolysis/gluconeogenesis, and the down-regulated genes were mainly in metabolic pathways, bio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plant hormone signal transduction. Analyzing the transcription factor coding genes in details, it was indicated that 10 AP2/EREBPs, 5 NACs, 3 WRKYs, 3 MYBs, and 2 bHLHs etc. transcription factor coding genes were up-regulated, while 4 MYBs, 3 OFPs, 3 bHLHs, 2 AP2/EREBPs, 2 HBs etc. transcription factor coding genes were down-regulated. Taken together, $H_2S$ increased the productions in secondary metabolites and a variety of defensive compounds to improve plant development and abiotic resistance, and extend fruits postharvest shelf life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P2/EREBPs, WRKYs, MYBs, CABs, GRIP22, FERRITINs, TPSs, UGTs, and GHs etc.

Oxytetracycline 수한주입에 의한 대추나무 비짜루병 방제 (Control of Witches'-broom Disease of Jujube with Oxytetracycline Injection)

  • 나용준;;문동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7-110
    • /
    • 1976
  • oxytetracycline HCI의 대추나무 비짜루병 방제효과를 구명할 목적으로 병든 대추나무(15-20년생, 흉고직경 20cm 내외)에 oxytetracycline HCI의 1,000 p.p.m. 수용액을 1회에 500ml씩 시기별로 각각 1회(4월), 2회(4월, 7월), 30(4월, 6월, 8월) 그리고 대추 수확후 1회구(10월)로 나누어 수간에 주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간주입당년에 있어서는 시기별 주입회수에 관계없이 1회 이상의 수간주입으로 비짜루병징이 완전히 억제되고, 정상엽이 자라나면서 개화결실하였다. 2. 2회이상 주입한 나무와 10월에 1회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 가을까지도 병징억제효과가 지속되었으나 4월에 1회 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에 부분적으로 경미한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3. oxytetracycline HCI에 의한 병징억제효과는 수간주입부위의 윗쪽에서만 나타났으며, 그 이하부위와 약액이 주입되지 않은 측지에서는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4. oxytetracycline HCI의 5.000 p.p.m. 수용액을 주당 30ml씩 주입하였을 때는 전혀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 PDF

몇가지 생리활성 저해제가 금어초 절화의 굴지성 반응에 미치는 효과 (Chemical Suppression of Gravitropic Bending Response in Flower Stalks of Snapdragon (Antirrhinum majus L.))

  • 김용삼;김동헌;황영수;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67-571
    • /
    • 1997
  • 절화의 수확 후 저장 및 유통과정 중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 중의 하나인 굴지성 반응에 의한 화경의 구부러짐을 막아내기 위하여 CDTA, $CoCl_2$ 및 ortho-vanadate의 절화 굴지성 반응 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절화의 굴지성 반응억제제 처리는 절화줄기 기부 혹은 굴지성 반응 부위를 시험용액에 담구는 두가지 방법에 의거 실시하였다. 절화기부를 저해제 용액에 1시간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P-type ATPase 저해제인 vanadate만 굴지성 반응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절화의 굴지성반응 활성부위를 직접 계면활성제 (Triton X-100, 0.01%)가 녹아있는 저해제 용액에 침지하였을 경우 CDTA 및 vanadate처리구에서도 상당한 정도의 굴지성 억제를 관찰 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CoCl_2$ 처리구에서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CoCl_2$ 농도에 따른 굴지성 반응 억제효과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 mM 전후의 농도에서 거의 완벽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적절한 계면활성제와 $CoCl_2$를 이용한 처리액을 준비하여 활성부위에 직접처리하는 방법을 개선한다면 산업적 응용성이 높은 절화의 굴지성 억제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냉동 딸기의 비가열 전처리 기술 개발 및 최적 냉동조건 수립 (Non-thermal Treatment of Postharvest Strawberry and Establishment of Its Optimal Freezing Condition)

  • 강지훈;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55-60
    • /
    • 2015
  • 수출용 냉동딸기 제조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이산화염소수와 acetic acid 병합처리를 최적 비가열 전처리 기술로써 적용하여 -20, -70, $-196^{\circ}C$로 냉동한 후 미생물 수,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냉동방법 및 세척 처리에 따른 색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비타민 C 함량은 $-70^{\circ}C$ 냉동에서 35.33 mg/100 g FW로 가장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drip loss도 $-70^{\circ}C$ 냉동이 14.3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역시 $-70^{\circ}C$ 냉동이 -20, $-196^{\circ}C$ 냉동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세척처리는 비타민 C 함량, drip loss 및 관능평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냉동딸기에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1% acetic acid를 병합 처리하여 냉동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냉동 전과 같이 병합처리 된 딸기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장성이 높은 수출용 냉동딸기 생산을 위해서는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를 이용한 $-70^{\circ}C$에서의 급속냉동 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냉동방법이며, 냉동 처리만으로는 미생물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냉동 전 비가열 전처리를 통해서 냉동딸기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