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Infectious Disorde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Associations of unspecified pain, idiopathic pain and COVID-19 in South Korea: a nationwide cohort study

  • Kim, Namwoo;Kim, Jeewuan;Yang, Bo Ram;Hahm, Bong-Ji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5권4호
    • /
    • pp.458-467
    • /
    • 2022
  • Backgrou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unspecified or idiopathic pain associated with COIVD-19.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incidence rates of unspecified pain and idiopathic pain in patients with COVID-19 for 90 days after COVID-19 diagnosis. Methods: A propensity score matched cohort was used, including all patients with COVID-19 in South Korea, and analyzed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ose who had not had tests for COVID-19 at all. Unspecified pain diagnoses consisted of diagnoses related to pain included in the ICD-10 Chapter XVIII. Idiopathic pain disorders included fibromyalgia,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headaches, chronic prostatiti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typical facial pa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interstitial cystitis. Results: After match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each group was 7,911. For most unspecified pain, the incidences were higher in the COVID-19 group (11.7%; 95% confidence interval [CI], 11.0-12.5) than in the control group (6.5%; 95% CI, 6.0-7.1). For idiopathic pain, only the headach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in the COVID-19 group (6.6%; 95% CI, 6.1-7.2) than in the control group (3.7%; 95% CI, 3.3-4.1). However, using a different control group that included only patients who visited a hospital at least once for any reasons, the incidences of most unspecified and idiopathic pain were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COVID-19 group. Conclusions: Patients with COVID-19 might be at a higher risk of experiencing unspecified pain in the acute phase or after recovery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had not had tests for COVID-19.

Post-COVID-19 pain syndrome: a descriptive study in Turkish population

  • Topal, Ilknur;Ozcelik, Necdet;Atayoglu, Ali Timuci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5권4호
    • /
    • pp.468-474
    • /
    • 2022
  • Background: The new type of corona virus has a wide range of symptoms. Some people who have COVID-19 can experience long-term effects from their infection, known as post-COVID conditions. The authors aimed to investigate prolonged musculoskeletal pain as a symptom of the post-COVID-19 condition.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OVID-19 in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20 and March 2021. Patient records and an extensive questionnaire were used to obtain relevant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ospitalization history, comorbidities, smoking history, duration of the pain, the area of pain, and the presence of accompanying neuropathic symptoms. Results: Of the diagnosed patients, 501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the participants, 318 had musculoskeletal pain during COVID-19 infection, and 69 of them reported prolonged pain symptoms as part of their a post-COVID condition which could not be attributed to any other cause. The mean duration of pain was 4.38 ± 1.73 months, and the mean pain level was 7.2 ± 4.3. Neuropathic pain symptoms such as burning sensation (n = 16, 23.2%), numbness (n = 15, 21.7%), tingling (n = 10, 14.5%), stinging (n = 4, 5.8%), freezing (n = 1, 1.4%) were accompanied in patients with prolonged musculoskeletal pain. Conclusions: Patients with COVID-19 may develop prolonged musculoskeletal pain. In some patients, neuropathic pain accompanies it. Awareness of prolonged post-COVID-19 pain is crucial for its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항GT1a 및 항GM1강글리오시드항체 동시 양성을 보인 길랭-바레증후군과 급성파종뇌척수염의 병발 (Co-occurrence of Guillain-Barré Syndrome and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with Dual Positive of Anti-GT1a and Anti-GM1 Antibodies)

  • 이주영;유진혁;강동국;김예림;윤별아;김종국;배종석
    • 대한신경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1-214
    • /
    • 2017
  •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DEM) and Guillain-$Barr{\acute{e}}$ syndrome (GBS) are both rare post-infectious neurological disorders. The co-existence of these conditions has often been reported despite of low incidence. We describe a 20-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acute flaccid paralysis and encephalopathy. The patient showed reversible MRI lesions suggesting ADEM. This case showed anti-GT1a IgG and anti-GM1 IgM antibodies positivity. We suggest that certain immunogenicity within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may share a common autoimmune process during the disease course.

코로나19 감염과 그 이후의 정신신체증상 (Psychosomatic Symptoms Following COVID-19 Infection)

  • 박선영;류신혜;임우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72-78
    • /
    • 2023
  • 연구목적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 정신신체증상을 파악하고 장기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선정하고, "COVID-19", "psychosomatic" 등의 검색어를 활용하였다. 정신신체증상에 대한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포함하여, 총 16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결 과 코로나19 급성 감염과 관련된 정신증상으로는 불안, 우울, 신체증상 등이 보고되고 있다. 장기간 지속되는 포스트 코로나증후군의 증상으로는 흉통, 피로 등이 보고되었고, 이와 관련된 정신신체증상의 발생 빈도는 10%-20%로 파악되었다. 감염병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여성, 노인, 정신과적 기왕력이나 동반 정신질환 등의 요인이 관련을 미친다. 전신염증, 자가면역, 자율신경계의 이상반응 등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결 론 코로나19 감염 이후 발생하는 정신신체증상은 삶의 질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증상에 대한 정신과적 이해와 접근은 예방과 치료에도 중요하다.

정신건강사회복지 전문가의 비대면 정신건강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상담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the Development and counseling Experience of Non-face-to-face Mental Health Mobile Service Platform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expert)

  • 이솔지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3-70
    • /
    • 2022
  •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정신건강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신개념의 전문적인 정신건강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상용화시켜 새로운 도전을 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의 실제경험을 질적연구방법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는 정신건강 이슈에 직접 노출되어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치료적 개입 수준을 요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가진 대중들 또한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둘째,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하고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팬더믹 상황에서 모바일을 활용한 다양한 정신건강 서비스 플랫폼을 선호하는 대중들이 많아 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전 세대에서 가족문제, 스트레스, 대인관계, 직업 등에서의 정신건강 관련 이슈들을 많이 호소하고 있고 이와 같은 문제들이 우울이나 불안, 중독 및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의 정신병리와 연관되어 자해나 자살사고와 같은 또 다른 정신건강 문제들과 잣은 빈도로 언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청소년들이 다양한 정신건강관련 이슈들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과 무엇보다 자해 및 자살사고와 같은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들을 호소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문적인 정신건강 서비스를 전달하는데 있어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온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과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역량을 갖춘 정신건강전문가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