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arenting Attitud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초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또래애착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on Emotion Problem)

  • 고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3-79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on Emotion Problem. The study is based on data from first wave of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an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2,098 1st grade junior middle school students. To measure the variables, this study used such scales as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self-esteem scale, and peer attachment scale and emotional problem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indicated that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produced a good fit but, no direct effect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peer attachment. The self-esteem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eer attachment, emotion problem. The peer attachmen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 problem but,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 problem.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박일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539-548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중 2017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 1,26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0.0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과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부모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두 변수 사이에 조절효과는 없었다. 향후,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향상을 위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추가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 장여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29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에 거주하는 미취한 자녀를 둔 어머니 20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척도(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양육효능감척도(최형성 정옥분, 2001), 양육태도척도(배문주, 2005)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분석,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일상생활장애가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상생활장애는 거부적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상세계지향성은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모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 정서문제, 학습무기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Emotional Problems, and Academic Helplessnes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유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97-211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 정서문제, 학습무기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학교 1학년 2,59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변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21.0으로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보았으며, AMOS 21.0으로 변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습무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는 정서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문제는 학습무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습무기력 사이에서 정서문제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받은 청소년의 정서는 그들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정서문제를 단순히 다른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요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룰 수 있음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a Mother's Guilty Conscience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 박희진;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7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종일제 어린이집에 다니는 243명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죄책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7.0 for Window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t-test,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모학력과 모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의 차이로는, 전문대졸 이하의 학력인 어머니보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고, 취업모가 비취업모보다 긍정적 양육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양육죄책감으로 나타났다.

성적 성숙도, 부모양육태도, 성적 성숙 불안이 초등학교 여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xual Maturation, Parenting Attitude and Maturity Fear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Girls)

  • 조헌하;문소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329-33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xual maturation, parenting attitude, maturity fear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girl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Methods: Participants were 128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from 3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Resul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related to eating rate, eating breakfast, frequency of late-night snacks and main communicator on pubertal developmen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turity fear and father's parenting attitude (strictn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attitude and father's parenting attitude (intimacy). Maturity fear, father's parenting attitude, eating breakfast, and main communicator on pubertal develop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girls in elementary school.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girls, programs including coping with maturity fear, supportive parenting of father, diet education,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mother on pubertal development should be developed.

혈우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Attitude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Hemophilia)

  • 조결자;강현숙;김원옥;지은선;송영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95-20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ing attitud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is parenting attitud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hemophilia.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9 mothers of children with hemophilia (under 18 years of age) who were registered members of the Korea Hemophilia Founda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other-Infant Attachment Scale, Maternal Guilt Scale and Parenting Attitud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parenting attitude was 3.02 (total possible score=4). By subcategories, achievement attitude was the highest (3.45). Of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attitudes, mother-child attachment, maternal guilt and self-esteem account for 45.6%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attitud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hemophilia were positive. As mother-child attachment and maternal guilt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in predicting parenting attitude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nterventions that will increase mother-child attachment and decrease maternal guilt.

  • PDF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Participa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Value of Children)

  • 심혜숙;신건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99-408
    • /
    • 2018
  • 본 연구는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3-5세 자녀를 둔 아버지 247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경험, 자녀가치, 양육태도, 양육참여 정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Sobel Ta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가족 경험과 자녀가치 중 정서적 자녀가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자녀가치 중 정서적 자녀가치가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버지의 긍정적 자녀가치 형성을 위한 다각적 고찰과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공동양육자로서의 아버지에 대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아동기 외상경험과 성인기 양육태도 및 신경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hildhood Adversity Withadulthood Parenting Attitude and Neuroticism)

  • 박수빈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3-107
    • /
    • 2014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adversity and parenting attitude and neuroticism in adulthood. Methods : Forty nine women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and completed Early Trauma Inventory-Short Form (ETI-SF). We compared scores on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Neuroticism of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childhood adversity. Results : Compared to women without childhood adversity, women with childhood adversity showed more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and higher Depression and Self-Consciousness scores on Neuroticism domain of NEO-PI. Total ETI-SF scores and emotional abuse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ng attitude scores on the MBRI and BDI scores. Physical abuse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ng attitude scor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jecting attitude scores on the MBRI, Neuroticism scores on the NEO-PI, and BDI score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adversity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state in adulthood. For girls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 early intervention is needed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neurotic temperament and rejecting parenting in adulthood.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특성 (Parenting Characteristics between Parents of Gifted and Ordinary Children)

  • 박혜원;김윤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33-456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특성(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에서 양육태도,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의 차이가 있었는데, 영재아동의 부모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각각의 집단에서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특히 양육스트레스는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와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각 집단에서 양육태도에 미치는 양육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영재아동집단에서는 배우자훈육일치가, 일반아동집단에서는 양육스트레스, 배우자훈육일치가 양육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