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deltoide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4초

Phyllactinia guttata (Wallr. ex Fr.) Lév에 의(依)한 포플러흰가루병(病) (Powdery mildew of Populus spp. caused by Phyllactinia guttata(Waller. ex Fr.) Lév)

  • 이종규;김경희;이창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4-59
    • /
    • 1982
  • 10월(月) 중순(中旬)경, 충청남도(忠淸南道)와 강원도임업시험장(江原道林業試驗場)(대전(大田), 춘천(春川)) 묘포장 구내(構內)에서 흰가루병(病)에 감염(感染)된 포플러 도입종(導入種), Populus euramericana, P. deltoides, P. del${\times}$P. max의 여러 clone에서 채취(採取)한 병원균(病原菌)을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依)하여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Populus spp.에서는 P. tomentosa Carr.에서만 보고(報告)되어 있는 흰가루 병균(病菌)인 Phyllactinia guttata(Wallr. ex Fr.)로 동정(同定)되었고 Populus spp.에서 Phyllactinia gutata에 의(依)한 흰가루병(病)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報告)되었다. 발병상황(發病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P. deltoides R-89에서 가장 심하게 발병(發病)되었다.

  • PDF

톱밥과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의 재배 (Cultivation of Pholiota adiposa by Use of Sawdusts and Agricultural By-product Substrates)

  • 이상선;이정우;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72-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검은 비늘버섯을 유용한 식용버섯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톱밥 및 다양한 농산부산물을 기질로 하여 버섯재배를 실시하였으며, 기질의 혼합비가 버섯재배 및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톱밥을 이용한 버섯재배에서 수종별로는 미루나무가 795 g으로서 가장 많은 버섯이 생산되었으며, 아까시나무가 중간정도, 상수리나무가 3수종 가운데 가장 적은 양이 생산되었다. 3수종의 톱밥을 30% 및 50% 비율로 혼합한 배지에서 아까시나무톱밥의 혼합으로 많은 버섯 생산을 결과하였는데, 아까시나무톱밥 70%+미류나무톱밥 30%가 265 g의 버섯을, 아까시나무톱밥 50%+미류나무톱밥 50% 조합에서는 228 g의 높은 버섯생산량을 나타냈는데 대하여, 상수리나무톱밥이 혼합되면 버섯생산량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톱밥 혼합 배지에서 아까시나무는 부재료로서 매우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농산부산물의 경우에도 버섯의 증수효과를 결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검은비늘버섯의 재배에 톱밥, 특히 아까시나무 및 농산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잎의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에 따른 오존에 대(對)한 미류나무(Populus deltoides) 클론간(間) 감수성(感受性) 비교(比較) (Comparing of Clonal Sensitivity of Populus deltoides to Atmospheric Ozone with Use of Visible Foliar Injury)

  • 이재천;김인식;여진기;구영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10-18
    • /
    • 2001
  • 오존 환경에 클론간 감수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미류나무(Populus deltoides Marsh.) 10클론을 walk-in type인 4개의 chamber에 대조구, 50ppb, 100ppb, 150ppb 등 4가지 처리로 하루 8시간씩 21일간 계속하여 노출한 후 조기 낙엽율과 잎의 가시적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조기 낙엽율은 처리전과 비교할 때 저농도에서 고농도 순으로 처리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50ppb 처리구에서는 50% 이상의 높은 낙엽율을 보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는 대조구와 50ppb 처리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ppb 처리구에서는 피해잎 출현율(LA)은 17.3%, 피해면적(AA)은 6.5%로 본당 전체 피해율(LAA)은 1.6%로 나타났고, l50ppb 처리구에서는 피해잎 출현율 34.1%, 피해면적 17.5%로 전체 피해율 7.4%를 보였다. 잎의 가시적인 피해현상이 나타난 100ppb와 150ppb 처리구에서는 클론간에 피해의 차이를 보여 수종내 클론간의 감수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오존 환경에 대한 잡종 포플러 묘목의 가스 교환과 생장에 관한 연구 (Ozone-environmental Effects on Gas Exchange and Growth of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Seedlings)

  • 우수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39-244
    • /
    • 1997
  •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clones were fumigated with ozone. Fumigation was applied for 6 to 8 hours each day for approximately 3 months at ozone concentrations of 0.090 to 0.115 ppm using by open-top chambers. Growth and biomass of hybrid poplar seedlings were reduced by ozone exposure. Mean percentage of falling leaves in ozone-treated plant was 6 times higher than that of charcoal-filtered plant. Among physiological responses, rate of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initial Rubisco activ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edlings grown in ozone environment compared seedlings grown in charcoal-filtered air. All these physiological results supported that biochemical process to be a key feature to understand reduction in photosynthesis.

  • PDF

미류나무 분화조직중 세포벽다당류의 화학적 성상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Wall Polysaccharides in Differentiating Xylem of Populus deltoides M.)

  • 엄태진;박윤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26-32
    • /
    • 1998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ifferentiating xylem of Populus deltoides M.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from sapwood. The cell wall polysaccharides were extracted sequentially from a differentiating xylem and sugar composition was analyzed with G.L.C, H.P.L.C and gel chromatograpy. The pectin substance and hemicellulose are rich in the cell wall of differentiating xylem. The $H_2O$ extract polysaccharides from differentiating xylem were composed with xylose-glucose residues which seem to be xyloglucan and a pectin. The arabinogalactan and the mannan were extracted with $Na_2CO_3$ solution and also the xylan was extracted with KOH solution. Sugar composition of each fractions in gel filteration of purified $H_2O$ polysaccharide suggests that the xyloglucan can be extracted with $H_2O$ from differentiating xylem.

  • PDF

Xyloglucan in the Differentiating Xylem of the Populus deltoides M.

  • Eom Tae-Jin;Park Soung-Bae
    • 펄프종이기술
    • /
    • 제37권5호통권113호
    • /
    • pp.25-34
    • /
    • 2005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differentiating xylem of Populus deltoides M.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sapwood. The cell wall polysaccharides were extracted sequentially from adifferentiating xylem and fractionated with gel chromatography. The sugar composition of each fraction was analyzed with G..C and H.P.L.C. The cell wall of the differentiating xylem is rich with the pectin substance and hemicellulose compared with that of sapwood. The water-extracted polysaccharides from the differentiating xylem were composed mainly of xylose and glucose residues. The sugar composition of some of the fractions in the gel filtration of purified $H_{2}O$ polysaccharide suggest that xyloglucan was extracted with $H_{2}O$ from differentiating xylem. Also, we can supposed that the purified $H_{2}O$ polysaccharide might be xyloglucan from the spectrometric data(IR and NMR) of purified $H_{2}O$ polysaccharide.

간척지 시험림에서 3년생 포플러 클론의 생육특성 및 적응능력 (Growth Characteristics and Adaptability of Three-Year-Old Poplar Clones in a Reclaimed Tidal Flat)

  • 여진기;신한나;김현철;우관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17-23
    • /
    • 2011
  • 간척지에 식재된 포플러 10클론을 대상으로 생육특성 및 적응능력을 평가하였다. 시험림 토양의 전기전도도(EC)는 0.51 dS/m로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Na^+$, $Ca^{2+}$$Mg^{2+}$ 함량은 일반 토양에 비해 각각 10.0배, 3.4배 및 1.5배 높았으며, 유기물과 총 질소 함량은 각각 22.9배, 23.0배 낮았다. 식재 후 3년째 포플러 클론의 평균 생존율은 88%로 양호하였으며, Eco28, I-476, Dorskamp 클론이 생존율 100%로 가장 우수하였고, 97-19, Suwon 클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 클론의 평균 수고와 흉고직경은 각각 4.8 m와 3.6 cm로 나타났으며, 전체 10클론 중 Dorskamp 클론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장은 각각 5.9 m 및 5.0 cm로 가장 우수하였다. 간척지 환경에서 조기낙엽과 병해충 등 가시적 피해는 97-19 및 Dorskamp 클론이 가장 적었으며, Suwon 및 I-476 클론은 피해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생존율, 생장, 가시적 피해를 대상으로 평가한 간척지 적응능력은 Dorskamp 클론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Suwon 클론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