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lar speci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압축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ssive Capacity of Yellow Poplar Skin-timber)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33-343
    • /
    • 2011
  • 백합나무(yellow poplar)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이 매우 뛰어나고 오존흡수율도 뛰어나 저탄소 녹생성장 시대에 적합한 수종이다. 속성수인 백합나무는 구조용 부재로의 성능은 약간 부족하지만 가구재나 내장재, 합판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한 수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를 이용하여 대단면 스킨팀버를 개발하고 압축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용도 개발을 위해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정각형 스킨팀버는 소재에 대해 56.3%의 잔존 강도를 보여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원통형 스킨팀버의 경우 잔존면적율이 25%임에도 불구하고 소재에 대해 50% 가까운 압축 성능을 나타내어 가구용 뿐만 아니라 대단면 재료로써 다양한 쓰임새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정각형과 원통형 모두 Brooming or end rolling이 주요 파괴모드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splitting 파괴 모드도 나타났다. 잔존면적률이 큰 정각형 스킨팀버의 압축성능이 원통형 스킨팀버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간에 압축성능에 있어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대로 혼용하여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해석 모델은 실제 압축성능 실험과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치수에 대한 수치해석 모델 적용을 통해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다양한 용도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elampsora 잎녹병에 대한 포플러 클론의 저항성 변이 (Variation in Resistance of Poplar Clones to Melampsora Leaf Rust)

  • 우관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1-175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 있는 자생포플러, 도입포플러, 교잡종포플러 15개 클론 삽목묘의 잎녹병에 대한 감수성을 규명하고 저항성 클론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개체별 잎녹병 피해도는 감염된 잎을 경, 중, 심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점수를 부여한 후 한 나무당 감염된 잎의 비율로서 추정하였다. 실험에 포함된 15개 포플러 클론들 중 Dorskamp, 봉화 1, 현사시 3이 한국에서 만연하고 있는 Melampsora 잎녹병균에 저항성이 높은 클론으로 선발되었는데 이들 중 봉화 1과 현사시 3은 포플러 6개 절(section)중 Leuce 절에 속하고Dorskamp는 Aigeiros 절에 속한다. 특히 Dorskamp는 외관상으로도 잎녹병에 감염된 잎이 현저히 적어 포플러잎녹병 저항성 품종으로 추천할 만한 클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ropagation by Leafy Stem Cuttings Containing Xylem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 Hak Gon, Kim;Seong Hyeon, Yong;Hyung Ho, Kim;Myung Suk,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49-255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the proliferation of hybrid poplar (P.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an excellent biomass species. It was found that to collect the cuttings of Bonghwa1, it was necessary to use the main stem rather than the axillary branch. Stem growth by green-wood cutting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length of the collected cuttings increased, but the survival rate was low. Therefor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was attempt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cuttings. In th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method, 4 leaves were included in the cuttings, and especially, cuttings were performed using cuttings containing 2-4 cm xylem parts. Leafy stem cutting increased root growth and the number of stems, as well as the survival rate of hybrid poplar clone Bongwha1 compared to green-wood cuttings. The root growth of the leafy stem cutting poplar was better as there was more xylem part. Using two-year-old nursery stocks, the leafy stem cutting was used to produce about 66 cutt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ss propagation of high-quality nursery stocks.

목공예적 가치평가를 위한 수종의 국내산 목재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me Unused Domestic Woods Designed for Woodcraft Materials)

  • 장재혁;권성민;권구중;박병호;;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31-136
    • /
    • 2010
  •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qualities of the unused woods designed for art materials, Yellow pine, Pitch pine, Suwon poplar, Platanus and Cherry grown in Korea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study.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hardness, roughness, and abrasion of the woods were examined. Among the five species, Cherry wood showed the highest density in green, air-dried and oven-dried conditions. Hardness of Cherry wood was higher than those of Suwon poplar and Platanus. In softwoods, Pitch pine showed greater hardness than Yellow pine. Yellow pine and Platanus had the highest values of wood surface roughness. Abrasion value of cross,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s was the highest in Yellow pine and Suwon poplar. It has been concluded from the experiment that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hardness, roughness, and abrasion of the wood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suitability for woodcraft material.

양돈분뇨 처리에 따른 수목의 질소저장 및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 (Estimation of Nitrogen Storage Potential and Aboveground Biomass of Tree Species Treated with Liquid Pig Manure)

  • 김현철;여진기;신한나;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715-721
    • /
    • 2011
  • 본 연구는 시험림에 양돈분뇨를 처리하여 수목의 지상부 biomass 및 질소저장 능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공시수종은 8개의 포플러(Dorskamp, 72-30, 72-31, Bonghwa1, Eco28, 62-10, Suwon, 97-18) 및 버드나무 클론(131-27) 그리고 기타 4수종(Liriodendron tulipifera 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and W.C.Cheng, Quercus palustris $M{\ddot{u}}nchh.$, Acer okamotoanum Nakai)이다. 지상부 biomass 구성 비율은 줄기, 가지, 잎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부 biomass의 부위별 질소함량은 잎, 가지, 줄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은 양돈분뇨 처리구의 모든 수종 및 클론들이 평균 ha당 30 ton, 무처리구가 ha당 16 ton으로 나타나 양돈분뇨 처리구가 높았으며 양돈분뇨 처리구에서 Dorskamp 클론의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이 ha당 48.3 ton으로 가장 높았다. 수목의 질소저장 능력은 양돈분뇨 처리구의 모든 수종 및 클론들이 평균 ha당 159 kg, 무처리구가 ha당 90 kg으로 나타나 양돈분뇨를 처리한 수종들의 질소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orskamp 클론이 ha당 286.5 kg의 질소를 저장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Dorskamp 클론이 양돈분뇨 처리에 적합한 클론으로 나타났지만 양돈분뇨에 대한 내성 및 피해 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돈폐수처리시 포플러의 수액이동과 생장반응 (Sapflow Change and Growth Response of Poplar Species under Swine Wastewater Irrigation)

  • 이으뜸;우수영;여진기;구영본;전승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40-747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을 이용한 양돈폐수 제거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두 종류의 포플러(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과 Populus euramericana)를 양돈폐수 관수를 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에(총 14개월)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는 현사시(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보다 1.8배 많은 양의 수액이동을 하였다. 총 이동한 수액의 양은 각각 이태리포플러가 4,628L, 현사시가 2,538L였다. 수액이동 활동이 계절에 따라서 두 수종 모두 달라지는 결과를 얻었다. 기온과 일사량이 높을 때 수액의 이동 또한 활발해지고, 기온과 일사량이 낮을 때 수액이동 활동이 낮았다. 두 수종 모두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10월말 이후에 수액이동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수액이동량과 상대습도와의 관계를 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한 결과 특히 이태리포플러의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액이동과 광합성능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태리포플러는 광합성률의 증가와 급격한 수액이동을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서 현사시는 광합성률과 수액이동의 증가율이 낮았다.

황산 및 수산화나트륨처리가 낙엽송과 백합나무의 주요 화학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luted H2SO4 and NaOH Treatment on Chemical Composition of Larch and Yellow Poplar)

  • 이수민;이아람;안병준;김용식;양인;조성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58-3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산 및 알칼리 처리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주요 화학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_2SO_4$와 NaOH를 각각 1.0 wt%와 2.0 wt% 수용액으로 제조한 후 국내 주요 수종인 백합나무와 낙엽송에 상온에서 72시간 침지 처리하였다. 리그닌, 주요 구성당, 원소분석 등 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화학적 처리에도 수종에 따라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백합나무는 산 처리에 민감한 변화를 보이는 반면에 낙엽송에서는 알칼리 처리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두 수종 모두에서 glucose보다는 헤미셀룰로오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바이오매스의 에너지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H/C와 O/C 비율을 이용한 Van Krevelen 다이어그램에서는 산 또는 알칼리 처리 종류에 관계없이 수종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오매스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최적화된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정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목재펠릿과 같은 고형 바이오연료 생산의 경우 바이오매스 내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 함량 변화로 인하여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척지 성토지 식재 포플러의 SCB액비 처리에 따른 클론별 생장특성 (Effects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on Growth Characteristic of Poplar Clones in a Reclaimed Land Mounding Soil)

  • 박정현;여진기;구영본;이원우;김현철;박치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8-323
    • /
    • 2008
  • 간척성토지에서 SCBLF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80일 동안 SCBLF 처리 후 포플러의 클론별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엽면적은 SCBLF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6% 증가하였다(P<0.05). 엽록소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5%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엽면적의 경우 Suwon, Clivus, 72-30, Dorskamp, 97-19서 처리구와 대조구간 통계적 차이가 있었고 (P<0.05), 엽록소 함량은 97-19에서 유의성을 나타났다(P<0.01). 잎의 T-N함량은 P<0.01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클론별로는 97-19, I-476, Suwon, 72-30이 P<0.05, Clivus가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은 SCBLF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20%, 41% 증가하였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수고생장은 Clivus, 72-30, Suwon에서(P<0.05) 흉고직경생장은 Clivus, Eco28, Dorskamp,72-30, 72-31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특히 현사시(Clivus, 72-30)의 경우 잎의 엽면적, T-N함량,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CBLF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거나 우수하였다.

Decay Efficacies of Plywoods Manufactured by ACQ-treated Veneers of Domestic Softwood and Hardwood Species

  • Suh, Jin Suk;Lee, Hyun Mi;Hwang, Won Jung;Hwang, Sung Wook;Lee, Dong Heub;Park, Sang Bum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3-237
    • /
    • 2014
  • The eco-friendly preservatives such as ACQ or CUAZ have been used in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these days. In this study, the decay efficacies of ACQ treatmen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domestic veneer species, concentration of ACQ, weathering test, adhesive type, and fungus type. In case of veneer species, hinoki cypress and yellow poplar showed the highest and lowest decay resistance, respectively. And the decay resistance appeared to be greater in plywoods bonded by resorcinol resin-bonded plywood and non-weathering treated plywood than polyurethane resin-bonded plywood and weathering treated plywood.

  • PD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opulus caspica L. × P. deltoids L 62/154 Using in vitro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 Ali, Jafari mofidabadi;Mansooreh, Kamandloo;Hamid, Selamt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197-201
    • /
    • 2017
  • Populus. caspica L. is an Iranian indigenous poplar species which natural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part of country. Unfortunately, overuse has removed many of the stems of better form, so that natural stands now usually appear small and crook. Therefore genetic variation for selection of new superior clone of this species is needed. Conventional hybridization system is currently used to induce genetic variation in poplar species but incompatibility barriers have been observed between them. In vitro ovule embryo culture was used to overcome incompatibility obstacle for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opulus caspica L. with Populus deltoids L.62/75. Female flowers of Populus caspica L. have artificially been pollinated with pollen grain of P. deltoides 62/75 in one direction using twig and pot crossing system. Ovaries at different ages (7, 14 and 21 days after pollination) were disinfected through 70% ethanol for 1 minute, 5% of sodium-hypochlorite solution for fifteen min followed by three time rising with sterile distil-water. Isolated ovaries were then transferred to MS hormone free medium containing 30 and 60 g/L sucrose for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two factorial experimental desig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of embryos for development and germination at ${\alpha}=0.01%$. Highest embryo germination (45%) was observed from 21 days old ovar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S culture media containing 30 and 60 g/L for percentages of ovary-embryo germination and number of germinated embryo per ovary at ${\alpha}=0.05%$. Fourteen percentage of embryo germination obtain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60 g/L sucrose, while only 35% of isolated ovaries were able to germinate in MS containing 30 g/L sucrose. Induced plantlets in 4 cm height were transferred into pots containing soilless (1:1:1 peat, per lit and vermiculite) medium for acclimatization. After successful acclimatization, plants were delivered to nurs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