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plar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에서의 포플러 모자이크 바이러스 검출(検出) (Detection of Poplar Mosaic Virus in Korea)

  • 라용준;이창근;여운홍;황재우;심상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2-33
    • /
    • 1980
  • 1980년(年) 9월(月), 수원(水原) 임목육종연구소(林木育種硏究所)의 포플러묘포(苗圃)에 식재(植栽)되어 있는 Populus deltoides 클론중(中)에서 잎에 모자이크병징(病徵)을 나타내는 개체(個体)가 수본(數本) 관찰(觀察)되었다. 모자이크병(病) 반조직(班組織)의 즙액(汁液)을 dip법(法)에 의(依)해 2% 인산(燐酸)텅스텐으로 Negative염색(染色)하여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검경(検鏡)한 결과(結果), 외국(外國)에서 포플러 모자이크 바이러스로 보고(報告)된 것과 같은 크기를 가진 길이 660~670nm되는 바이러스잎자(粒子)가 다수(多數) 관찰(觀察)되었다.

  • PDF

내후성 활엽수종인 아까시나무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수피의 추출성분 (Extractives of the Wood of Black Locust and the Bark of Poplar as Decay-Resistant Hardwood Tree Species)

  • 배영수;함연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52-61
    • /
    • 2000
  • 아까시나무와 현사시나무를 채취, 건조하고 아세톤-물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물 분획으로 분류하고 동결건조하여 갈색 분말로 조제하였다. 각각의 분획은 메탄올-물 및 에탄올-헥산의 혼합용액으로 Sephadex LH-20 칼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아까시나무의 목질부 추출성분은 (+)-leucorobinetinidin과 같은 flavan 화합물과 robtin, dihydrorobinetin 및 robinetin 등의 flavanonol 화합물을 포함하며 현사시나무의 수피 추출성분은 (+)-catechin과 naringenin, eriodictyol, sakuranetin, aromadendrin 및 taxifolin 등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 그리고 살리신 유도체인 salireposide 및 소량의 aesculin과 쿠마린산 등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esculin은 현사시나무의 수피 조성분에서는 아직 우리 나라에서 보고되지 않았다. 단리된 페놀성 성분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NMR 및 FAB-MS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단판 적층성형 학생용 책상.의자의 제조적성 (Feasibility of Manufacturing Desk and Chair with Curved Veneer Lamination)

  • 서진석;박종영;한기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9-65
    • /
    • 2005
  • As physical condition of students improv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human body-friendly desk and chair for students. In this study, desks and chairs were manufactured with curved veneer lamination under high frequency heating and pressing, using ten wood species such as Japanese red pine, Korean pine, pitch pine, Japanese larch, yellow poplar, black locust, oak, radiata pine, beech, and birch. The performance of these product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high frequency heating, the turned lamination of veneers with full size sheet ($3{\times}6\;feet$) prepared by rotary lathe peeling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making the members of desk top, leg frames of desk and chair. Bending strengths of desk tops were relatively greater for yellow poplar, black locust and red pine,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beech and birch. Bending strengths of desk legs were classified into greater species group (red pine, yellow poplar, larch) and lower species group (radiata pine, Korean pine, pitch pin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ir legs in parallel direction to the lamination were greater in black locust and larch.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between outer and inner gap at the top and drawer bottom of desk top were rather larger for the laminations of birch and beech, and less for those of yellow poplar and pitch pine, showing greater stability of open drawer space. In results, yellow poplar, larch, pitch pine and red pine showed good appearance and strength properties at the curved veneer lamination. Accordingly, it was believed that these domestic woods were able to substitute for birch which was being imported for the use of veneer-laminates type furniture.

  • PDF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를 이용한 브리켓의 제조 (Briquetting from Japanese larch and Hyunsasi poplar)

  • 한규성;김연일;문경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9
    • /
    • 2012
  • 바이오매스로부터의 고밀화연료는 북미와 유럽에서 신재생에너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를 피스톤 프레스를 이용하여 브리켓을 제조하였으며, 연료적 특성 및 고밀화 특성을 밝히고자 압력, 가압시간, 수종 및 목분 크기가 브리켓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110~170 MPa의 압력을 가해 제조된 일본잎갈나무와 현사시나무 브리켓의 4주간 경과 후의 밀도는 0.66~0.94 g/$cm^3$이고, 적정 가압시간은 12초이며, 제조 압력이 증가하면 브리켓의 밀도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본잎갈나무 브리켓이 현사시나무 브리켓보다 밀도가 컸으며, 목분의 크기가 클수록 브리켓의 밀도가 컸다.

포푸라와 일본잎갈나무의 집성재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the Laminated Wood Composed of Poplar and Larch)

  • 조재명;강선구;김기현;정병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25-31
    • /
    • 1974
  • 포푸라와 일본잎갈나무는 속성조림 수종으로 적극 장려되고 있으나 구조용재로서 저재질인 까닭에 그 이용도가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이용도 증진과 수요의 안정화를 위하여 대량으로 소비되는 일반 건축용재로 이용할 수 있는 형질의 개량과 강도 증진을 목적으로 임업시험장에서 1967년부터 포푸라와 일본잎갈나무의 집성재 제조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연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포푸라와 일본잎갈나무의 접착, scarf 접착성능과 실대형통직, 만곡 집성재의 제조조건 및 이 수종 구성집성재 제조에 의한 포푸라재의 집성강도 증진과 lamina 형질이 집성 강도에 마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접착제 Resorcinol Plyophen #6000에 의한 미류(Populus deltoides)와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의 단일 수종, 이수종 접착성능, 방부처리, 미류의 접착성능과 미류와 일본잎갈나무의 scarf 접속 정착성능 및 방부처리, 마류의 scarf 접착성능을 구명한 결과 1.1 Block 전단 및 안장선단 시험에 의한 접착성능은 평균 목파율이 65%로 우수하였고, 미류는 촉단면이 경단면보다, 일본잎갈나무는 경단면이 촉단면 보다 접착성이 양호하였다(표 1, 2참조). 1. 2 방부제 Na-PCP는 resorcinol 수지 접착제의 접착력에 영향 하였으나 집성재 제조에 요구되는 접착력에는 영향하지 않았다(표 3, 4참조). 1. 3 Plane scarf joint 접착에 있어서 안전한 scarf비는 일본잎갈나무 1/12이상, 미류는 1/6이상이 요구되고 방부처리 미류의 plane scarf joint 접착의 안전 scarf 비도 무처리재와 같이 1/6 이상이 요구되었다(표 5, 6, 7 및 8참조). 2. 접착제 Resorcinol Plyophen #6000에 의한 미류와 일본잎갈나무의 단일 수종 및 이수종구성 집성재의 상대 접착력과 삶음반복 접착력 및 접착층의 박리시험에 의한 접착성능을 구명한 결과 2.1 실대형 통직, 만곡 집성재의 block 전단 상태 접착강도는 허용 최소상태 접착강도의 3배 이상이였으며 삶음반복 접착 강도는 상태접착 강도의 1/2로 감소 되었으나, 허용 최소 기준 삶음반복 접착강도의 2배 이상으로 실대형 내수 집성재 제조의 안전성이 확인되였다(표 9 및 10참조). 2.2 실대형 통직, 만곡집성재의 박리율은 미류, 이수종(일본잎갈나무+미류), 일본잎갈나무의 순으로 높았으나 최대치는 일본잎갈나무의 통직집성재(3.5%)로서 허용 최대 기준율보다 적었다.(표 11 참조) 3. urea 수지 접착제에 의한 이태리포푸라(Populus euramericana)와 일본잎갈나무의 단수종, 이수종 및 lamina 형질에 따른 5 ply 구성 통직 접성재의 휨강도 시험, 압축강도 시험에 의한 집성강도와 접착성능을 구명한 결과 3.1 집성강도가 요구되는 건축 구조용재를 목적으로 이태리포푸라와 일본잎갈나무의 이수종 구성 집성재를 제조할 때에는 수종 구성을 L(일본잎갈나무)+P(이태리포푸라)+L+P+L로 하는 것이 양호하였다.(표 12참조) 3.2 수심과 옹이를 가지는 lamina로 구성된 집성재의 경성 강도는 무결점 lamina로 구성된 집성재 강도보다 현저히 강도가 감소되므로 강도가 요구되는 구조용재로서의 집성재 제조에는 이들 결점 부재의 분산 집성이 필요하였다.(표 13참조) 3.3 실대형 통직 집성재의 FPL 전단 상태 접착강도는 허용 최소기준 상태 접착강도의 2배 이상으로 urea 수지접착제로서 이을 수종의 내장주조용 집성재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of Hybrid Poplar O-methyltransferuse Involved in Lignin Biosynthesis

  • Park, Young-Goo;Sul, Ill-Whan;Shin, Dong-Ill;Park, Jang-Won;Park, Hee-S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31-134
    • /
    • 2001
  • In $\lambda$-Zap II vector system, 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for the developing secondary xylem mRNA from hybrid poplar, Populus nigra x maximowiczii. A cDNA clone of 1.5 kb in size, pOMTB1.4 encoding a lignin-bispecific O-methyltransferase was screened by plaque hybridization using a probe of 540 bp cDNA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rom the cDNA library and identified by nucleotide sequencing. Its nucleotide sequence contains one open reading frame of 366 amino acid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in comparison with that of Populus tremuloides showed the differences of 9 amino acids and revealed 85-99% homology among alfalfa, poplar and aspen.

  • PDF

활엽수 화학 펄프내 잔류 hexeneuronic acid가 카파 값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exeneuronic acid to kappa number determination in hardwood chemical pulps)

  • 신수정;성용주;박종문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2호
    • /
    • pp.35-40
    • /
    • 2010
  • Variations in hexeneuronic acid content in hardwood alkaline pulp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ir contribution to kappa number. Out of diverse chemical pulps the highest hexeneuronic acid content were measured in yellow poplar kraft pulping, which was assumed to enhance ca. 7.0 of kappa number determined by acid permanganate consumption. In yellow poplar soda-anthraquinone pulping, hexeneuornic acid was contributed to increment of 5.0-6.0 kappa number. In eucalyptus alkaline pulping, hexeneuronic acid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oda-anthraquinone pulping. Increment of Kappa number by hexeneuronic acid was 4.5-5.6 depending on pulping method and pulping time at target temperature.

Enhanced drought tolerance by expression of hvDhn5 gene in poplar

  • Han, Mu-Seok;Noh, Eun-Wo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203-208
    • /
    • 2011
  • We transferred Dhn5 (dehydrin5) gene from barley to poplar to determine the effect of its expression on the transgenic poplars. The results from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gene varied among the transgenic lines. During their culture on tissue culture media, the transgenic poplars formed vigorous growing callus in the presence of 5% PEG. When the transgenic poplars were growing in pots and witheld watering, they stayed much healthier than nontransgenic poplars. The transgenic poplars showed higher rates of photosynthetic rates, stomatal conductance and evaporation rates under the drought stres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il water content within the treatments. The relativ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transgenic poplars after 20% PEG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of nontransgenic poplars.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expression of hvDhn5 gene conferred drought tolerance in the transgenic poplars.

초임계수에 의한 현사시나무의 당화 특성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Poplar Wood (Populus alba × glandulosa) to Monomeric Sugars by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 최준원;임현진;한규성;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44-50
    • /
    • 2006
  • 아임계 및 초임계수 특성에 따른 목질 바이오매스의 당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의 초임계 압력인 23 MPa로 고정하고 아임계 온도($325^{\circ}C$, $350^{\circ}C$)와 초임계 온도($380^{\circ}C$, $400^{\circ}C$, $425^{\circ}C$)에서 현사시나무 목분을 각각 60초 동안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사시 목분의 분해산물에는 액상과 고형분의 분해산물이 섞여 있었다. 각 처리조건에 따른 목분의 분해율은 처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임계 온도인 $425^{\circ}C$에서 최고 83.1%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아임계 및 초임계수 분해에 의해서 생성된 단당류는 액상의 분해산물을 대상으로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프(HPAE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분해과정에서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단당류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25^{\circ}C$에서 가장 높은 7.3%의 단당류 수율을 나타내었다. 아임계 온도 범위에서는 현사시나무의 섬유소 성분 중에서 자일란이 우선적으로 분해되어 자일로스의 생성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셀룰로오스의 분해에 의한 글루코오스 생성율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초임계수에 의한 현사시 목분의 분해특성 및 분해산물 분석 (Characterization of Degradation features and Degradative Products of Poplar Wood(Populus alba${\times}$glandulosa) by Flow Type-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 최준원;임현진;한규성;강하영;최돈하
    • 임산에너지
    • /
    • 제24권1호
    • /
    • pp.39-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초임계수 분해장치를 이용하여 처리온도 별로 현사시목재의 당화 가능성과 현사시목재 각 성분의 분해특성을 분석하였다. 미세하게 분쇄한 현사시목분을 물의 초임계압력(23MPa) 조건하에서 각각 아임계온도$(275^{\circ}C,\;325^{\circ}C)$와 초임계온도$(375^{\circ}C,\;415^{\circ}C)$에서 각각 2분간 처리하였다. 갈색을 띤 현사시목분의 액상분해산물에는 어느 정도의 미분해 고형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초임계수 분해온도가 높을수록 현사시목분의 분해율은 증가하여 초임계조건인 $375^{\circ}C$에서는 현사시목분의 $94\%$까지 분해되었다. 각 처리조건에서 생성된 환원당량을 DNS법으로 측정한 결과, 처리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생성된 환원당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반응 초기에 생성된 환원당들이 높은 온도의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열분해와 유사한 화학적 반응에 의해 더욱 분해되어 퓨란계 화합물로 전환된 것으로 예측되었다. 리그닌의 분해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액상의 분해산물을 ethylacetate로 추출하여 유기용매 가용부를 GC-MS로 분석하였다. 리그닌의 분해산물은 대부분 페놀성 유도체인 vanillin, guaiacol, syringaldehyde, 4-prophenyl syringol과 dihydrosinapyl alcohol등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농도는 처리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리그닌 분해산물은 리그닌고분자의 주요 결합인 에테르 결합이 높은 온도조건하에서 분해에 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