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vinylpyrrolidone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8초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공침물(共沈物)에 관(關)한 생물약제학적(生物藥劑學的) 연구(硏究) (Biopharmaceutical Studies on the Coprecipitate of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 용재익;유봉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0권3호
    • /
    • pp.33-45
    • /
    • 1980
  •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metoclopramide, various ratio coprecipitates with polyvinylpyrrolidone (M.W. 40,000) were prepared. The experiments of the solubilit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quantitatively developed. The solubility increased as the ratio of rnetoclopramide to polyvinylpyrrolidone in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ndone coprecipitate increased. In powder state, the dissolution rate of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coprecipitate was greater than that of metoclopramide and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physical mixtur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non-disintegrating disk with constant surfacearea was in accord with Noyes-Nernst equation. The intrinsic dissolution rate, G, at $37^{\circ}C$ was $3.98{\times}10^{-7}M/cm^2{\cdot}min$ for metoclopramide, $2.26{\times}10^{-6}\;M/cm^2{\cdot}min$ for 1 : 5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coprecipitate, respectively. Accordingly, activation energy of metoclopramide was 15,061cal/M, 9,178cal/M for 1 : 5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coprecipitate and the activation energy decreased as the coprecipitate was formed. X-ray diffraction study revealed the fact that metoclopramide was crystalline, in contrast, there was no crystallinity evident in the 1 : 5 metoclopramide-polyvinylpyrrolidone coprecipitat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hysical mixture and coprecipitate in TLC, UV and NMR studies. From the comparision between physical mixture and coprecipitate in IR spectrum, the interaction such as association between metoclopramide and polyvinylpyrrolidone was considered. But the association was easily dissociated in methanol solution.

  • PDF

기체 촉진수송을 위한 polyvinylpyrrolidone/AgBF4/Al(NO3)3 전해질 분리막 제조 (Preparation of Polyvinylpyrrolidone/AgBF4/Al(NO3)3 Electrolyte Membranes for Facilitated Gas Transport)

  • 윤기완;강상욱
    • 멤브레인
    • /
    • 제26권1호
    • /
    • pp.38-42
    • /
    • 2016
  • 올레핀/파라핀 혼합 기체의 분리를 위한 올레핀 촉진 수송 분리막의 제조를 위해 amide 작용기를 가지며 glassy한 특성을 보이는 polyvinylpyrrolidone (PVP) 고분자를 분리막의 matrix로서 사용하였다. 분리막의 기체 투과 실험은 propylene과 propane 50 : 50의 부피비로 혼합된 기체를 사용하였고, bubble meter와 gas chromatography를 사용해 투과도와 선택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SEM image와 FT-IR을 통해 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100시간의 장시간 성능 측정 결과 선택도는 약 15, 투과도는 약 1.3 GPU 이상을 각각 유지하였다. 기존의 poly(2-ethyl-2-oxazoline) $(POZ)/AgBF_4/Al(NO_3)_3$ 분리막과 비교함으로써, 고분자 matrix로서의 PVP 특성을 확인하였다.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entacene Thin-Film Transistors with Polyvinylpyrrolidone Gate Insulator

  • Kim, Dong-Wook;Lee, Jong-Won;Noh, Jung-Chul;Choi, Jong-S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579-582
    • /
    • 2009
  • This paper report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olyvinylpyrrolidone (PVPy) and the performance of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with PVPy as a gate insulator. PVPy shows a dielectric constant of about 3 and contributes to the upright growth of pentacene molecules with 15.3${\AA}$ interplanar spacing. These results will be discussed.

  • PDF

Ampicillin-polyvinylpyrrolidone 공침물(共沈物)에 관한 약제학적(藥劑學的) 연구(硏究) (Pharmaceutical Study on Ampicillin-polyvinylpyrrolidone Coprecipitate)

  • 김종갑;엄진섭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0권4호
    • /
    • pp.23-29
    • /
    • 1980
  • Ampicillin-polyvinylpyrrolidone coprcipitates, 1 : 5 ratio w/w, were prepared by the solvent method to increase the solubility and dissolution rate of ampicillin anhydrous. It was found that the solubility and dissolution rate of the coprecipitate were higher than that of ampicillin anhydrous, mechanical mixture of ampicillin and polyvinylpyrrolidone in powder state. The intrinsic, dissolution rate, G, are $1.15{\times}10^{-4}\;mole\;cm^{-2}\;min^{-1}$ for the coprecipitate, $1.09{\times}10^{-5}\;mole\;cm^{-2}\;min^{-1}$ for ampicillin anhydrous, and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coprecipitate and ampicillin anhydrous are $9.091{\times}10^3cal/mole$ and $1.854{\times}10^3cal/mole$, respectively.

  • PDF

친수성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습윤성 재료의 영향 (Influence of Wetting Agent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ft Contact Lens)

  • 이민제;성아영;김태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4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glycerin과 PVP(polyvinylpyrrolidone)을 각각 첨가제로 사용하였을 때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방법: Glycerin과 PVP(polyvinylpyrrolidone)를 각각 첨가제로 사용하여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기본적인 모노머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기본 조합으로 하여 공중합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PVP(polyvinylpyrrolidone)의 경우, 굴절률은 1.4382~1.4288로, 인장강도는 0.3446~0.2542 kgf로 각각 감소하였으며, 접촉각은 21.44% 감소되고 함수율은 13.49% 증가하였다. 또한 glycerin의 경우, 굴절률 1.4330~1.4328로, 인장강도는 0.2974~0.2854 kgf로, 함수율은 35.58~36.53%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접촉각의 경우 37.64%가 감소되었다. 결론: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 습윤성 안 의료용 렌즈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glycerin을 첨가제로 사용하였을 때, 함수율과 굴절률의 변화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친수성 렌즈의 습윤성을 증가시켰다.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사용하는 1,2-indandione/zinc와 polyvinylpyrrolidone 용액의 보존기한 (The shelf life of 1,2-indandione/zinc and polyvinylpyrrolidone solutions used to develop latent fingermark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 홍성욱;김유진;김현정;김혜림;이준철;유승호
    • 분석과학
    • /
    • 제30권6호
    • /
    • pp.312-318
    • /
    • 2017
  •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 시약으로 알려진 1,2-indandione/zinc (1,2-IND/Zn) 용액과 polyvinylpyrrolidone (PVP) 용액의 보존기한을 연구하였다. 감열지의 감열면과 비감열면에 출력세기가 동일한 인공잠재지문을 인쇄하여 이를 표준지문으로 사용하였다. 미리 혼합한 1,2-IND/Zn과 PVP 용액으로 표준지문을 처리한 결과, 혼합시약 제조 후 3 일까지는 감열지에 부착된 지문을 성공적으로 현출할 수 있었으나 3 일이 경과하면 감열지 표면에서 흑화현상이 나타나 시약의 성능이 저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리 혼합하지 않고 별도로 보관한 1,2-IND/Zn 및 PVP 용액을 사용직전에 혼합하여 표준지문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한 결과, 시약 제조 후 20 일이 경과하면 시약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2-indandione/zinc 용액과 polyvinylpyrrolidone 혼합용액의 보존기한은 polyvinylpyrrolidone 용액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소와 수분 중 어느 것이 PVP의 성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산소의 영향은 받지 않으나 수분의 영향을 받아서 시약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란의 급속증식을 위한 생장조절물질과 항산화제 처리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s on Rapid Multiplication of Cymbidium kanran)

  • 소인섭;최지용;고태신;이종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20-525
    • /
    • 1998
  • 한란(Cymbidium kanran)의 급속증식을 위한 식물생장 조절물질과 항산화제의 처리결과, 2.5 g/1 gelrite가 생장과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하였는데, 9 g/1 시약한천보다 적은 약 28% 정도의 양과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났다. 식용한천은 시약한천에 비해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 거의 비슷한 생육을 보였다. BA와 NAA의 농도가 높을수록 배지의 갈변도가 심하였으며,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였다. polyvinylpyrrolidone (PVP, M.W. 40,000)이 ascorbic acid, aspartic acid, rutin 보다 우수 항산화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생장조절물질 처리에서는 0.1-1.0 mg/1 BA와 0.1 mg기 NAA, 1 g/1 PVP 처리구가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한란의 경우 급속한 개체 증식을 위해서는 MS 기본배지에 2.5 g기 gelrite를 불활성 지지물로 사용하고, 0.1-1.0 mg/1 BA 수준에 0.1 mg/1 NAA를 처리하고, 1 g/1 PVP 첨가를 통해 배지의 산화를 억제하여 배양기간을 연장하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역할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적은 양의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사용으로 강건한 묘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을 이용한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의 증강 (Enhancement of fingerprint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by using the mixtur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1,2-indanedione)

  • 김동만;류혜연;정승훈;주인선;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122-127
    • /
    • 2021
  •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PVP-IND)은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가장 좋은 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P-IND가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PVP-IND의 혈흔지문 증강 능력을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으로는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amido black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에 희석된 혈액이 묻은 손가락으로 만든 혈흔지문을 증강할 경우에는 PVP-IND가 amido black 수용액보다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희석되지 않은 혈흔지문을 PVP-IND로 처리하면 융선이 번져 나타나서 amido black 수용액의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PVP-IND로 처리했을 때 융선이 번져서 나타나는 것은 PVP와 혈액에 포함된 amino acid가 반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Influence of polyvinylpyrrolidone on rebar corrosion in sulphate solution

  • Gurten, A. Ali;Bayol, Emel;Kayakirilmaz, Kadriye;Erbil, Mehmet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9권1호
    • /
    • pp.77-87
    • /
    • 2009
  •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olyvinylpyrrolidone (PVP) influence on the steel reinforcement corrosion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s in sulphate medium. The effect of admixture of PVP in concrete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was assessed by measuring electrochemical test during 60 days immersion in two different external solutions. AC impedance spectrum indicated that the resistance of PVP mixed electrodes were higher than those without PVP.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specimens containing PVP was measured and an increase of 19%~24% was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