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ropylene(PP)

검색결과 691건 처리시간 0.028초

목분-PP 복합체의 난연성과 기계적 특성 (The Flame Retard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Powder-filled PP Composites)

  • 손원근;황택성
    • 공업화학
    • /
    • 제10권1호
    • /
    • pp.46-5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표면이 개질된 목분으로 강화된 PP수지 복합체의 $(NH_4)_2HPO_4$과 boron 혼합물($Na_2B_4O_7:H_3BO_3=5:1\;ratio$)에 대한 난연특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m-phenylene dimaleimide(PDMI)로 개질된 PP수지와 비개질된 PP수지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NH_4)_2HPO_4$로 개질된 복합체의 난연성은 boron 혼합물로 개질된 복합체의 난연성보다 우수하였다. 복합체의 충격강도는 목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개질된 PP수지 복합체의 기계적 강도는 비개질된 수지의 복합체보다 개선되었다. 또한 난연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점진적으로 증가되었고, 25 wt %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PDM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목분-PP 복합체의인장강도는 16 wt %까지 증가되었다.

  • PDF

SAPO-11을 이용한 억새와 Random Polypropylene의 촉매 열분해 (Catalytic Pyrolysis of Miscanthus and Random Polypropylene over SAPO-11)

  • 강현구;유미진;박성훈;전종기;김상채;박영권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79-386
    • /
    • 2013
  • SAPO-11을 억새와 random polypropylene(random PP)의 촉매 열분해에 최초로 적용하였다. 열중량 분석 결과 SAPO-11은 억새의 탈수 반응을 촉진시키고, char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ndom PP의 열분해 결과, random PP의 분해온도와 활성화에너지는 촉매를 사용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억새의 무촉매 열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oxygenate 생성물들 중에서 levoglucosan이 주 생성물이었다. SAPO-11 촉매 열분해 결과, 상당 부분의 levoglucosan이 furans, phenolics, aromatics 등의 부가가치가 큰 화합물로 전환하였다. 반면, random PP는 가솔린, 디젤 범위의 탄화수소를 생성하였다.

수첨석유수지 개질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ilmic Properties of Polypropylenen by Modification of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

  • 천봉근;성익경;이정준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4호
    • /
    • pp.192-19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polypropylene (PP)을 기본 고분자로 하여, 석유수지(hydrocarbon resin, HCR) 종류와 함량을 달리하여PP/HCR 블랜드의 열량 거동을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OPP)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의 기계적 물성, 광학적 특성, 가스 및 수증기에 대한 투과도 그리고 수축률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HCR로는 수첨 dicyclopentadiene (DCPD) 수지와 수첨 C9 수지가 사용되었다. Homo-PP 대비 PP/HCR 블랜드는 stiffness의 증가 등 필름의 기계적 물성 증가, 필름의 haze 감소 등의 광학적 특성 향상, 가스 및 수증기에 대한 투과도 감소 그리고 필름의 수축률이 증가되었으며, HCR로 사용된 수첨DCPD수지와 수첨 C9수지는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물성에서는 유사한 기여도를 보이지만, 가스 및 수증기에 대한 투과도와 필름의 수축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PDMS계 첨가제와 Grain pattern에 따른 PP Compound의 내스크래치성 연구 (A Study on the Scratch Resistance by Additives of PDMS and Grain Pattern)

  • 이용희;남병욱;임재곤;최치훈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3호
    • /
    • pp.183-1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polypropylene 복합재료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스크래치성 개선을 위하여 PP의 분자량이 다른 두 종류의 PDMS계 M/B를 제조하여 각각의 함량에 따른 기계적 물성과 내스크래치성을 평가 하였다. 더 좋은 물성을 보인 마스터배치를 선택하여 grain pattern에 따른 내스크래치성을 평가 하였다. UTM과 편광현미경을 통하여 기계적 물성과 스크래치성을 평가 하였다. Color 3D laser Scanning microscope로 표면 grain pattern 형상을 관찰하였다. 마스터배치의 분자량과 함량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차이는 비교적 적은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내스크래치 평가에서는 고분자량의 M/B를 첨가함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ain pattern에 따른 스크래치 평가에서는 grain pattern이 깊이가 깊고 불규칙하며 그 형태도 크고, 둥근형일 때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기능화된 폐타이어 분말이 PP/폐타이어분말 복합체의 열 및 유변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e Functionalized Waste Tire Ponder on the Therm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Waste Tire Powder Composite)

  • 류승훈;;이성효;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1호
    • /
    • pp.49-56
    • /
    • 2006
  • Allylamine을 이용하여 UV하에서 폐타이어 분말을 개질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PP/폐타이어분말 복합체의 열적, 유변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X-ray 분석결과 무수말레 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상용화제가 없는 경우 ${\beta}$ 결정의 피크 강도가 증가한 반면 상용화제가 있는 경우 완전히 없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DSC 결과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개질된 폐타이어 분말을 함유한 복합체의 용융점도와 탄성모듈러스는 개질되지 않은 분말을 함유한 복합체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개질된 분말 표면의 아민기와 말레이산이 그라프트된 PP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란 가교 반응을 이용한 폴리프로필렌의 충격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lane Crosslinking Process of Polypropylene for Enhanced Impact Strength)

  • 강민수;박성호;김기성;배종락;전오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9-73
    • /
    • 2010
  • The melt grafting of unsaturated silanes onto polypropylene (PP) in a twin-screw extruder and crosslinking in hot water were studied to enhance impact strength of polypropylene. The influence of grafting formulations on the melt flow rates of grafted PP and the gel percentages of crosslinked PP was investigated. 3-methacryloylpropyltrimethoxysilane (VMMS) unsaturated silane monomer was used. Benzoyl peroxide, (BPO) and Dicumyl peroxide (DCP) were used as an initiator. When benzoyl peroxide (BPO) was used as an initiator, higher gel percentage and impact strength than those of DCP has been observed. The maximum impact strength was obtained with 0.7 phr of BPO and 2phr of VMMS. The value is 8.7 kgf-cm/cm and it is on a parity with the value of with 20 phr of EOR mixed to PP.

폴리프로필렌의 친수화 개질 -Polypropylene-poly(vinyl alcohol-co-ethylene) 블렌드의 특성-

  • 임상규;손태원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68
    • /
    • 1996
  • PP-EVOH(poly(vinyl alchol-co-ethylene)) blends were prepared by the mixing of polypropylene and poly(vinyl alcohol-co-ethylene) containing 38mol% of ethylene units (EVOH38) at melt state above PP melting temperature. The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sis (DMT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 to detemine the glass transition, meltin, decomposition temperatures, and wettability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PP-EVOH(poly(vinyl alcohol-co-ethylene)) blends exgibits partial miscibility.

  • PDF

수중에서 미세플라스틱인 Polypropylene의 Cd 흡착특성 평가 (Evaluation of Cd Adsorption Characteristic by Microplastic Polypropylene in Aqueous Solution)

  • 엄주현;박종환;김성헌;김영진;류성기;서동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3-88
    • /
    • 2019
  • 본 연구는 미세플라스틱 주요물질 중의 하나인 PP와 담수상태에서 중금속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등온흡착모델과 다양한 흡착조건하에서 microplastic인 PP에 의한 Cd의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Microplastic인 PP에 의한 Cd의 흡착경향은 Freundlich 흡착식에 적합하였으며, 주요한 흡착메카니즘은 물리적인 흡착으로 판단된다. 특히, PP에 의한 Cd의 흡착량은 반응시간과 반응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반응시간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흡착량은 증가하였다. 초기 pH에 따른 흡착결과 PP에 의한 Cd의 흡착은 표면전하와 큰 상관관계가 없었고, FTIR분석을 통한 Cd 흡착 전과 후의 PP작용기에 별 다른 차이가 없어 PP에 의한 Cd의 흡착은 대부분 물리적 흡착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담수상태에서 미세플라스틱인 PP는 Cd과 같은 중금속을 흡착한 후 생물체내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중금속과 같은 독성물질이동과 전이매개체의 역할과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체계적인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팜 생산 새싹인삼의 유기산 처리 및 포장 용기에 따른 품질 평가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ginseng sprout produced smart farm according to organic acid treatment and packing containers during storage)

  • 송해원;김훈;김정실;하호경;허창기;오임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49-16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처리과정과 포장 용기에 따른 새싹인삼의 물리적 품질 및 미생물 변화를 10일 간 저장하면서 평가하였다. 전처리 방법(ascorbic acid, citric acid, peroxyacetic acid) 및 포장용기(expanded polystyrene (EP),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 polyethylene + cast polypropylene(PP+PE+CPP))에 따른 품질 변화를 물성(texture)검사, 일반세균수검사, 수분함량 및 색도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전처리 종류에 따라 비교한 결과, citric acid처리군에서 가장 낮은 텍스쳐 변화 및 세균 증식 억제에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처리 중 가장 효과가 높은 citric acid 처리군을 용기별로 저장 후 품질을 평가한 결과, PP용기에 10일 저장한 경우, 유의적인 텍스쳐 감소 및 색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일반세균수가 가장 낮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itric acid 전처리군 및 PP용기에서 저장했을 때 새싹인삼의 품질 손상이 가장 적게 나타나 새싹인삼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복합재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Cellulose Composites)

  • 장송이;김대수
    • 폴리머
    • /
    • 제39권1호
    • /
    • pp.130-135
    • /
    • 2015
  • 셀룰로오스는 그린 복합재의 보강재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융혼합 및 압축성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셀룰로오스의 계면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레산 무수물로 개질된 폴리프로필렌(MAPP)을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와 아이조드 충격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열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TGA와 DSC를 사용하였다.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복합재의 파단면 관찰 결과 MAPP가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계면결합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셀룰로오스 함량 대비 MAPP의 함량이 3 wt%일 때 복합재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최고치를 나타냈다.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충격강도는 감소하는 반면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은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