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lyploidy of chromosom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초

Chromosome numbers of eight taxa of Aconitum L. in Korea and their systematic significance (Ranunculaceae)

  • Chung, Kyong-Sook;Nam, Bomi;Park, Myung Soon;Eom, Jeong Ae;Oh, Byoung-Un;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5-222
    • /
    • 2011
  • Various aneuploidy and polyploidy have been reported in the genus Aconitum L. (ca. 300 species worldwide, Ranunculaceae), and there is a demonstrated association between major lineage diversification and polyploidy. This study reports chromosome counts of eight Aconitum from Korea, including the first counts for A. japonicum Thunb. subsp. napiforme ($H. L{\acute{e}}v.$ & Vaniot) Kadota (2n = 32) and A. longecassidatum Nakai (2n = 16). The study also includes chromosome numbers for two taxa on th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list in Korea. Among Korean native species, chromosome numbers in Aconitum subgenus Aconitum range from 2n = 16 to 2n = 64 with diverse levels of polyploidy (2x, 4x, and 8x), whereas Aconitum subg. Lycoctonum exhibits only diploids (2n = 16). Greater chromosome number diversity in subg. Aconitum than subg. Lycoctonum might explain higher species diversity within the former subgenus (more than 250 species worldwide). Investigating chromosome number diversity of Aconitum in a phylogenetic framework will be a critical step to understand species richness of the genus.

Chromosome numbers and polyploidy events in Korean non-commelinids monocots: A contribution to plant systematics

  • JANG, Tae-Soo;WEISS-SCHNEEWEISS, Hann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60-277
    • /
    • 2018
  • The evolution of chromosome numbers and the karyotype structure is a prominent feature of plant genomes contributing to or at least accompanying plant diversification and eventually leading to speciation. Polyploidy, the multiplication of whole chromosome sets, is widespread and ploidy-level variation is frequent at all taxonomic levels, including species and populations, in angiosperms. Analyses of chromosome numbers and ploidy levels of 252 taxa of Korean non-commelinid monocots indicated that diploids (ca. 44%) and tetraploids (ca. 14%) prevail, with fewer triploids (ca. 6%), pentaploids (ca. 2%), and hexaploids (ca. 4%) being found. The range of genome sizes of the analyzed taxa (0.3-44.5 pg/1C) falls well within that reported in the Plant DNA C-values database (0.061-152.33 pg/1C). Analyses of karyotype features in angiosperm often involve, in addition to chromosome numbers and genome sizes, mapping of selected repetitive DNAs in chromosomes. All of these data when interpreted in a phylogenetic context allow for the addressing of evolutionary questions concerning the large-scale evolution of the genomes as well as the evolution of individual repeat types, especially ribosomal DNAs (5S and 35S rDNAs), and other tandem and dispersed repeats that can be identified in any plant genome at a relatively low cost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The present work investigates chromosome numbers (n or 2n), base chromosome numbers (x), ploidy levels, rDNA loci numbers, and genome size data to gain insight into the incidence, evolution and significance of polyploidy in Korean monocots.

Chromosome Number Evolution in Cirsium Mill. and Carddus L. (Asteraceae)

  • Kang, Seong-Yeon;Jang, Tae-S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19
  •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s in flowering plants have been considered to be prominent features in taxonomic and evolutionary context.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s of cytological studies in Asteraceae, karyotype analysis of Cirsium Mill. and Carddus L. in Korean population have not been performed carefully. In this study, the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analysis of all eight species of the genus Cirsium Mill. and one species of Carddus L. were analyzed. While the chromosome number in Carduus crispus L. was diploid (2n = 2x = 18 or 18+2Bs) with x = 9 as the base chromosome number, all seven species of Cirsium were diploid with x = 17 except for Cirsium lineare (Thunb.) Sch. Bip. (x = 14). The chromosome number in C. pendulum Fisch. ex DC. presented 2n = 2x = 34 from two populations and C. lineare exhibited 2n = 2x = 28 from one population. Aneuploidy was occasionally found in C. japonicum Fisch. ex DC. var. spinossinum Kitam. (2n = 2x = 34, 35, 36), C. rhinoceros (H. $L{\acute{e}}v.$ & Vaniot) Nakai (2n = 2x = 32, 34), C. setidens (Dunn) Nakai (2n = 2x = 30, 31, 32) and C. vlassovianum Fisch. ex DC. (2n = 2x = 31, 32). While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japonicum possessed several B-chromosomes (2n = 2x = 34, 35, 36), polyploidy was only encountered in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2n = 4x = 68) from two populations in Ulleung Island. The present cytological data might be contributed to the taxonomic and evolutionary studies in the genus Cirsium.

  • PDF

중국 Yunnan 지역 갈퀴덩굴속 식물에 대한 염색체 연구 (Chromosome study of Galium elegans and G. asperifolium (Rubiaceae) from Yunnan, China)

  • 정금선;이상우;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6-219
    • /
    • 2009
  • 중국 Yunnan 지역일대에서 채집한 갈퀴덩굴속(Galium L.) 2 분류군, Sect. Cymogaliea Pobed의 Galium elegans Wall. ex Roxb 와 Sect. Leptogalium Lang의 Galium asperifolium Wall. ex Roxb 의 체세포염색체수를 처음으로 밝혔다. G. elegans는 2개 지역에서 채집한 개체 모두 2n = 22(X = 11)의 2배체로 확인되었다. G. asperifolium는 5개 지역의 개체에 대해 체세포염색체수 조사 결과 2n = 33, 44, 55(X = 11)의 3배체, 4배체, 5배체 등이 확인되었다. 중국 Yunnan지역에 분포하는 G. elegans는 대부분 2배체로 확인되었고, G. asperifolium은 종내 다양한 배수체를 가지며, Mt. Canghsan의 개체군에서는 3배체와 4배체종이 혼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usarium속의 염색체 분석 (Chromosomal Studies on the Genus Fusarium)

  • 민병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2-347
    • /
    • 1989
  • Fusarium 속의 20균주를 PDA 배지에서 배양하고. HCI-Giemsa 염색법을 이용하여 균사 내에서의 영양핵의 핵분열을 관찰하였고, 염색체 수를 세었다. 관찰한 모든 Fusarium 속의 균주들익 염색체 수는 4-8개 사이에 있었다. 그 중에서 3균주인 F. solari S Hongchun D4. F. moniiforme(from banana), F. raphani (from radish)는 n=8개이고, F, solani 7468(from Sydney), F, solani 7475 (from Sydney), F, oxyporum (from tomato), F, oxyporum(from tomato). F F. roseum(from rice), F, sporotrichioides C. Jungsun 1, F. avenaceum C Kosung 6. F, avenaceum46039 등의 7균주에서는 n=7개였다 F. monilzfonne (from rice), F. graminellrum, F. probiferatum 6787(from Sydney), F. anguioides ATCC20351의 5균주는 n=6개 F. moniliforme NRRL2284. F. poae NRRL3287. F. tricintum NRRL 3299의 3균주는 n=5개였고 가장 적은 수의 n=4개인 균주로는 F. sporotrichioides NRRL3510과 F. equiscli KFCC 11843 IFO 030198의 3균주였다. 이상의 균주들의 염색체 수를 비교 고찰할 때 Fusarium 속의 기본 염색체 수는 반수체가 4개이며 종 분화과정에서 이수체와 배수체가 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 PDF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체세포염색체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 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2-299
    • /
    • 1997
  • 국내에 분포하는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 17종류에 대하여 다양한 분류형질중 체세포염색체수를 조사하여 분류군에 대한 정확한 학명과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동일 분류군내에서 개체간의 변이없이 일정하였고 분류군간에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기본수에 의하여 x=9와 x=8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x=9인 유형은 배수성에 의하여 세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단양쑥부쟁이와 제주쑥부쟁이, 눈갯쑥부쟁이의 체세포 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졌으며, 국내에서 버드쟁이나물로 동정되어 왔던 개체들은 체세포 염색체수와 잎 형태를 조사한 결과, 가새쑥부쟁이의 변이체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사료된다.

  • PDF

한반도 고유종 큰꽃땅비싸리의 배수성과 종분화 (Polyploidy and speciation in Korean endemic species of Indigofera grandiflora (Leguminosae))

  • 김원희;김소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9-114
    • /
    • 2005
  • 한국산 땅비싸리속 식물의 종분화를 연구하기위해 염색체수, 형태적변이 및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땅비싸리(2n=16) 와 좀땅비싸리(2n=32)의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큰꽃땅비싸리의 4배체(2n=32)와 6배체(2n=48)집단이 새로 조사되었다. 큰꽃땅비싸리는 가야산 부근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와 함께 자라고 있었다. 큰꽃땅비싸리는 이들 두 종에 비해 식물체 높이, 잎 및 꽃이 더 크며, 땅비싸리 근연종에서 중요한 분류형질인 잎과 꽃의 털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의 중간 형태를 보이고 있다. RAPD분석에서 큰꽃땅비싸리는 좀땅비싸리와 더 유사하였으나, 4배체와 6배체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반도 고유종인 큰꽃땅비싸리가 공동분포지인 가야산 지역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 사이의 잡종현상과 함께 배수체현상에 의해 기원된 것으로 사료된다.

Colchicine과 oryzalin 처리에 의한 Cymbidium hybrids의 기내 배수화 효율 증진 (Improvement of Chromosome Doubling Efficiency in Cymbidium Hybrids by Colchicine and Oryzalin Treatment)

  • 황숙현;김미선;박소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900-910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난과식물 중 하나인 심비디움의 배수체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으며, 기내 심비디움의 PLBs에 colchicine과 oryzalin을 처리방법과 농도, 기간을 다양하게 하여 배수체 유도에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Colchicine은 50, 100, 300, $500mg{\cdot}L^{-1}$농도로 1, 2, 3주간 처리하였고 oryzalin은 3, 5, 10, $20mg{\cdot}L^{-1}$농도로 1, 2, 3주 또는 3, 6, 9일간 처리하였는데 oryzalin에 비해 colchicine을 처리했을 때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배수성을 검정해본 결과 Cymbidium Showgirl 'Silky'의 경우, colchicine은 $50mg{\cdot}L^{-1}$농도로 1주간 처리 시 6배체 획득효율이 60%, oryzalin은 $5mg{\cdot}L^{-1}$농도로 2주간 처리 시 6배체 획득효율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ymbidium Mystery Island 'Silk Road'(Silk Road-4)의 경우, colchicine은 $50mg{\cdot}L^{-1}$농도로 1주간 처리 시 6배체 획득효율이 16.7%, oryzalin은 $10mg{\cdot}L^{-1}$농도로 3일간 처리시 6배체 획득효율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두 hybrid 모두 oryzalin보다 colchicine을 처리했을 때 염색체 배가에 더 효율적이었다. 또한 처리 전 PLBs를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찌르는 방법을 통해 염색체 배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구절초무리의 세포분류학적 연구;(2) 배수성 (A Cytotaxonomic Study on Chrysanthemum zawadskii Complex in Korea (2) Polyploidy)

  • 이영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1호
    • /
    • pp.35-48
    • /
    • 1969
  • This study was made on the taxa Chrysanthemum zawadskii complex that grow in South Korea on the basis of chromosomes, epidermis, pollens and gross morphology. I have found four types of chromosome numbers, 36, 45, 54, and 72 as a polyploidal series. Even though the gross morphology was quite similar almost the same gross morphology, chromosome number was different among the taxa. The taxa of 36 chromosomes present broad and fine lobed leaves which grow separately, broad leafed taxon in the mainland of Korea and the other's in Ullungdo Island which is isolated form the mainland in the East Sea. The taxa of 54 chromosomes are also present in the broad and in the fine lobed leaves. The fine lobed leave taxon grows in central to northern Korea and in the high altitude of mountains. Broad leafed taxon grows in central to southern Korea and comparatively lower altitude of the mountains. The taxon of 72 chromosomes is grown in the high altitude of Mt. Hallasan which is isolated from the mainland of Korea. According to this study of Chrysanthemum zawadskii complex, I have arranged the scientific names, as Chrysanthemum zawadskii subsp. latilobum, subsp. acutilobum, subsp. naktongenese, subsp. lucidum, subsp. coreanum and hybrid between subsp. acutilobum X subsp. latilobum.

  • PDF

과배란-난자 및 자궁기능 (Superovulation-Oocyte and Uterine Function)

  • 문영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9-384
    • /
    • 1997
  • 외인성 성선자극 호르몬에 의한 과배란처리는 난모세포의 질, 수정, 배발달, 착상, 임신유지 등에 해로운 영향을 수반하는 광범위한 배란전후의 호르몬 분비이상을 야기한다. 최근 본 연구에서 흰쥐에서의 IGF-1이 착상전 및 자궁의 환경적 조절에 미치는 잠재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IGF-1이 아마도 탈락막의 조절과 배발달에 적합한 자궁환경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과배란후 배의 손실과 착상의 실패는, 본 연구에서 관찰되었듯이 부분적인 자궁내 IGF-1의 작용저해에 기인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진들은 생쥐의 배에서 염색체 이상빈도에 대한 과배란을 유도하는 성선자극 호르몬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MSG 5, 10 및 15 I.U.를 투여하여 과배란된 생쥐에서 생쥐의 수정란과 8-16 세포기 배의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수체(aneuploidy), 다배체(polyploidy) 또한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은 4개군에서 관찰되었따. 그러나 다배체만이 과배란과 상관관계가 있엇따. PMSG 10, 15 I.U. 처리군에서 다배체 발생율은 각각 2.9%와 10.5%였다. 더욱이 PMSG 용량에 따른 배의 다배체 발생빈도 사이에는 투여량에 따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P<0.0001). 과배란과 성선자극호르몬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염색체와 과배란의 정도에는 투여량에 따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배란된 난모세포의 발달 잠재력은 모축의 내분비적 환경뿐만 아니라 생존에 필요한 내인성 요인들 즉 유전적 상태 그리고 난자의 전체적 성숙등에 연관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