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oxidas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3초

감자 polyphenol oxidase에 대한 솔잎 추출물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 Extract on Potato Polyphenol Oxidase)

  • 이민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66-869
    • /
    • 2006
  • 감자 polyphenol oxidase에 대한 솔잎 추출물의 저해효과가 조사 되었다. 솔잎 추출물은 anti-browning agents인 potassium sorbate나 citric acid보다도 더 강한 저해효과 를 나타냈으며 pH 7.0-8.0 사이에서 가장 강력한 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응시간이 증가 할수록 감자 polyphenol oxidase 활성은 현저하게 저해 되었으며 솔잎 추출물은 감자 polyphenol oxidase에 대해 비경쟁적인 저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잎 추출물은 $100^{\circ}C$ 에서 10분간 열처리시에도 안정 하였으며 pH 2.0, 3.0, 4.0에서 3시간 처리시에도 여전히 감자 polyphenol oxidase 에 대한 저해효과를 보유하고 있어서 산과, 열에 비교적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Lentinus edodes JA01에서 분리한 세포외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적 성질에 관하여 (Properties of Extracellular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Lentinus edodes JA01)

  • 신광수;김규중;홍순우;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1-146
    • /
    • 1986
  • To find the role of polyphenol oxidase in lignin biodegradation, chracteristics of extracellular polyphenol oxidase activity from Lentinus edodes JA01 was investigated. Polyphenol oxidase had its optimum activity at pH 4.5 and $45^{\circ}C$ respectively. Also, the enzyme was very unstable in various pHs and comparatively heat stable up to $60^{\circ}C$. In $lignosulfonate-NH_4$ salts medium, the growth rate of L.edodes JA 01 was relatively slow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ppeared 2 and 14 days after inoculation.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the amounts of lignosulfonate present in the culture medium.

  • PDF

Purification of the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 Tuber

  • Kwon, Do-Yoon;Kim, Woo-Yeon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63-168
    • /
    • 1996
  •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was purified from potato tuber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Sephadex G-100, and concanavalin A 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Two or three types of polyphenol oxidase were separated on concanavalin A Sepharose. Type I and II polyphenol oxidases did not bind to concanavalin A Sepharose. Type I seemed to be an aggregated form of polyphenol oxidase. Type III polyphenol oxidase, which is presumed to be glycosylated because it was bound to concanavalin A Sepharose and eluted with $\alpha$-D-methyl glucopyranoside, was further purified by chromatography on Econo-Pac Q and Superose 12.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was purified 130-fold from the dissolved ammonium sulfate pellet resulting in about $6\;{\mu}g$ of the enzyme from 100 g of potato tuber periderm. The molecular weight of the glycosylated enzyme deter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about 64,000. Optimum temperature and pH of both II and type III potato polyphenol oxidases were $20^{\circ}C$ and pH 7.0, respectively. Glycosylated form of polyphenol oxidase (type III) preferred catechol to catechin as a substrate, whereas type II enzyme showed the reverse substrate preference.

  • PDF

고초균에서 폴리페놀로 유도된 DNA 손상에 대한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on Polyphenol-Induced DNA Damage of Bacillus subtilis)

  • 김안근;김유경;강영숙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0-334
    • /
    • 2005
  •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EBRPs)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spore rec-assay with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 $(rec^+)\;and\;M45 (rec^-)$. The EBRPs tested were prepared from the reactions of five different kinds of polyphenols with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the leaves Perilla frutescens. In the spore rec-assay, most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tested showed positive, whereas only their tested compound showed nega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f polyphenol oxidase inhibitors such as cysteine, glutathione and ascorbic acid to the reaction mixtures consisted with the polyphenol oxidase and polyphenols, the mutagenic effects were increased in the spore recassa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mutagenicity of polyphenols.

참취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 및 성질 (Partial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ster scaber)

  • 함승시;홍은희;이상영;박귀근;오무라히라히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1-245
    • /
    • 1991
  • 참취로부터 추출한 polu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를 $(NH_4)_2SO_4$ 처리 및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aphy에 의해 분리하였다. Polypenol oxidase의 최적pH와 최적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였으며, 효소활성은 $60^{\circ}C$에서 30분간 처리시와 $70^{\circ}C$에서 5분간 처리시 완전실활하였다. 기질특이성에서는 chlorogenic acid의 기질이 높은 특이성을 나타난 반면 DL-dopa는 활성을 억제하였다. Polyphenol oxidase의 Km값은 17.6mM이었다.

  • PDF

후지 사과 Polyphenol Oxidase의 특성 및 활성억제 (Characteristics and Inhibi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Fuji Apples)

  • 최언호;정동선;조남숙;심영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78-284
    • /
    • 1987
  • 사과의 건조, 가공 중의 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서 후지 사과로부터 추출한 crude polyphenol oxidase의 특성과 열에 대한 저항성, 갈변 저해제의 저해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Catechol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polyphenol oxidase의 최적 pH는 5.5, 최적온도는 $20^{\circ}C$, $K_m$ 값은 0.14M이었고, 열불활성화는 유사일차반응을 보였으며 이때 활성화에너지$(E_a)$와 Z값은 각각 23.0cal/kmol, $19.7^{\circ}C$였다. 기질에 따른 친화력은 o-diphenol, 특히 chlorogenic acid에 대하여 높았고, monophenol과 m-diphenol, p-diphenol에 대해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Polyphenol oxidase에 의한 갈변은 thiourea와 potassium metabisulfite는 10mM에서, L-cysteine과 ascorbic acid, sodium diethyldithiocarbamate는 1mM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 PDF

참나물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Spuriopimpinella bracycarpa)

  • 함승시;홍은희;이상영;박귀근;오무라 히로히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49-53
    • /
    • 1991
  • 참나물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를 $(NH_4)_2SO_4$, 처리 및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하였다. Polyphenoloxidase의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7.5와$30^{\circ}C$였으며, pH 6.5에서 $70^{\circ}C$에서 30분간 처리시와 $80^{\circ}C$에서 5분간 처리시 완전 실활하였다. Polyphenol oxidase는 ascorbic acid, glutathione, potassium cyanide(0.1mM)에 의해 불활성화되었으며 L-cysteine, potassium cyanide, ascorbic acid, glutathione(0.5, 1mM)에 의해서는 완전 실활되었다. Catechol과 3,4-dihydroxytoluene의 기질은 높은 특이성을 나타낸 반면 pyrogallol, dopamine, DL-dopa의 기질은 강하게 활성을 억제하였다. Polyphenol oxidase의 $K_m$ 값은 86.5mM이었다.

  • PDF

녹숙(綠熟)고추의 저온저장(低溫貯藏)에 따른 종자갈변(種子褐變)에 관(關)한 생리화학적연구(生理化學的硏究) -제 2 보(第 2 報) 종자갈변(種子褐變)에 따른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seed-browning in mature green peppers stored at low-temperature (Part 2) -Changes in enzymatic activity with the seed-browning effect-)

  • 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43
    • /
    • 1971
  • (1) 감미종(甘味種) 소형(小型)고추인 Zairaisisi 종자(種子)의 polyphenol oxidase는 최적(最適) pH가 6.5이고 $0{\circ}C$에서도 상당(相當)한 활성(活性)을 가지며 o-diphenol에 대(對)하여 강(强)한 특이성(特異性)을 가지나 monophenol에 대(對)해서는 특이성(特異性)이 없었다. (2) 저온장해(低溫障害)에 의한 갈변초기(褐變初期)에 polyphenol oxidase는 강(强)한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지만 전면갈변(全面褐變)에 따라 활성도(活性度)는 0 이 되었다. (3) polyphenol 추출액(抽出液)에 상당(相當)하는 효소액(酵素液)의 갈변능(褐變能)을 측정(測定)하였든 바 polyphenol oxidase의 활성도(活性度)가 0 일 때도 in vitro에서는 갈변현상(褐變現象)이 진행(進行)되었고 이때 peroxidase는 당초(當初)와 거의 같은 활성도(活性度)를 지니고 있었다. (4) 저온장해(低溫障害)에 따른 저온초기(低溫初期)에서는 DNP 첨가실험(添加實驗)으로 미루어 호흡(呼吸)의 전자전달계(電子傳達系)에 이상(異常)을 볼 수 있었고 cytochrome oxidase 활성도(活性度)가 저하(低下)하였지만 호흡량(呼吸量)에는 큰 변동(變動)이 생기지 않았기에 조직(組織)호흡(呼吸)에 미치는 chlorogenic acid 첨가실험(添加實驗)을 하여 polyphenol oxidase가 대상호흡계(代償呼吸系)의 terminal oxidase로 쓰인다는 것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

감자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학적 성질 및 아황산염에 의한 활성억제 효과 (Some Properties of the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es (Solanum tubersum L.) and Inhibiting Effect of the Polyphenol Oxidase by Sulfites)

  • 하영득;이미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8-204
    • /
    • 1988
  • 감자의 polyphenol oxidase에 의한 효소적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작(Solanum tuberosum L.)으로부터 polyphenol oxidase 를 분리하고 조정제하여 그것의 일반적인 성질을 조사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품첨가물로 인정된 아황산염에 의한 활성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남작 감자 polyphenol oxidase(E.C.1.10.3.1)의 최적 pH는 6.5이었다. 본 효소의 최적온도는 $37^{\circ}C$이었다. 본 효소의 pH에 대한 안정성은 측정 결과, pH5에서 가장 컸으며, $pH5{\sim}9$까지의 비교적 넓은 안정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열에 대한 안정성은 $40^{\circ}C$에서는 60분 경과 후에도 95%의 잔재활성을 나타내어 매어 안정하였으며, $50^{\circ}C$에서도 60분 후에 74%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안정하였다. 또한 $60^{\circ}C$에서는 60분 경과 후, 50%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0^{\circ}C$에서는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20분 후의 잔존활성이 24%였다. 남작 감자의 polyphenol oxidase의 기질 특이성은 ${\sigma}-diphenol$류인 catechol, chlorogenic acid 및 (+)-catechin에 대한 활성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보아 ${\sigma}-diphenol$ 화합물이 주 기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6.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황산염에 의한 남작 감자 polyphenol oxidase의 활성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Na_2S_2O_4,\;Na_2SO_3{\cdot}7H_2O,\;NaHSO_3$를 각각 0.1mM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에는 효소의 상대활성이 98%로서 활성억제 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1mM의 농도에서는 $NaHSO_3$가, 5mM의 농도에서는 $Na_2SO_3{\cdot}7H_2O$가 각각 가장 낮은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olyphenol oxidase의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는 아황산염의 농도는 $Na_2S_2O4$가 20mM, $Na_2SO_3{\cdot}7H_2O$가 15mM 그리고 $NaHSO_3$가 25mM로 나타났다.

  • PDF

감자 Polyphenol Oxidase의 열안정성 (Thermostability of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 (Solanum tuberosum L.))

  • 김나영;이민경;박인식;방극승;김석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44-847
    • /
    • 2001
  • 감자로부터 polyphenol oxidase를 추출하여 열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식품의 제조공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하였다. 감자의 PPO는 pH 7.0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이 효소는 8$0^{\circ}C$에서 1분간의 열처리로 효소 활성이 70% 저해되었다. 감자 PPO의 열안정성은 sodium chloride의 첨가로 감소되었으며, 2-mercaptoethanol과 dithiothreitol과 같은 환원제의 첨가로 역시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