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eptide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26초

Bacillus stearothermophilus 의 내열성 시티딘/디옥시시티딘 디아미나제를 코드하는 cdd 유전자의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cdd Gene Encoding Thermostable Cytidine/Deoxycytidine Deaminase)

  • Soo, Chang-Jong;Song, Bang-Ho;Kim, Jong-Guk;Hong, Soon-Duc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4-342
    • /
    • 1989
  • Bacillus stearothermophilus의 cytidine deaminase (cytidine/2'-deoxycytidine aminohydrolase:EC 3.5.4.5)를 코딩하는 cdd 유전자를 E. coli cdd$^-$ 결손변이주를 cloning host로 하여 3-10Kbp의 B. stearothermophilus DNA 단편으로부터 shot gun 법으로 클로닝하였다. 고 복제수 플라스미드 pBR322 의 PstI 부위에 3.0Kb의 B. stearothermophilus DNA 단편을 함유한 pJSC101이 cdd$^+$와 tetracy-line 내성으로서 cloning되었으며, 이어서, 결실 및 subcloning을 연속 수행한 결과 약 1.35kbp의 Eco RI$_1$/PstI$_2$단편이 동일 부위의 pBR322에 삽입된 cdd 양성의 pJSC201을 얻었다. Mini 세포 실험결과, 이 단편에서 합성되는 polypeptide는 약 33 KDa이었기에 이 polypeptide가 cytidine deaminase 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단편에 함유한 550bp의 EcoRI/AvaI 부분을 lacZ 프로모터 영역에 삽입한 경우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었기에 이 단편의 Eco RI 부위에서 PstI부위로 cdd 유전자가 전사됨을 알 수 있었다. B. subilis와 E. coli에서 발현이 가능한 shuttle vector에 cdd가 함유된 단편을 삽입한 후 이를 양세포에서 동시 발현시켰을 때 B. subtilis에서 발현시킨 경우가 E. coli에서 보다높은 cytidine deami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유전자는 B. subtilis 에서도 E. coli에서와 같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붕어(Carassius auratus) 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endocrine cells in the gut of the Prussian carp, Carassius auratus)

  • 이형식;구세광;박기대;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77-484
    • /
    • 2001
  • 붕어 (Carassius auratus Linnaeus)의 장에 존재하는 소화관 내분비세포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빈도를 포유류의 peptide에 대한 10종류의 항혈청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붕어의 장은 근위부에서부터 원위부까지 5 등분했으며 (Segments I~V), 대부분의 면역반응세포들은 상피부분의 상피세포들 사이 공간에서 관찰되었으며, 장 내강까지 신장되어 있는 긴 세포질돌기를 함유한 방추형의 개방형 세포 (open type cell)들이 주로 관찰되었으나, 세포질돌기 없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폐쇄형 세포 (close type cell)들 역시 소수 관찰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somatostatin, cholecystokinin (CCK)-8 및 pancreatic polypeptide (PP) 면역반응세포들이 관찰되었으나, serotonin, glucagon, chromogranin A, secretin,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substance P 및 bombesin 면역반응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은 장의 가장 근위부인 Segment I에 국한되어 극소수 관찰되었으며, CCK-8 면역반응세포들은 장의 근위부인 Segment I과 II에서 소수 또는 극소수의 빈도로 관찰되었다. PP 면역반응세포들 역시 장의 근위부에서 중간 부위인 Segment I에서부터 III에 걸쳐 중등도 또는 극소수의 빈도로 출현하였다. 이상에서 붕어 위 내분비세포들의 부위별 분포 및 출현 빈도는 다른 위가 없는 경골어류 (stomachless teleost)에서의 보고들과 유사하였으나, 독특한 분포를 나타내는 면역반응세포들 역시 관찰되었다.

  • PDF

발생단계에 따른 한국재래산양 췌장에서 pancreatic polypeptide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ancreatic poly-peptide-immunoreactive cells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native goat (Capra hircus) during developmental stages)

  • 함태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1-430
    • /
    • 2000
  • 태아기, 신생아기, 생후 1개월령, 6개월령 및 성체의 한국재래산양 췌장에서 pancreatic poluypeptide(PP) 면역반응세포의 분포 및 출현빈도를 PAP 법에 의해 검색하였다. 외분비부에서는 모든 연령에서 관찰되었으며 췌장세포 사이에 분포하였다. PP 면역반응세포는 신생아가기에서 생후 1개월에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하였다. 췌도관에서는 PP 면역반응세포가 생후 1개월부터 관찰되면 그후 점차 감소하였다. 췌도관에서는 PP 면역반응세포가 생후 1개월부터 관찰되면 그후 점차 감소하였다. 이들 면역반응세포는 생후 1개월령 및 6개월령의 췌도관 상피하 결합조직에서 소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는 췌도관 상피세포 사이에서 극소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는 췌도관 상피세포 사이에서 극소수 관찰되었다. 내분비부(췌장섬)에서 PP 면역반응세포는 신생아기부터 관찰되며, 생후 1개월령부터의 PP면역세포의 분포는 췌장성 주변부에 중등도 또는 소수가 산재하는 것과 다수의 PP 면역반응세포가 췌도 전체 (생후 1개월령)또는 췌도 중앙부(생후 6개월령)에 산재하는 것 등 두가지 유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재래산양의 췌장에 있어서 PP 면역반응세포의 분포와 출현빈도는 발생단계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는 발생단계 동안의 식이성 및 생리학적 조건변화가 이와같은 상이함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악성종양환자(惡性腫瘍患者)에서 혈청(血淸) Tissue Polypeptide Antigen 치(値)의 임상적(臨床的) 의의(意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Tissue Polypeptide Antigen Levels in Patients with Malignancy)

  • 박성기;문대혁;이명철;조보연;김병국;김노경;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1984
  •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tissue polypeptide antigen (TPA) levels in patients with malignancy, serum TP A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in 49 normal controls, 9 patients of postoperative colon cancer without recurrence and 68 patients with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1983 to September, 198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rum TPA levels in 49 normal controls were in the range of 22-135 U/L $(74{\pm}28U/L,\;mean{\pm}S.D.)$. There was no sex or age difference. Normal upper limit of serum TPA was defined as 130 U/L (mean+2S.D.). 2) Serum TPA levels in 68 patients with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stomach cancer 33 cases, colon cancer 11 cases, lung cancer 10 cases, primary liver cancer 9 cases and metastatic cancer of unknown primary site 5 cases) were in the range of 10-800 U/L $(189{\pm}170U/L,\;mean{\pm}S.D.)$ and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controls (p<0.005). 3) The sensitivities of serum TPA in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were 39% in stomach cancer, 55% in colon cancer, 50% in lung cancer, 67% in primary liver cancer and 80% in metastatic cancer of unknown primary site respectively. 4) The sensitivities of serum TPA related to resectability in stomach and colon cancer were 32% in resectable stomach cancer, 50% in unresectable stomach cancer, 29% in resectable colon cancer and 100% in unresectable colon cancer respectively. 5) The mean value of serum TPA levels in 9 patients of postoperative colon cancer without recurrence was $70{\pm}39U/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untreated colon cancer, $180{\pm}150U/L$ U/L (p<0.05). 6) In patients with stomach or colon canc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TP A and serum CEA levels, but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erum TPA and serum CEA levels increased sensitivities. From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serum TPA level is a useful indicator reflecting tumor activity and responses to anticanc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malignancy.

  • PDF

멸치 액젓 중에 존재하는 미분해 펩티드의 특성과 이용 2. 미분해 펩티드에 미치는 숙성기간의 영향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Undigested Peptides in Anchovy Sauces 2. Effect of Fermentation Periods on Undigested Peptides of Anchovy Sauces)

  • 조영제;김세환;임영선;김인수;김동수;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3-398
    • /
    • 1998
  • 멸치 액젓의 숙성 기간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숙성 기간별에 따른 멸치의 총 질소 함량과 미분해성 펩티드의 분포와 특성 등을 semi-micro Kjeldahl 질소정량법, SDS-PAG 전기영동 및 등전점 전기영동법으로 알아보고, 이 중 전보에서 확인된 특정 펩티드를 품질의 지표로 설정할 때, 이에 미치는 숙성기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특정 펩티드의 면적비가 물로 희석한 액젓의 희석 비율을 정확히 반영하는지의 여부도 검토하였다. 수분은 숙성 10개월 이후, $65\%$전후를 유지하였고, 총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18개월 이후는 증가 속도가 둔화하였다. 한편 단백질 함량은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 10개월 이후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분자량 55,600 dalton과 46,900 dalton의 펩티드는 숙성기간에 관계없이 나타나, 이들 펩티드가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등전점 5.2, 5.6 및 6.0의 펩티드는 숙성기간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나타났다. 숙성기간에 따른 총질소 함량과 단백질 함량의 변화는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아미노산 함량과 SDS-PAG전기영동에 나타난 분자량 55,600 dalton의 펩티드 면적비와는 거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8-24개월 동안의 숙성 중에도 거의 영향을 받지않는 특정 펩티드의 면적비는 멸치 액젓의 품질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액젓의 희석에 따른 총 질소 함량의 변화와 SDS-PAG 전기영동상의 펩티드 면적비의 변화는 희석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북미자생 치마버섯의 Mating Locus의 염기서열 (Nucleotide Sequence of Mating Locus of Schizophyllum commune Indigenous to North America)

  • 박동철;이상선;이인선;김현정;이갑랑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25
    • /
    • 2000
  • Cosmid clone으로부터 mating activity를 가지는 pSC13의 양 말단은 1-71 $A{\alpha}3$ 교배유전자좌 Z3부위 2,430 bp와 Y3 region 8,160 bp 부근에서 homology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교배활성에 필요한 모든 부위를 함유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pSCE2는 1-71 $A{\alpha}3$의 Y region의 6,080 bp 부근에서 거의 완전한 homology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A{\alpha}3$의 Y region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pSCE1도 MEP의 일부 sequence와도 거의 완전한 homology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1-71 $A{\alpha}3$ 교배유전자좌와 모두 유사한 염기서열를 모두 지니면서 북미자생 치마버섯의 교배유전자좌의 염기배열이 남미자생의 것과 거의 유사한 분자적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된 DNA sequence는 3265 bp로서 남미산 치마버섯 1-71 stain의 mating활성을 나타내는 $A{\alpha}3$ locus 염기서열중에 Z region과 거의 완전한 약 96%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또한 Polypeptide sequence비교에서도 약 82%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transcription regulator로 알려진 homeodomain 및 acidic region에서는 각각 약 74%. 82%의 상당히 높은 비율의 homology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남미와 북미의 대륙간에 자생하는 같은 allele type간에도 상당히 높은 비율의 교배유전자좌의 보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Butachlor가 귀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utachlor on the Cell Division and Protein Synthesis on Oat(Avena sativa L.))

  • 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5-249
    • /
    • 1989
  • 식물생장(植物生長) 억제제(抑制劑)인 butachlor의 작용기구(作用機構)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제초제(除草劑)가 생장기본요소(生長基本要素)인 세포분열(細胞分裂)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억제(抑制)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다음과 같다. 1. Butachlor의 세포분열(細胞分裂) 억제(抑制) 효과(效果)는 18시간(時間) 처리후(處理後) $10^{-6}M$은 9.3%, $10^{-5}M$은 28.2%의 억제(抑制)를 보였으며, 특히 $10^{-3}M$ 농도(濃度)에서는 81.6%의 현저한 억제(抑制)를 보임으로서 본(本) 제초제(除草劑)는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세포분열(細胞分裂) 억제효과(抑制效果)도 증가(增加)하였다. 2. 단백질(蛋白質) 억제(抑制) 효과(效果)는 18시간(時間) 처리후(處理後) $10^{-4}M$ 농도(濃度)에서 22.9%, $10^{-3}M$은 34.1%의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였다. 또한 24시간(時間) 처리후(處理時) $10^{-4}M$은 34.3%로 로서 18시간(時間) 처리후(處理後)의 $10^{-3}M$과 거의 같은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butachlor 는 농도(濃度)와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짐에 따라서 단백질(蛋白質) 농도(濃度)의 증가(增加)를 보였다. 3. Butachlor 처리(處理)는 전체적인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을 억제(抑制)하였고 특히 분자량 16, 18, 30, 43 그리고 43.5KD의 단백질(蛋白質)을 억제(抑制)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리(Avena sativa L.)의 root tip은 100,000 이하의 polypeptide subunit의 단백질로 구성(構成)되었다.

  • PDF

치마버섯 Mating Locus(Y-region)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ting Locus (Y-region) of Schizophyllum commune)

  • 이인선;박동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1
    • /
    • 2002
  • 북미산 S. commune UVMl-34의 A $\alpha$ 3 mating locus를 지니는 cosmid clone pSC13의 mating activity에 필요한 sequence 함유여부를 확인한 후 sequencing을 행하고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last program을 사용한 전체 nucleotide 염기서열의 homology비교분석에서 남미산 1-71에 패하여 약 96%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으며, 1-71 A $\alpha$ 3 mating locus에서 모두 7개로 추정되는 exon의 염기서열의 비교실험에서도 거의 96% 이상에 이르는 homology를 나타내었다. 부분적으로는 AR (acidic rich region)에서 약 97%, HD (homeodomain)에서는 약 99%, BR (basic rich region)에서 약 97%, 그리고 Ser (serine rich regon)에서 약 95%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어 지역간에 유전자상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translated polypeptide sequence 를 이용하여 자생지가 다른 남미산 S. commune A $\alpha$ 3 mating locus 내의 Y-region은 비롯하여 다른 $A\alpha$ alleles내의 Y-region과 비교 분석한 결과 남미산에 대해 전체적으로 약 97%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외 $A\alpha$ mating alllele gene의 Y-region과는 41~49%의 낮은 homology로 mating activity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ating에 있어 transcription regulator로 알려진 homeodomain에서는 약 98%의 homology가 나타남으로서 Z-region의 74%에 비하여 대륙간에 상당히 높은 유전자 보존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AR에서 97%, BR에서 100% 그리고 Ser에서도 98%의 상당히 높은 homology를 지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남미와 북미에 자생하는 같은 mating allele type간에는 상당히 높은 비율의 염기서열 보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비록 다른 $A\alpha$ alleles간의 비교 이지만 다른 mating alleles간의 약 50% homology와 비교할 때 보다 상당히 높은 결과로 보인다. 특히 homeodomain motif의 비교에서 Y1을 비롯한 다른 mating allele gene과도 85% 이상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으며 그 외 AR, BR, Ser 부위에서는 10~50%에 이르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낭미충(Cysticercus)과 스파르가눔(Sparganum)에서 추출한 조항원의 면역학적 특성 및 면역진단에의 응용 1. 낭미충에서 추출한 조항원 성분의 면역학적 특성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ntigens from Custiceycus and Sparganum and Their Application to Immunodiagnosis 1.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rude Antigenic Components from Cucticercus cellulosae)

  • 김창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45-254
    • /
    • 1988
  • 유구낭미충(이하 낭미충)(Cysticercus cellulosae)에서 추출한 조항원으로 낭미충증(cysticercosis), 스파르가눔중(sparganosis) 및 포충중(hydatidosis) 환자 및 정상인 혈청내 IgG 항체와의 혈청학적 반응을 ELISA 및 EITB 방법으로 추적하였다. ELISA에서 낭미충의 조항원 단백은 스파르가눔중 환자 혈청과의 교차 반응도 보였고, 포충증 환자 혈청에 대해서는 낭미충 환자 혈청보다 오히려 높은 흡광도(O.D.)를 보였다. 낭미충 조항원을 SDS-PAGE로 전기영동한 결과 260 KDa∼22 KDa 범위에서 31개의 polypeptide band를 얻었으며 이 중 11개의 분획이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낭미충 조항원과 낭미충중 환자 혈청과의 EITB 반응에서 22개의 항원대가 관찰되었으며 이 중 104 KDa, 82 KDa, 78 KDa 및 59 KDa는 모든 검사 혈청에서 인지되었다. 또 22개의 항원대 중 12개는 정상인 혈청에서도 반응이 관찰되어 교차반응하는 비특이성 항원 성분으로 해석되었다. 낭미충 조항원과 스파르가눔증 환자 혈청과의 반응에서 11개의 항원대가 인지되었으며 이 중 낭미충증 환자 혈청과 교차반응하는 9개의 항원대가 인지되었다. 나머지 163 KDa 및 131 KDa 항원대는 스파르가눔 환자에서만 동정되었다. 낭미충 조항원과 포충증 환자 혈청과의 반응에서는 21개의 항원대가 인지되었는데, 이 중 63 KDa는 포충증 환자에서만 인지되었고 나머지는 낭미충증 환자 혈청과 교차반응하는 항원대이었다. 한편 낭미충 조항원 중 104 KDa, 82 KDa, 72 KDa, 59 KDa및 34 KDa는 낭미충증, 스파르가눔증 및 포충중 환자와 정상인의 혈청에서도 모두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이었다.

  • PDF

Aspergillus nidulans의 유성분화에 관여하는 nsdC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sdC Gene in Sexual Development of Aspergillus nidulans)

  • 김혜련;한동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46-251
    • /
    • 2006
  • 사상성 진균인 Aspergillus nidulans에서 유성분화초기단계, 또는 유성분화유도를 위한 세포내 조건 형성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유성분화를 전혀 하지 못하는 NSD (never in sexual development) 돌연변이주가 분리되어 nsdA, nsdB, nsdC, 그리고 nsdD의 4상 보군으로 동정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전자 중 nsdC 유전자를 분리하고자 A. nidulans AMAl-Not I Genomic DNA library로 nsdC6 돌연변이균주를 형질전환하여 야생형처럼 유성분화를 할 수 있는 형질전환체를 분리하고 이들로부터 약 10 kb genomic DNA가 삽입된 library DNA를 분리하였다. Genomic priming system (GPS)을 이용하여 nsdC6 돌연변이를 상보하는 유전자의 부분 서열을 확보한 후 전체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유전자분석 결과 nsdC는 intron 없이 1,929염기(643개의 아미노산)로 구성된 Open reading frame (ORF)를 가지며, 약 1kb 정도의 비교적 긴 5'-UTR 부위에 2개의 intron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NsdC polypeptide의 중앙에 $C_2H_2C_2H_2C_2HC$ 형의 zinc finger DNA binding domain과 C 말단 부위에 coiled-coil domain이 존재하였다. nsdC6 돌연변이는ORF의 407 bp와 408 bp사이에 엽기 T가 삽입되어 frameshift가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sdC6 돌연변이균주는 단지 139개 아미노산만 갖고 있는 결실 단백질이 생산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