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Staple Fib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용출형 극세사와 저온 융착사를 이용한 인테리어 직물의 기계적 물성 개선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interior fabric using soluble micro-fiber and low melting PET)

  • 권윤정;안영무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1호
    • /
    • pp.82-90
    • /
    • 2009
  • This research was made to manufacture the fabric for interior uses by spinning a low melting mono 4 denier PET staple fiber with a soluble 1.4 denier fine PET fiber. The blended yarn has a thickness ranging from 10's to 14's, and the soluble PET fine fiber was dissolved to make a pore in the polymer. Thereby a snap property was decreased and a resilience property was improved to be suitable for a functional synthetic leather. In order to attain the optimum condition, a mechanical property according to fineness, and mixing ratio of low melting polymer, warp density, weft density and blending ratio, and a heat contraction ratio according to blending ratio were experimented. The warp density, 220 T/inch of fine denier PET and the weft density, 64 T/inch of thick denier PET were generated to 4/4 both twill weave fabric having constant tensile property and thickness.

아미드옥심기와 인산기가 함유된 이온 교환 섬유의 합성 및 우라늄 흡착 특성 (Synthesis of ion Exchange Fiber Containing Amidoxime and Phosphoric Acid Groups and Its Uranium Adsorption Properties)

  • 황택성;박진원
    • 폴리머
    • /
    • 제27권3호
    • /
    • pp.242-248
    • /
    • 2003
  • 전자선 전조사법을 이용하여 아크릴로니트릴 (AN)과 스티렌 (Sty)을 PP섬유에 그라프트반응시컨 PP-g-(AN/Sty)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어서 아미드옥심화 및 인산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공단량체 중 AN의 양이 증가할수록 공중합체 내의 AN의 몰분율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공중합체 내에 그라프트 되어진 AN의 양은 공단량체 중 AN의 조성이 40 vol%에서 최대 45%를 나타내었다. 용매인 메탄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 내에 도입되어진 AN의 몰분율은 감소하였다 반응온도에 따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은 반응온도 5$0^{\circ}C$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평형에 도달하였다. 이온 교환 섬유에 도입되어진 아미드옥심기는 하이드록실아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하이드록실아민 농도 9 wt%에서 최대 5.8 mmol/g을 나타내었다. 공중합체에 도입되어진 인산기는 인산의 농도가 0.5 N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우라늄 흡착 실험 결과, 우라늄 흡착량은 이관능성 이온 교환 섬유가 아미드옥심화 이온 교환체 및 인산화 이온 교환체보다 우수한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지하수로부터 붕소이온 분리를 위한 아민화 PP-g-styrene 이온교환체 섬유의 합성과 붕소 음이온 흡착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Aminated PP-g-styrene Fibrous Ion-Exchanger for Separation of Boron from Ground-Water)

  • 황택성;이진혁;이면주
    • 폴리머
    • /
    • 제25권4호
    • /
    • pp.451-459
    • /
    • 2001
  • 스티렌 단량체를 E-beam 전조사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그라프트 반응시켜 PP-g-styrene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클로로메틸화 반응과 아민화 반응을 통하여 아민형 이온교환수지를 합성하였다.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은 스티렌 단량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스티렌 단량체의 농도가 80% 일때 118%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Mohr's salt와 황산의 최적 농도는 1.0 ${\times}\;10^{-3}$ M 과 0.1M 로 나타났다. 아민화율은 그라프트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합성한 아민형 이온교환체의 팽윤율은 기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온교환용량은 6.7 meq/g으로 상용 이온교환수지에 비하여 3배 정도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붕소이온흡착의 최적 조건은 pH 4에서 나타났으며, 붕소이온 흡착량은 아민화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