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2초

UV 경화형 고분자/액정 복합체의 제조 조건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 (Effects of Fabrication Conditions on Electro-optic Properties of UV-Cured Polymer/Liquid Crystal Composite Films)

  • 박세광;박이순;금창대;석재욱;안원술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579-584
    • /
    • 1998
  • 자외선 경화 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고분자/액정 복합막에서 자외선 광 개시제의 농도, 복합막의 두께 및 중합에 의한 상분리 시의 온도, 전기장의 영향 등 제조 외부 조건에 따른 복합막의 전기 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광개시제나 다관능성 단량체의 농도증가에 따라 고분자 매트릭스의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더 작은 액정상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액정과 고분자의 계면 면적이 넓어져 복합막의 구동전압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분자량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diacrylate 형의 올리고머를 사용하여 만든 복합막에 있어서는 분자량이 큰 PTDA-1000을 사용한 경우 복합막의 초기 투명도는 더 올라가지만 일정한 구동전압 이상에서 투명도의 포화 상태가 일어나는 데 반하여 분자량이 적은 PTDA-250을 사용한 경우에는 필름의 초기 투명도가 훨씬 더 낮아지는 대신 60 V 이상의 전압에서도 투명도의 포화 상태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중합에 의한 상분리시 온도가 높아질수록 복합막의 초기 투명도는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액정/UV 경화 혼합물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도가 낮아지고 용해도는 증가하여서 상대적으로 큰 액정상들이 복합막 내에 생기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복합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구동전압은 비례적으로 낮아졌으며 중합에 의한 상분리 시에 인가되는 외부전기장의 효과는 전장이 초기 투과도 뿐 아니라 구동전압이나 응답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Flexible audible display(VizDio$^{TM}$) using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on film speaker

  • Bae, Byeong-Taek;Park, Dong-Hee;Jeong, Kwang-Ho;Choi, Won-Koo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877-878
    • /
    • 2009
  • To realize the flexible audible display (FA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PDLC) is deposited on PVDF(Poly-vinylidene fluoride) film with piezoelectric property. With applied audio signal, it makes sound more than 70 dB in 700 Hz-10kHz. In case of transparency it is opaque and transmittance is less than 10% at 550nm wavelength without bias voltage. It is turned to be transparent and show transmittance of 66% with driving voltage of 60V.

  • PDF

Effect of Oligomeric Photoinitiator on the Preparation and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omposite Films

  • Park, Lee-Soon;Yoon, Hae-Sang;Hur, Young-June;Kim, Sang-Woo;Lee, Sung-Ho;Seok, Jae-Wook;Kwon, Young-Hwa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
    • /
    • pp.396-398
    • /
    • 2005
  • Effects of such factors as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a newly synthesized oligomeric photoinitiator(PEDI380) on the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polymer/LC composite films prepared by the UV-curing method were investigated. The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cells were made with oligomeric photoinitiator PEDI380 by UV-curing method exhibited both low driving volta ge($V_90$) and high contrast ratio under optimum formulation condition.

  • PDF

방향족 액정동족체 및 Epoxy형 측쇄 액정고분자의 합성 및 성질 II. 선형 및 가교형 측쇄 액정고분자 (Synthesis and Properties of Liquid Crystal Compounds and Epoxy Resin Based Side Chain Liquid Crystal Polymers II. Linear and Crosslinked Epoxy LC Polymers)

  • 안원술;장진규;금창대;박이순
    • 공업화학
    • /
    • 제9권1호
    • /
    • pp.71-75
    • /
    • 1998
  • LCD용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이 합성된 저분자 액정 중간체들을 이용하여 epoxy resin 구조를 근간으로 하는 측쇄형 선형액정 고분자 및 가교된 측쇄형 액정 고분자를 만들고 이 들의 액정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lkyl spacer의 길이가 다른 방향족 amine 말단의 방향족 저분자 액정(ALC(n))과 ethylene glycol diglycidylether로부터 합성된 선형 측쇄형 고분자액정은 DSC 및 편광현미경 관찰로부터 mesogen으로 쓰인 저분자 액정과 같이 네마틱 액정상을 보였으며 spacer $-(CH_2){_n}-$의 길이에 따라 액정상-등방상 전이온도($T_{NI}$)는 even-odd현상을 나타내었다. 선형 및 가교형 측쇄 액정고분자의 $T_{NI}$는 저분자 액정의 그것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나타났으며 또한 가교형 측쇄 액정고분자의 경우에는 가교제인 1,10-diaminodecane 사용량에 따른 $T_g$$T_{NI}$의 변화폭이 그렇게 크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 PDF

고분자 분상형 액정표시소자의 전기광학적 특성 연구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 Displays)

  • 박우상;고영부;박세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885-890
    • /
    • 1998
  •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PDLCs) depend on dispersion structures and nematic alignment which can be controlled by taking proper liquid crystal/polymer mixtures and process conditions. To achieve excellent electro-optical properties such as low driving voltage, good contrast ratio and negligible hysteresis, we have developed optimization procedure.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PDLC of low threshold voltage less than 3.1 V, high contrast ratio more than 150 and negligible hysteresis were obtained.

  • PDF

고분자 분산형 액정 셀에서 혼합물의 비율에 따라 노광 온도가 초기 산란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Initial Scattering State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for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Cel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 김미숙;서영현;이명훈;이종문;이택수;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9-64
    • /
    • 2004
  • We have fabricated th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cell where a control of phase separation is very important. The factors to influence the phase separation are mixing ratio of LC and polymer, curing temperature and UV intensity. In this paper, we inspected the change of a phase separation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for the mixture of E7 and. NOA65 with different ratios. When the LC concentration is less than polymer such as LC:NOA65 = 40:60wt%, the PDLC cell is influenced strongly by the curing temperature. However, when the LC concentration is much less than polymer such as LC:NOA65 = 80:20wt%, it is influenced slightly by the curing temperature. The reason is because the mixture shows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behavior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behavior of phase separation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of the mixture.

PDLC의 전기광학적 특성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PDLC)

  • 김원재;박세광
    • 센서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432-436
    • /
    • 1998
  • 최근에 액정을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들기 위하여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것은 광손실이 적고 휘도가 높으며 제작 공정이 간단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작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PDLC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응답속도와 인가전압에 따른 광투과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He-Ne 레이저를 PDLC 셀에 조사하고, 투과된 광량은 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로 분석하고 그래픽으로 표시하였으며, 측정한 데이터를 가지고 기존의 LCD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검사를 위한 PDLC 응용 전기-광학 변환기의 동특성 분석 (Dynamic Analysis of the PDLC-based Electro-Optic Modulator for Fault Identification of TFT-LCD)

  • 정광석;정대화;방규용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2-102
    • /
    • 2003
  • To detect electrical faults of a TFT (Thin Film Transistor) panel for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techniques of converting electric field to an image are used One of them is the PDLC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modulator which changes light transmittance under electric field. The advantage of PDLC modulator in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is that it can be used without physically contacting the TFT panel surface. Specific pattern signals are applied to the data and gate electrodes of the panel to charge the pixel electrodes and the image sensor detects the change of transmittance of PDLC positioned in proximity distance above the pixel electrodes. The image represents the status of electric field reflected on the PDLC so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PDLC itself plays an important role to accurately quantify the defects of TFT panel. In this paper, the image of the PDLC modulator caused by the change of electric field of the pixel electrodes on the TFT panel is acquired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DLC reflect the change of electric field to the image is analyzed. When the holding time of PDLC is short, better contrast of electric field image can be obtained by changing the instance of applying the driving voltage to the PDLC.

아크릴계 단량체 2-HEA와 EGPA의 조성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의 전기광학적 특성 평가 (Effect of 2-HEA and EGPA Composition on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 최종선;김영대;김소연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205-211
    • /
    • 2019
  •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은 전기광학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빛의 투과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smart window를 개발하는 물질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구동전압과 낮은 명암비 등의 PDLC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계 단량체 2-hydroxyethyl acrylate (2-HEA)와 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EGPA)의 조성이 PDLC의 전기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온에서 10 cps 이하의 낮은 점도를 나타내는 2-HEA와 EGPA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보다 쉽게 capillary action에 의해서 indium tin oxide (ITO) glass 사이에 주입하는 공정이 가능하였다. Phenyl group를 포함한 EGPA 단량체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1 : 9인 단량체 혼합물로 만들어진 PDLC cell의 경우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불투명한 상태가 관측되지 않았고 인가 전압에 따라 매우 불안정한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Cell gap thickness가 증가함에 따라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V_{th}$)과 포화전압(saturation voltage, $V_{sat}$)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mu}m$의 cell gap thickness를 갖는 PDLC cell이 10과 $40{\mu}m$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명암비를 나타내었다. 특히, 7 : 3 비율의 2-HEA : EGPA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PDLC cell의 경우가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명암비의 가장 우수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광개시제 첨가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렌즈의 전기-광학 특성 변화 (Change of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ens with Addition of Extra Photo-initiator)

  • 김재용;한정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321-327
    • /
    • 2014
  • 고분자 분산형 액정 렌즈는 40 wt%의 NOA65 prepolymer와 60 wt%의 E7 액정 균일 혼합물에 추가적으로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11{\mu}m$$30{\mu}m$의 두께로 제작 되었다. 광개시제로 사용된 벤조페논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NOA65에 기본적으로 5.0 wt%의 함량으로 포함되어있다. 이 논문에서는 NOA65에 포함되어 있는 벤조페논의 농도가 스마트 전자 안경을 위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렌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광개시제는 NOA65와 E7 액정 혼합물 무게의 1, 2, 4, 8, 16 wt%씩 추가로 첨가되었다. 벤조페논이 첨가된 샘플이 가지는 구동 전압, 직선 구간의 기울기, 응답 시간, 명암비와 같은 전기-광학적 특성들은 벤조페논의 첨가 없이 NOA65 만을 사용해 만든 샘플에 비해 모두 개선되었다. 이러한 개선들은 벤조페논의 첨가로 인해 샘플 내부에 존재하는 액정 방울의 평균 직경 크기가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였다. 액정 방울의 평균 직경 크기는 벤조페논을 0 wt%에서 8 wt%로 첨가함에 따라 $5.3{\mu}m$에서 $12.2{\mu}m$로 증가하였다. 광개시제의 농도 범위에 대해 구동 전압은 11.1 V에서 17.3 V의 범위를 보였고, 직선 구간에서의 기울기는 10.35 %T/V에서 13.96 %T/V의 범위를 보였다. 이 두 특성은 벤조페논의 첨가 없이 기본 NOA65로 만들어진 샘플에 비해 더욱 개선되었다. 벤조페논을 첨가하지 않고 샘플의 셀 간격을 $30{\mu}m$에서 $11{\mu}m$로 감소시킴에 따라 상승응답 시간은 0.47 ms에서 1.05 ms로, 하강 응답 시간은 18.64 ms에서 45.3 ms로 각각 증가하였고 명암비는 86.5에서 5.7로 크게 감소하였다. 두 특성 모두 셀 간격의 영향으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벤조페논의 첨가에 따라 상승 응답 시간은 0.77 ms, 하강 응답 시간은 41.04 ms로 각각 감소하였고 명암비는 16.7로 증가하여 다소 개선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