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lyethylene film mulching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이중피복 마늘재배 시 투명P.E.필름 제거가 마늘 생육 및 수량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moving of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on Garlic Growth, Yield and Weed Occurrence in double Layer mulching Cultivation)

  • 이재선;김인재;윤철구;안기수;김기현;남상영;김홍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3-422
    • /
    • 2013
  • 친환경 마늘재배농가의 엽초유인 및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비닐피복으로 인한 비상품성 마늘의 비율을 낮추기 위하여 왕겨 등 4종의 피복재료를 이용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출현기는 투명P.E.필름 피복구에서 2월 18일로 가장 빨랐으며 무피복구에서 3월 23일로 가장 늦었고, 이중피복구는 투명P.E.필름 피복구보다 다소 늦다. 지상부 생육은 관행>이중피복구>무피복 순으로 양호한 생육을 보였지만 엽초장은 짚+투명P.E.피복구와 톱밥+P.E.피복구에서 투명P.E.필름 피복보다 양호하였다. 피복재료별 잡초발생량은 검정유공P.E.필름+투명P.E.피복구에서 가장 적었고, 이중 피복구에서 48%~56%의 방제가를 보였다. 이중피복 처리에 따른 육쪽비율을 보면 짚+투명P.E.피복구에서 가장 높았고, 이중 피복구가 투명P.E.필름 피복구보다 2배 이상 육쪽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하부 특성은 투명P.E.필름 피복구에서 구경, 구고, 구중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이차생장율이 가장 높았으며, 왕겨+투명P.E.피복구에서 이차생장율이 가장 낮았다. 전체수량은 투명P.E.필름 피복구에서 961kg/10a로 가장 많았지만 상품수량은 왕겨 피복구에서 848kg/10a로 가장 많았다.

토양피복에 따른 잡초발생과 안개초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ulching Materials and Methods on Weed Occurring for the Growth and Flowering in Gypsophila paniculata Cultivation)

  • 정동춘;오정문;임회춘;송영주;김정만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21
    • /
    • 2011
  • 안개초 절화 재배시 토양피복재료 및 피복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량 및 안개초 개화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잡초 발생량은 무피복 $146.2g{\cdot}m^{-2}$(건물중)인 반면 흑색과 녹색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전면피복은 $4.1{\sim}4.2g{\cdot}m^{-2}$으로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며, 제초 소요인원도 무피복은 27.9명/10a/년인데 반해 전면피복은 2.4명/10a/년이었다. 여름 절화작형시 개화는 무피복과 골 피복이 늦었으며,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화수폭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흑색 PE필름, 녹색과 흑색 부직포 전면피복에서 많았다. 월하 후 안개초 고사주율은 흑색 부직포 골 피복처리에서 12.4%로 가장 낮았고, 녹색 부직포 피복처리가 19.0% 정도였으며, 흑색 PE 필름 전면 피복처리가 39.0%로 가장 높았다. 가을 절화작형 역시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녹색 부직포가 가장 많았다. 로젯트 발생률은 골피복보다 전면피복이 낮았으며, 피복재료별로는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흑색 부직포, 흑색 PE 필름 전면피복이 낮았다. 따라서 안개초 절화재배시 녹색 부직포 전면 피복처리가 잡초 발생억제와 절화품질 향상 및 절화량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조림묘목용 멀칭매트 원지 제조 (Preparation of Base Paper for Mulching Mat Sheet Using Biodegradable Polymer)

  • 이금자;박지현;강광호;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2호
    • /
    • pp.49-56
    • /
    • 2011
  • Mulching technique is u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soil by covering the ground surface. Most kinds of mulching film are made of polyethylene which is non-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 Utilizing these films has been one of the main sources in soil pollution. Thus residual films under the ground should be remov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an alternative mulching material made of biodegradable functional paper is considered instead of non-biodegradable films. The mulching sheet produced from paper basis has a functionality to be naturally degraded and then recycled to the bio-materials on soil. In this study, the paper based-mulching sheet coated with biodegradable polymer was specially produced using a laboratory bar coater. Coating colors prepared by dissolving PBS/PLA in chloroform were applied to kraft paper.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ging properties of this mulching sheet were investigated. The burst strength of polymer-coated paper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PBS ratio in PBS/PLA blends, and, in particular, 30/70 blending condition led to good stability in heat-aging atmosphere for 60 days.

약용식물인 야우 (Colocasia antiquorum Schott ) 의 주년재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Year-round Production of Colocasia antiquorum Schott in Medicinal Herb)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9-65
    • /
    • 1991
  • 남부지방에서 무가온 하우스 및 터널등 피복재료로서 재배형을 달리하여 조기생산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우스내의 반촉성 재배 결과 7월 30일 조기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멀칭 + 터널구에서는 엽병수확이 1,600kg/10a을 생산할 수 있었고, 괴경수량도 700kg/10a 수확이 가능하였다. 2. 조숙재배의 1차 (8월 30일) 수확은 멀칭터널구가 엽병수량 4,200kg/10a, 괴경수량 1,900kg/10a을 생산할 수 있어 다른 수확에 비히여 크게 증수되었으며, 2차 (9월 30일) 수확에서도 멀칭과 멀칭 + 터널구가 괴경수량은 현저하게 배수되었다. 그러나 괴경수량은 8월 30일 보다 감소되는 경향으로서 조기재배는 8월 하순경이 식물체 지하부의 생장최성기가 되었다. 이상 결과로 보아 하우스내에서 야우을 3월 상순 안식할 경우 7월 하순경에 초기생산을 할 수 있었으며, 오역에서 조숙재배로 8월하순 조기생산을 할 수가 있어서 약용식물로 조기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설재배에서 반사필름 멀칭이 금어초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lective Film Mulching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Antirrhinum majus L. 'Fujinoyuki' in Greenhouse Cultivation)

  • 김완순;허건양;조일환;우영회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50-351
    • /
    • 1998
  • 시설재배에서 반사필름 멀칭이 금어초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험하였다. 반사필름의 파장(300nm-1100nm)별 광투과특성은 전체광의 85%를 반사시켰고, 대조구인 흑색PE필름은 95%이상을 흡수하였다. 처리별 군락 내 미기상은 반사필름 멀칭구에서 광량 및 기온, 엽온이 높았으며, 지온과 지중전열량은 흑색필름멀칭구에서 높았다. 초기생육은 반사필름 멀칭구에서 건물중과 줄기경도, 도복율, 증산활동 등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반사필름 멀칭처리로 대조구에 비해 개화가 12일 앞당겨졌고, 이때 절화 품질면에서도 우수하였다.

  • PDF

Mulching Materials as Yield Booster for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 Kim Hee-Jung;Lee Ho-Yo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83-389
    • /
    • 2005
  • The effect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mungbean production was studied. The general objective was to assess the ecological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in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the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soil properties, on weed control and yield, and to identify mulching material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in mungbean produ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ruit and Vegetables Seeds Center, Science City of $Mu/tilde{n}oz$, Nueva Ecija, Philippines from May to July 2004. The initial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pH of 6.4, 2.0 percent organic matter content, 0.10 percent total nitrogen, 22 ppm phosphorus, and 370 ppm available potassium. The soil microbial loads were $8\times10^4\;CFU\;g^{-1}$ for bacteria and $14\times10^4\;CFU\;g^{-1}$ for fungi. Mushroom spent mulch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with an average of 3.13 percent, nitrogen with an average of 0.16 percent and the highest number of bacterial count with $3.4\times10^8\;CFU\;g^{-1}$. Use of mulch, except rice straw mulch, generally increased mungbean yield. The best mulching material for high yield production of mungbean was black polyethylene plastic film, although environmentally unfriendly.

파종방법과 피복작물이 조의 생육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Growth and Yield in Foxtail Millet Fields)

  • 전승호;심두보;김석현;정종일;김민철;정정성;윤성탁;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37-3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출수일 비교시 비닐피복 이식구에서 4일, 헤어리베치 이식구에서 3일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헤어리베치 이식구, 비닐피복 이식구와 직파구, 헤어리베치 직파구 순으로 92.4%, 86.9%, 50.2%, 24.6%로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작은 호밀 직파구와는 -63.7%의 차이가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비닐피복구와 헤어리베치구 높게 나타났다. 2. 헤어리베치구에서 방제가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화본과와 광엽 잡초의 분류 비교시 헤어리베치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9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났으며 호밀구에서는 화분과 잡초에서는 47% 이상, 광엽잡초에서는 90%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수량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이식구>비닐피복 이식구>호밀구 이식구${\fallingdotseq}$무처리 이식구>헤어리베치 직파구>비닐피복 직파구>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피복작물과 파종법에 따른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and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 전승호;윤을수;박창영;황재복;정기열;최영대;김현주;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7-1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수 재배에서 피복작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잡곡의 작부체계 개선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수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벳지와 호밀 처리가 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출수일은 비닐피복구, 벳지구, 무처리구, 호밀구 순으로 빨랐으며 직파보다는 이식에서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벳지구 > P.E.처리구 > 무처리구 > 호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밀 직파구에서 -47.5%로 가장 저조하였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생육 초기와 중기에서는 P.E.처리구 > 벳지구 > 무처리구 > 호밀구 순으로 높았으나, 후기에서는 호밀구에서 증가하거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변화의 폭이 적게 나타났다. 잡초종은 무처리에서는 16종, 호밀구와 벳지구에서 각각 10종, 6종의 초종이 발생하였다. 발생 개체수는 무처리 직파구에서 262.0 본 $m^{-2}$로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제가는 벳지 이식구에서 78.9%로 가장 높았다. 벳지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억제효과가 높았으나 호밀구에서는 화본과 잡초에 비해 광엽잡초에 대해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수량은 벳지 이식구 > P.E. 이식구 > 호밀구 이식구 ${\fallingdotseq}$ 무처리 이식구 > 벳지 직파구 > P.E. 직파구 > 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