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n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19초

남해안 해조류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of Korea)

  • 최강주;최선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8-63
    • /
    • 2002
  • 우리나라 남해안 완도지역에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9종, 홍조류 5종, 녹조류 2종의 지질함량을을 조사하고 지방산조성을 GLC로 분석하였다. 총지질 함량을 볼 때 갈조류 9종은 0.58∼3.00%, 홍조류 5종은 0.47∼2.16%, 녹조류 2종은 0.55∼2.00%로 매우 낮았다. 지방산 성분중 생리적으로 의의가 큰 n-3계열 지방산은 linoleic (18:3), stearidonic (18:4), eicosapentaenoic(20:5) 및 docosahexaenoic (22:6), n-6계열 지방산은 linoleic(18:2), linolenic(18:3), eicosadienoic (20:2),eicosatrienoic(20:3) 및 arachidonic acid(20:4) 등이 각각 정량되었다. 총 n-3 및 n-6 지방산 조성을 보면 갈조류는 1.46∼25.67% 및 0∼48.51%, 홍조류는 1.17∼21.91% 및 0.28%∼29.35%, 녹조류는 3.67∼ 10.61% 및 4.1 ∼8.66%였다. 해조류는 갈조류, 홍조류 및 녹조류의 종류에 따라 n-3계열 불포화지방산과 n-6계열 지방산 함량 조성이 매우 상이하였으며, 특히 영양학적긴 측면에서 볼 때 지충이, 톳유엽 및 실풀 외에도 광생이모자반, 뜸부기, 톱니모자반, 꼬불꼬시래기 등은 n-3 polyenes의 조성비율이 높은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TG Index, its Graphical Matrix Representation and Application on Polyenes

  • Gumus, Selcuk;Turker, Lem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5호
    • /
    • pp.1413-1416
    • /
    • 2014
  • A novel topological index (TG Index) has been introduced. The graphical matrix representation of the TG index includes the use of directed subgraphs for the first time in graph theory literature. The application of the TG index on certain properties of polyenes yielded very well correlation data.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of Korea

  • Choe, Sun-Nam;Choi, Kang-Ju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5-125
    • /
    • 2001
  • Total lipid contents were 0.58∼3.00% in 9 kinds of brown algaes, 0.47∼2.16% in 5 kinds of red algaes and 0.55∼2.99% in 2 kind of green algeas, respectively.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algaes were determin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Total polyenes and n-3 polyenes of linoleic acid(18:3), stearidonic acid(18:4), eicosapentaenoic acid(20:5) and docosahexaenoic acid(22:6) were 3.88∼57.57% and 1.46∼25.67% in the brown algaes, 5.30∼39.75% and 1.17∼21.91% in the red algaes, and 7.76∼19.27% and 3.67%∼10.61% in the green algaes, respectirely. The fatty acid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total polyenes and n-3 polyenes were vary different in the algae groups and sepecies.

  • PDF

미역의 부위별 중성 및 극성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Nutural Lipids and Polar Lipids in the Parts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 최선남;최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3-557
    • /
    • 2000
  •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gamma}$-linolenic acid (18:3, n-6) 및 $\alpha$-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alpha$-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gamma}$-linol 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 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 PDF

무지개송어의 성숙에 따른 식품성분 및 지질과산화물의 변화 (Changes of Food Components and Lipid Peroxides in Rainbow Trout with Growth)

  • 박성연;김해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28-931
    • /
    • 1996
  • 양어장에서 양식된 무지개송어의 성장에 따른 식품성분과 지질과산화물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치어와 성어의 조지방 함량과 수분 함량은 3.54%, 9.59% 및 77.40%, 69.02%로 성장에 따라 조지방의 함량은 증가되고 수분은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치어에서 saturates 30.18%, monoenes 37.81%, polyenes 25.09%이고, 성어에서 30.77%, 40.41%, 23.45%로 성장에 따라 monoenes의 비율은 증가하고 polyenes 은 감소하였다. 구성 아미노산조성은 성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이 전체 아미노산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지질과산화의 지표로 측정한 maiondialdehyde, lipofuscin은 성장에 따른 유의적인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폴리엔의 HOMO-LUMO Gap, THG, DC-EFISHG, IDRI, OKE들에 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f the HOMO-LUMO Gap, THG, DC-EFISHG, IDRI, and OKE in Polyenes)

  • 김태원;최우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79-584
    • /
    • 1996
  • 폴리엔의 HOMO-LUMO gap, 정적 및 동적인 3차 편극율을 시간의존 Hartree Fock 반경험적 PM3, AM1, MODO, MINDO/3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C_2H_4$로부터 $C_{32}H_{34}$까지 모든 계산이 수행되었다. HOMO-LUMO gap은 MINDO/3>MNDO>PM3>AM1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THG, DC-EFIDHG, IDRI, OKE효과는 AM1>MNDO>PM3 순서로 증가하였다. 다양한 3차 효과는 THG>DC-EFISHG>IDRI>OKE순서로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Molecular Connectivity 법에 의한 탄화수소들의 $\pi$-결합에너지에 관한 이론적 연구 (제 1 보) (The Theoretical Studies for the $\pi$-Binding Energy of Hydrocarbons Using the Molecular Connectivity (I))

  • 김의락;은종국;이명재;김상해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3-152
    • /
    • 1987
  • 불포화고리 아닌 화합물(unsaturated acyclic hyrocarbons)과 불포화고리 화합물(unsaturated acyclic hyrocarbons) 153가지에 대한 $\pi$-결합에너지를 Huckel 분자궤도 함수론적으로 계산한 $E_{\pi}$값과 Kier의 molecular connectivity index, $\chi$와 비교하여 계산한 값 사이의 관계가 대단히 잘 일치함을 알 수 있고, Molecular Connectivity Index 중 일차 valence connectivity index, $^1{\chi}^v$$E_{\pi}$와 좋은 상관관계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