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haet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9초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군집구조 (Benthic Environments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in the winter of 2005-2006 in Gamak Bay, Korea)

  • 윤상필;김연정;정래홍;문창호;홍석진;이원찬;박종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1호
    • /
    • pp.67-82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막만에서 저서환경과 대형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2005년 2월과 2006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무생물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측정된 총 10개의 환경변수 가운데 연간 차이가 유의하였던 변수는 용존산소(DO), 강열감량(IL), 그리고 산휘발성황화물(AVS)이었다. 특히, 강열감량은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5배, 산 휘발성황화물은 3배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북부내만역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저서다모류는 두 번의 조사에서 총 95종이 채집되었다.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의 연도 간 변화 양상은 만 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북부내만역에서는 2005년 보다 오히려 2006년에 더 적은 수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지만 일부 우점종의 우점도가 2006년에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다양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만의 중부역에서는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가 2006년에 모두 증가하였다. 만의 입구역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05년의 우점종은 기회종 또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 Capitella capitata, Mediomastus californiensis,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주로 북부내만역에 분포하였다. 한편, 2006년에는 Euchone alicaudata, L.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Flabelligeridae sp. 등이 우점하였으며 주로 만 중앙부에 분포하는 종들이 많았다. 전체자료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저서다모류군집은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이는 채집 정점의 지리적 위치 그리고 북부내만역 정점들에서 관찰된 2005년과 2006년 사이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였다. BIO-ENV 분석을 통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구조 변화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환경변수를 알아본 결과, 단일변수로는 총유기탄소(TOC; ${\rho}=0.52$), 산휘발성황화물(${\rho}=0.49$) 등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총유기탄소, 산휘발성황화물, 분급도, 그리고 수온의 조합(${\rho}=0.60$)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가막만의 저서환경 및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간 비교 결과는 최근의 집중적인 환경개선 노력이 만 전반에 걸쳐 그리고 특히 북부내만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Spatial and Seasonal Patterns of Polychaete Community During the Reclamation and Dredging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ohang Steel Mill Company in Kwangyang Bay, Korea)

  • 정래홍;홍재상;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30-743
    • /
    • 1997
  •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해 매립과 준설이 행해지고 있던 시기인 1983년 8월과 1984년 2월에 이와 같은 대규모의 환경교란이 다모류 군집 구조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여름철의 다모류 군집은 총 76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밀도는 $342\;ind.{\cdot}m^{-2}$, 겨울철에는 76종, $437\;ind.{\cdot}m^{-2}$의 밀도를 보였다. 종수 및 밀도의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섬진강 하구역에서는 낮은 종수와 다양도, 수로지역에서는 높은 출현종수와 다양도, 그리고 묘도 서쪽 내만역에 서는 종수, 다양도, 밀도 모두가 중간정도의 값을 기록했다. 하계 다모류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5개의 정점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다모류 군집이 섬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 및 퇴적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군집의 분석 결과는 하계와는 다소 상이 한 결과를 보였다. 우점종의 조성에 있어서도 1982년도의 조사시 (Choi and Koh, 1984) 우점종이던 Lagis bocki와 Chone teres가 다모류군집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한 반면 본 조사시에는 Glycinde gurjanovae와 Heteromastus filiformis의 개체군은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Shin and Koh (1990)와 Jung et al. (1995)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광양만에서 행해진 대규모의 매립 및 준설은 저서 다모류군집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본 조사기간 동안에는 저서다모류 군집이 서서히 변해가는 과정중의 중간단계에 처해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퇴적물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군집을 이용한 패류양식장의 환경평가 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using Sediment Total Organic Carbon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 Shellfish Farms)

  • 조윤식;이원찬;김정배;홍석진;김형철;김청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0-4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패류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고성 자란만 22개 정점, 거제 한산만 15개 정점, 진해만 18개 정점에 대하여 계절별(2월, 5월, 8월, 11월)로 퇴적물 환경인자(화학적산소요구량, 강열감량, 산휘발성황화물,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인자(출현 종 수, 서식밀도, 다양도, 균등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다양도간의 상관계수가 0.61로 가장 높고 유의한 상관성(P<0.01)을 보여, 어장환경평가를 위한 대표인자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두 인자간의 상관성에 의한 어장환경평가 기준 총유기탄소는 Peak Point 15 mg/g dry, Warning Point 26 mg/g dry, Contaminated Point 31 mg/g dry이었으며, 저서 다모류 다양도의 경우 H'${\geq}$2.6은 Good, 2.6>H'${\geq}$2.1은 Moderate, 2.1>H'${\geq}$1.2는 Poor, H'<1.2는 Bad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어장관리를 위한 환경기준 설정에 과학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ptor-mediated Transport of Vitellogenin during Oogenesis of a Polychaete, Pseudopotamilla occelata

  • 이봉경;남중현;이양림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341-344
    • /
    • 1997
  •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has been suggested for a stage-specific transport mechanism of vitellogenin into the oocytes of a sabellid poly chaete, Pseudopotamilla occelata. Membrane proteins of oocytes of three size classes, including small (30-70 $\mu\textrm{m}$ in diameter), intermediate (70-140 $\mu\textrm{m}$ in diameter) and large (180-200 $\mu\textrm{m}$ in diameter), showed a atage-specific variation. Coelomic fluid proteins (CP), ass$\mu\textrm{m}$ed to be vitellogenin, consists of several proteins, which showed quite a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yolk proteins. Incorporation of $^{125}I$-CP into the oocytes of the intermediate size class almost linearly increases with time, showing a contrast to the pattern of the large size class, in which the incorporation is low and approaches a plateau, suggesting the vitellogenin transports by a regulated process only in the intermediate size class. Vitellogenin receptor proteins were identified to be 60 kDa and 68 kDa only in the intermediate size class by a ligand blotting test.

  • PDF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benthos in Chonsu Bay, Korea

  • Lee, Jae-Hac;Park, He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1-2호
    • /
    • pp.18-27
    • /
    • 1998
  • Based on 53 quantitative samples collected in April (23 stations) and August (30 stations) of 1993,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and bottom characteristics in Chonsu Bay were conducted. Bottom sediments consisted of mud at the close to the dyke, sandymud in the central bay, and coarse sand in the mouth of the bay. A total of 273 species (177 species in April and 200 species in August) were identified. Mean density per sampling station was 480 ind./m$^2$ in April and 1126 ind./m$^2$ in August, respectively. Number of species and densities decreas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The macrobenthos showed a temporal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range of distribution, and community delimitation caused by larval settling. Although during the settling period in summer, large numbers of juveniles added in most of regions, unrelated to environmental conditions, but, successful recruitment may has been a rare event locally Theora fragilis (bivalve), Lumbrineris longifolia(polychaete), Neptys oligobranchia (polychaete) were numerically dominant, but their densities varied seasonally.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benthos in Chonsu Bay were affected by several bottom environmental conditions, related to tidal current speed, regionally.

  • PDF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의 착저와 초기 성장에 미치는 기질 크기 및 유기물 함량 (Effects of Substrate Sizes and Organic Contents on Larval Settlement and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 와와푸;김성균;김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32-138
    • /
    • 2020
  • Marphysa sanguinea is the most well-known polychaete species with a high economic value. However, this species has a high mortality in the early rearing stage of aqua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ubstrate size and organic contents for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M. sanguinea larvae and juveniles. It was observed that the smaller grain size (<Ø 0.063 mm) and high organic contents (5-10%) induced settlement and reduced settlement time of larvae. Moreover,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larvae reached high levels at Ø 0.004-0.016 mm of grain sizes and 5-7.5% of organic contents as advantageous substrates for settlement. The survival rate of juveniles reached over 90% in less than Ø 0.016 mm substrate on 15-day experiment for different grain sizes of substrat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bstrate compositions of less than Ø 0.016 mm of sand size and 5-7.5% of organic contents in mud will enhance the productivity of M. sanguinea at the early stage.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꼼치(Liparis tanakae)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허성회;박주면;백근욱;서영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68-376
    • /
    • 2015
  •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Liparis tanakae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studied. L. tanakae [3.8-10.6 mm notochord length(NL)] was a carnivore thatconsumed mainly copepod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numbers of free-living flatworms (Macrostomida), tintinnids, cladocerans, and polychaetes larvae. To evaluate ontogenetic changes in dietary composition, three size groups were designated: 3-5, 5-7, and >7 mm. Copepods were the most important prey items for all size groups. The smallest size group frequently preyed on polychaete and bivalve larvae, along with copepods. As notochord length increased, the numbers of cladocerans and Macrostomida increased relative to those of polychaete and bivalve larvae.

A survey of epiphytic organisms in cultured kelp Saccharina japonica in Korea

  • Kim, Jong-Oh;Kim, Wi-Sik;Jeong, Ha-Na;Choi, Sung-Je;Seo, Jung-Soo;Park, Myoung-Ae;Oh, Myung-J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1.1-1.7
    • /
    • 2017
  •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epiphytic organisms in four kelp Saccharina japonica farms in the coastal area of Korea from 2014 to 2015. Of 740 kelp samples that were taken, 208 exhibited six kinds of epiphytic organisms, including hydroid (detection rate: 11.6%), bryozoan (6.4%), polychaete (3.4%), algae (3.2%), caprellid (3%), and oyster (0.5%). The infestation rate for hydroid, bryozoan, and polychae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ando farm, Busan farm, and Pohang farm, respectively. Epiphytic organisms were generally observed during May to September and not January to April, indicating that their infes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water had a higher temperature. The histopath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hydroid and bryozoan organisms were attached on the cuticula of the thallus while some algae were attached on the cuticula of the thallus or had penetrated the epiderm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ydroid and bryozoan were the most predominant epiphytic organisms in Korean kelp farms, even though the infested thallus had not been broken.

管棲 갯지렁이의 卵子形成과 初期發生期間에서의 遺傳子 發現의 變異 (Variations in Gene Transcription during Oogenesis and Early Embryogenesis of a Tubiculous Polychaete)

  • 이양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3-53
    • /
    • 1979
  • 管棲 갯지렁이(Schizobranchia insignis)의 卵子形成 및 初期發生 期間에 일어나는 단일유전자 발현의 변이에 대하여 DNA-RNA 分子結合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卵子形成 初期에 活性化되었던 유전자의 일부는, 卵子形成 과정이 진행됨에 EK라 점차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初期에 생성된 전사물질의 일부는 생성된 후, 卵子形成 과정에서 점차 소모되어, 末期에 잔존한 전사물질의 양은 사실상 初期에서 보다 적었다. 즉, 初期의 卵子는 末期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일유전자의 전사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이 확실하였다. 수정 후 발생단계를 통하여, 卵子形成 期間 중 발현된 유전자와는 다른 새로운 유전자의 발현이, Trochophore stage까지 계속 증가됨을 보여 주었다.

  • PDF

미량금속 노출에 따른 갯지렁이(Perinereis nuntia)의 미량금속 축적 및 생리학적인 반응 (Effect of Trace Metal on Accumul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Polychaete, Perinereis nuntia)

  • 원은지;나공태;홍성진;김경태;이재성;신경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8-295
    • /
    • 2010
  • 환경 내 미량금속 오염의 지표생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갯지렁이의 체내 미량금속 축적 및 생체지표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구리와 카드뮴에 혼합 노출시킨 Perinereis nuntia의 체내 미량금속의 농도, 금속결합 단백질(metallothioneinlike proteins, MTLPs) 및 항산화효소 중 하나인 글루타치온 S-전이효소(glutathione S-transferase, GST)를 분석하였다. 갯지렁이 체내 미량금속의 농도는 노출 시간과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카드뮴 노출 초기의 축적률과 시간에 따른 증가율이 구리에 비해 높았다. 시간에 따른 미량금속 체내 축적률(net accumulation rate)은 카드뮴의 경우 초기에 높은 값을 보인 후 시간에 따른 증감이 보이지 않았으나, 구리는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노출시킨 구리의 농도에 따라 두 원소의 축적이 저해되었으며, 이는 원소에 따라 다른 체내 흡수 기작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금속결합 단백질은 노출 후 6 시간째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이후 노출시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구리의 농도를 $100{\mu}g/L$, $200{\mu}g/L$으로 처리한 실험군의 48 시간째를 제외하고 노출시간과 농도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효소인 글루타치온 S-전이효소의 경우 시간과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갯지렁이 체내 미량금속의 농축 비와 유사하게 높은 구리 농도에서 24 시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리와 카드뮴이 동시에 영향을 미칠 때 P. nuntia의 체내 미량 금속의 축적과 생체지표의 반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향후 다양한 오염물질에 대한 체내 축적 및 생체지표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