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HB)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메탄올로부터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ic Acid의 생산과 배지성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rowth Medium and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roduction from Methanol in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 Choi, Joon-H;Kim, Jung H.;M. Daniel;J.M. Lebeault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2-396
    • /
    • 1989
  • Facultative methylotroph인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메탄올을 0.5% (v/v) 함유한 최소 합성배지를 이용하여 pH 6.8과 3$0^{\circ}C$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배지 내의 여러 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이로부터 최대증식속도를 얻을 수 있는 최적 합성배지 조성을 확립하였다. 배지조성 중 질소원이 결핍되면 세포의 증식이 감소하며 Fe$^{+2}$ 또는 Mn$^{+2}$ 이온의 결핍은 세포의 비증식속도를 감소시켰다. 탄소원인 메탄올은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세포의 비증식속도가 감소하는 메탄올의 기질 저해성을 확인하였으며, 4%(v/v) 이상의 메탄을 농도에서는 세포의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이러한 메탄올의 기질 저해성은 간헐식 유가배양법을 이용하여 극복하고 PHB의 축적을 촉진하는 영양분 제한(nutrient-deficiency) 실험을 수행하였다. 합성배지의 영양분 중 NH$_{4}^{+}$, SO$_{4}^{-2}$, $K^+$ 또는 PO$_{4}^{-3}$ 이온을 결핍시켰을 때 M. organophilum의 PHB 생산이 증가하였으며 칼륨이온을 결핍시켰을때 세포의 건조 중량에 대한 PHB 함량은 최대 58%를 얻었다.

  • PDF

Isolation of a Medium Chain Length Polyhydroxyalkanoic Acids Degrading Bacterium, Janthinobacterium lividum

  • Park, Jin-Seo;Park, Jeong-Youl;Joung, Pil-Mun;Park, Seong-Joo;Rhee, Young-Ha;Shin, Kwa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39-141
    • /
    • 2001
  • Medium-chain length polyhydrexyalkanoic acids (MCL-PHAs) degrad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soil.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Janthinobacterium lividum by its biochemical properties, cell membrane fatty acids composition,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bacterium showed a similarity of 0.911 with J. lividum according to the cell membrane fatty acids analysis and a similarity of 97% in the 16S rDNA requence analysis. Culture supernatant of the bacterium skewed the highest depolymerase activity toward polyhydroxynonanoic acid (PHN) that did not degrade the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HB). The esterase activity was also detected with p-nitrophenyl (PNP) esters of fatty acids such as PNP-dodecanoic PNP-dodecanoic acid, PNP-decanoic acid, and PNP-hexanoic acid.

  • PDF

탄소원과 질소원의 비가 PHB 발효특성치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tios Carbon Source to Nitrogen Source on the Yields of PHB Fermentation Variables)

  • 백예영;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365-371
    • /
    • 1994
  • 포도당의 초기농도 10, 20, 25, 30, 40, $50g/\ell$$NH_4Cl$의 초기농도 0.33, 0.4, 0.5, 1.5, 3, $50g/\ell$ 의 조 합으로 형성된 발효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과 질소 원의 초기 조성비 C/N이 각종 발효 변수의 수율 및 PHB 축적량에 마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보았다. 탄소원의 소비량에 대한 균체 수율 $Y_{X/X}$는 C/N비가 증가함에 따라 대단히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C/N비 70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 0.35( g cell biomassl g glucose)를 나타내였다. 잔여균체 수율 $Y_{RX/S}$C/N비가 증가하면 감소하며 C/N비 65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 0.065( g residual biomassl g glucose)를 나타내였다. 그러나 PHB의 수율 $Y_{PHB/S}$는 C/N비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여 C/N비 40 내지 60 사이에서 최대수율 0.35( g PHB/g glucose)를 나타내었다. 균체증가량에 대한 PHB의 생성수율 $Y_{PHB/S}$는 C/N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C/N비 70 이상에셔는 일정한 값 0.83( g PHB/g cell mass)을 유지하였다. 또한 잔여균체량에 대한 PHB의 생성수율도 C/N비 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탄소원이 더이상 소모 되지 않는 상태에셔의 건조균체량에 대한 PHB 축 적률은 C/N비에 따라 상승하여 최대값 81%에 도 달하였다. 이 경우에 대한 C/N값은 67 근방이었으 며 이 이상의 C/N비에 대한 PHB의 축적률은 81% 로 일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