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Information

검색결과 10,081건 처리시간 0.035초

정책정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교육정책정보전문센터의 모형 제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motion of Public Policy Information Services: Focusing on a Model of a Specialized Educational Policy Information Center)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39-160
    • /
    • 2013
  • 국내의 교육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정책당국, 전문 연구기관과 전문사이트의 10개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내용분석법의 방법으로 이들이 제공하는 주요 정책정보의 종류, 분류체계, 검색시스템의 정보검색 기능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한 결과 제시된 문제점을 검토하여 표준화된 교육정책정보 분류체계 개발, 교육정책정보원의 메타데이터 표준화와 검색시스템의 편의성 제고, 정책당국 밀착형 맞춤서비스 제공, 분야별 정책정보 전문센터 운영, 정책분야 간 협력체제 구축을 개선점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정책정보원, 교육정책정보시스템, 운영체제, 협력체제로 구성된 교육정책정보전문센터 모형을 제시하였다.

정책정보제공서비스에 대한 정책연구자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Researchers' Requirements for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 노영희;심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37-1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정보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정책정보서비스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및 면담분석방법을 통해 정책정보이용자의 요구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정보이용목적은 연구과제 수행과 정책동향 파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입수경로는 인터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자자료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국내자료 이용비율이 높았으며, 해외 자료 중에서는 미국자료 이용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용하는 자료의 최신성에 있어서 최근 2-5년 사이에 생산된 자료를 많이 이용하고, 많이 활용하는 자료유형은 Web DB(학술지, 학술기사, 전자저널 및 전자형태의 논문 포함) 및 보고서로 나타났으며, 요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정책정보활용 효율성 고도화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부기관 소속 자료실간 협력, 정책정보 생산기관간 협력, 정책정보의 총체적 관리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정책정보의 총체적 수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수요조사 분석 및 개선방안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le Ways to Improve Policy Information Services and Demand Survey Analysis)

  • 홍현진;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9-97
    • /
    • 2008
  • 정책정보는 유일무이성, 전문성, 특정성 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으며, 정책정보가 국민 개개인에게 주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및 행정기관이 갖고 있는 정책정보에 개인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함은 물론 효율적인 정책정보서비스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정책정보를 총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나 시스템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정책정보유통기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정책정보유통에 대한 요구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에 산재되어 있는 정책정보를 국가적 차원으로 통합하여 국가정책정보 인프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금융회사 정보보안정책의 위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지각된 고객정보 민감도에 따른 조절효과 (A Study on the Factors for Viol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Financial Companies :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ustomer Information Sensitivity)

  • 이정하;이상용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4호
    • /
    • pp.225-251
    • /
    • 2015
  • This paper analyzed factors for employees to violat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financial companies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general deterrence theory (GDT),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ensitivity of customer information. Using the 376 samples that were collecte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We found that the perceived severity of sanc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support to information policy violatio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but the perceived certainty of sanction and general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support to only subjective norm.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ensitivity of customer information against information policy violatio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were supported.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information security policy violations of financial companies; Employees' perceived sanctions an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wareness have an impact on the subjective norm significantly.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it can provide a guide to establish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when implementing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training for employees to deter violations by emphasizing the sensitivity of customer information, a company should make their employees recognize that the customer information is very sensitive data.

정책정보제공서비스를 위한 BRM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RM Classification System for Policy Information Service)

  • 노영희;박양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35-1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RM분류체계분석, 문헌분석, 정책정보제공사이트 분류체계분석, 분류전문가논의과정, 정책정보수요자대상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정책정보자료의 실제적 구축을 통한 경험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BRM 분류체계를 수정 보완하여, 정책정보관련 정보자원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전문가 논의 과정을 거쳐 정책정보서비스에 적절한 BRM 분류 단계를 3단계로 확정하였다. 국내외 정책정보제공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의 분류체계와 서비스 조사를 통해 BRM 분류체계가 정책정보자료 제공을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무자 면담 조사를 통해 BRM의 적절성 확인과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분류체계 사용의 적절성과 BRM 주제분야별 보완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험적 검증을 통해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분류 체제의 주제 내용을 확정하였다.

네트워크 보안 정책 정보 모델에 기반한 정책 관리 도구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Management Tool Based on Network Security Policy Information Model)

  • 김건량;장종수;손승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5호
    • /
    • pp.775-782
    • /
    • 2002
  • 본 논문은 정책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 정책 정보 모델에 기반하여 구현한 정책 관리 도구를 소개한다. 본 논문이 기술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특정 도메인을 보호하기 위해 정책을 관리하고 정책을 내리는 정책 서버와 정책 서버로부터 받은 정책들을 기반으로 침입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정책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정책 서버와 정책 클라이언트간에 송수신되는 정책은 NSPIM(Network Security Policy Information Model)을 기반으로 구축된 정책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LDAP을 통해 디렉토리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NSPIM은 본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정책에 맞게 IETF의 PCIM과 PCIMe를 확장하여 구축한 정책 정보 모델이다. NSPIM 기반의 정책 관리 도구는 정책 생성, 수정, 삭제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정책을 관리할 뿐 아니라 재사용 객체 개념을 이용한 편집 기능, 객체 이름의 자동 생성 기능, 차단 정책의 자동 생성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중소기업 정책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 SMEs Policy Information System)

  • 김주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1-86
    • /
    • 2008
  • Korea 5MBA(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is operating SMEs Policy Information System called SPi-1357 as a part of electronic government business, G4B. SPi-1357 system is offering tailor made policy information to a nation through on-off line system. In this paper, I provide the offering status of policy information, the status of SPi-1357 system, political results of SPi-1357 system, comparison with other country's policy information system,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Pi-1357 system. Until now, most Policy Information Systems documents have focused on policy maker but the focus of this paper is functionally oriented SMEs.

데이터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속성 분류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olicy Attributes Taxonomy for Data-based Decision Making)

  • 김사랑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4
    • /
    • 2020
  • Purpose Due to the complexity of policy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it is accepted as common basics of policy design to mix up a variety of policy instruments aiming the multiple functions. However,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written-down policy specification, not only the public officers but also the policy researchers cannot easily grasp such frameworks as policy portfol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olicy Attributes Taxonomy"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e public programs to help making decisions for allocative efficiency with effectiveness-based inform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figure out the main scheme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Policy Attributes Taxonomy which represents characteristics of public policies, previous theories and researches on policy components were explored. In addition, to test taxonomic feasibility of certain information system, a set of "Feasibility Standards" was drawn from "requirements for well-organized criteria" of eminent taxonomy literatures. Finally, current governmen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area of social service was tested to visualize the application of Taxonomy and Standards. Findings Program Taxonomy Schemes were set including "policy goals", "policy targets", "policy tools", "logical relation" and "delivery system". Each program and project could be condensed into these attributes, making their design more easily distinguishable. Policy portfolio could be readily made out by extracting certa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s scheme. Moreover, this taxonomy could be used for rearrangement of present "Program Budget System" or estimation of "Basic Income".

국가 정책정보 수집력 확대를 위한 기증수요 분석 -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회원기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onation Demand for Expansion of National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Focused on National Association for Policy Information)

  • 윤희윤;오선경;김신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5-26
    • /
    • 2018
  • 국립세종도서관은 국내 행정 정책의 요람인 정부부처 및 국책연구기관에 정책수집 집행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지식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이다. 따라서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하려면 납본, 구입, 수증, 디지털 아카이빙 등 다양한 수집방식을 적용하여 국내외 고품질 정책정보를 수집하고 부존 자원화 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수집방안 중에서 수증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정보의 주요 생산자이자 수요자인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회원기관을 대상으로 협의회 운영 및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와 정책자료 대량기증 수요를 조사 분석하고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 수집력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보보호 정책의 전유과정이 정보보호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콜센터와 병원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Exploring Effects of Appropriation on the Compliance Intention to Information Security Policy)

  • 오진욱;백승익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5-31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in which employees adopt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urveyed 234 employees in three call centers and four hospitals, show that the employees adapt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rough the social structuring process suggested by the AST model.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s roles of two appropriation activities (FOA :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 COA : Consensus on Appropriation) observed in the social structuring process. Regarding 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appropriation activities, FOA, which indicat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s examined as a more critical factor than COA,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agreement among employees about how to use it. FOA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compliance intention toward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COA, whereas COA has only a indirect effect through FOA. This result shows that, in order for a company to successfully implement a new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t is important for employees to understand its purpose and intention. The ada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rough two appropriation activities is observed in both hospitals and call centers, but due to the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ceding variables affecting the appropri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companies who want to successfully adopt information security policy.